맨위로가기

신계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계군은 19세기 말 곡성군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8개의 면(신계면, 고면, 다미면, 다율면, 마서면, 사지면, 적여면, 촌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면은 여러 개의 리(里)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들 리는 현재까지 지명의 기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연백군 (대한민국 황해도)
    연백군은 1945년 미소 분할 점령 후 경기도에 편입되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고, 해방 당시 38선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뉘었다가 북한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어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속한다.
  • 황해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옹진군 (대한민국 황해도)
    옹진군(대한민국 황해도)은 한반도 분단으로 경기도에 편입된 황해도 군으로, 한국 전쟁 후 일부 섬 지역만 대한민국 관할로 남고 나머지는 북한 관할이 되어 남북으로 분단되었으며, 1945년 당시 옹진읍과 10개 면, 그리고 벽성군에서 편입된 3개 면으로 구성되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신계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신계군 정보
국가대한민국
지역황해도
유형
지방 관청이북5도위원회
군수박호영
면적819.9
공용어한국어
지역어황해 방언
행정 구역
8
기타
로마자 표기Singye-gun
약칭신계
한자 표기新溪郡

2. 행정 구역

19세기 말 곡성군의 행정 구역은 8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면은 여러 개의 리(里)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들 리는 현재까지도 이어져 내려오는 지명의 기원이 되었다.

면적(km2)리 숫자리(里)
신계면46.6km26향교(鄕校) 외 5개
고면137.24km210정봉(丁峰) 외 9개
다미면99.34km213추천(楸川) 외 12개
다율면121.31km27구만(九灣) 외 6개
마서면109.16km29초탄(草灘) 외 8개
사지면138.73km210석교(石橋) 외 9개
적여면95.71km210대평(大坪) 외 9개
촌면69.64km25사현(沙峴) 외 4개


2. 1. 신계면(新溪面)

신계면(新溪面)의 면적은 46.6km2이며, 6개의 리가 있다. 해당 리는 다음과 같다.

리(里)
향교(鄕校)
성북(城北)
능수(陵水)
마산(馬山)
석정(石井)
회동(回東)


2. 2. 고면(古面)

고면은 면적이 137.24km2이며, 정봉리(丁峰), 직동리(直洞), 왕당리(汪唐), 성내리(城內), 화천리(花川), 화개리(華蓋), 입암리(立岩), 태을리(太乙), 천개리(天開), 무고리(武庫) 등 10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리(里)
정봉리
직동리
왕당리
성내리
화천리
화개리
입암리
태을리
천개리
무고리


2. 3. 다미면(多美面)

99.34km2 면적에 13개의 리가 있다.

리(里)
추천(楸川), 중산(中山), 효자(孝子), 금성(金城), 백오(白塢), 무시랑(武侍郞), 백암(白岩), 부용(芙蓉), 강성(江城), 신성(新星), 지(芝), 사암(笥岩), 가무(歌舞)


2. 4. 다율면(多栗面)

多栗面|다율면한국어은 면적이 121.31 km²이며, 구만(九灣), 삼미(三美), 반시(班市), 침교(砧橋), 송릉(宋陵), 죽서(竹棲), 백곡(白谷)의 7개 리(里)가 있다.

리(里)
구만(九灣)
삼미(三美)
반시(班市)
침교(砧橋)
송릉(宋陵)
죽서(竹棲)
백곡(白谷)


2. 5. 마서면(麻西面)

麻西面|마서면중국어은 면적이 109.16km2이며, 9개의 리가 있다.

리(里) 이름
초탄리(草灘里)
증영리(增永里)
삼거리(三巨里)
번지리(番地里)
구락리(龜洛里)
천곡리(泉谷里)
신촌리(新村里)
은점리(銀店里)
갈현리(葛峴里)


2. 6. 사지면(沙芝面)

면적(km²)리 숫자리(里)
138.73km210석교(石橋), 신(新), 굴원(屈源), 원교(院橋), 태봉(胎峰), 막대(幕垈), 화성(花城), 주답(注畓), 산북(山北), 사이곡(沙伊谷)


2. 7. 적여면(赤餘面)

赤餘面|적여면한국어은 면적이 95.71km2이며, 10개의 리가 있다.

리(里)
대평(大坪)
흑천(黑川)
사정(沙井)
목전(木田)
삼합(三合)
화야(花野)
우암(牛岩)
신대(新垈)
승평(昇坪)
대정(大井)


2. 8. 촌면(村面)

촌면(村面)의 면적은 69.64km2이며, 5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리(里)
사현(沙峴)
궁암(宮岩)
이탄(梨灘)
율암(栗岩)
세림(細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