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선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십선계(十善戒)는 불교에서 재가 신자들이 지켜야 할 열 가지 계율을 말합니다. 십선계는 초기 불교에서는 '십선업도(十善業道)'라고 하여 선한 행동의 기준으로 여겨졌으나, 대승 불교에 이르러 보살의 실천행으로 중요시되며 '계(戒)'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십선계의 내용십선계는 몸(身)으로 짓는 세 가지, 말(口)로 짓는 네 가지, 뜻(意)으로 짓는 세 가지, 총 열 가지로 구성됩니다.


  •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신삼, 身三)
  • 불살생(不殺生): 살아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
  • 불투도(不偸盜): 남의 것을 훔치지 않는다.
  • 불사음(不邪淫): 삿된 음행을 하지 않는다. (배우자가 아닌 이와 관계를 맺지 않음)

  • 말로 짓는 네 가지 (구사, 口四)
  • 불망어(不妄語):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불기어(不綺語): 꾸밈말, 아첨하는 말을 하지 않는다.
  • 불악구(不惡口): 욕설, 험담 등 나쁜 말을 하지 않는다.
  • 불양설(不兩舌): 이간질하는 말을 하지 않는다.

  • 뜻으로 짓는 세 가지 (의삼, 意三)
  • 불탐욕(不貪欲): 탐내어 욕심내지 않는다.
  • 불진에(不瞋恚): 성내거나 화내지 않는다.
  • 불사견(不邪見): 그릇된 견해를 갖지 않는다. (인과를 부정하거나, 불교의 가르침을 왜곡하는 등)

십선계의 의미와 중요성십선계는 단순히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나열한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선한 행위를 실천하도록 이끄는 지침입니다. 십선계를 지킴으로써 개인은 물론 사회 전체의 평화와 행복을 증진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적 차원: 십선계는 개인의 도덕적 성장을 돕고, 선한 업을 쌓아 더 나은 삶을 살도록 이끕니다.
  • 사회적 차원: 십선계는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를 증진하고, 폭력과 갈등을 줄여 평화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 불교 수행적 차원: 십선계는 불교 수행의 기초가 되며, 보살행의 중요한 실천 덕목입니다. 대승불교에서는 십선계를 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보기도 합니다.

십선계와 관련된 용어

  • 십악업도(十惡業道): 십선계와 반대되는 열 가지 악한 행위.
  • 오계(五戒): 불교에서 재가 신자가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기본적인 계율 (불살생, 불투도, 불사음, 불망어, 불음주). 십선계는 오계를 더 확장하고 구체화한 것입니다.
  • 팔재계(八齋戒): 재가 신자들이 한 달에 여섯 번, 특정한 날에 지키는 여덟 가지 계율. 십선계와 유사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태종의 십선계천태종에서는 십선계 사상이 초기 저작부터 주요 저술에 널리 나타나며, 교단의 기강 확립과 수행 의례에 중요하게 적용되었습니다. 대한불교 천태종은 십선계를 교단의 근본 율의이자 신도들의 생활 지침으로 삼고 있습니다.

십선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