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코브 고토바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코브 고토바츠는 스플리트 출신의 크로아티아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그는 민족 낭만주의를 대표하며, 크로아티아 민속 음악을 작품의 주요 영감으로 삼았다. 법학을 공부했으나 작곡으로 전향하여 빈에서 요제프 마르크스에게 사사했다. 자그레브 국립 극장의 오페라 지휘자로 활동하며, 오페라, 관현악곡, 합창곡, 가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오페라 '에로스 오노가 스비예타'가 있으며, 87세의 나이로 자그레브에서 사망했다.
[1]
웹사이트
Graves - G
https://www.gradskag[...]
Zagrebački Holding
2023-11-16
2. 생애
고토바츠는 스플리트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태어났으며, 처음에는 음악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다. 그는 요십 하체, 키릴 메토데히 흐라즈디라, 안툰 도브로니치의 격려와 지원을 받아 음악에 민족주의적 성향을 갖게 되었다. 그는 자그레브에서 법학을 공부했지만, 1920년에 작곡으로 전향했다. 빈에서 그는 요제프 마르크스의 수업을 들었다.
1922년, 그는 고향으로 돌아와 1899년 비체 일리아디차에 의해 시베니크에 설립된 마사리크의 필하모니아 소사이어티 콜로에서 활동했다. 1923년 그는 자그레브로 이주하여 사망할 때까지 지휘자와 작곡가로 활동했다. 1923년부터 1958년까지 그는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국립 극장(''Hrvatsko narodno kazalište'')의 오페라 지휘자였으며, 아카데미 음악 협회 믈라도시와 블라디미르 나조르 합창단의 리더였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에로스 오노가 스비예타''(밀란 베고비치가 쓴 대본)로,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공연되었으며, 9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유럽에서만 80개 이상의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그는 또한 오케스트라를 위한 수많은 작품과 성악곡, 피아노곡 등을 작곡했다.
고토바츠는 그의 작품에서 크로아티아 민속 음악을 주요 영감의 원천으로 하여 후기 민족 낭만주의를 대표한다. 음악적으로 그는 그가 존경했던 민속적 관용구에 맞춰 동음적 질감과 상당히 단순한 화성 구조를 선호한다.
고토바츠는 87세의 나이로 자그레브 (당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사망했다. 그는 미로고이 묘지에 묻혔다.
3. 주요 작품
3. 1. 오페라
야코브 고토바츠는 여러 오페라 작품을 작곡했다. 1928년부터 1930년까지는 ''모라나''(Morana, 작품번호 14)를 작곡했다. 1933년부터 1935년까지는 ''에로, 그 세상에서 온 자''(Ero s onoga svijeta, 작품번호 17)를 작곡했는데, 이 작품은 ''에로 더 조커''(Ero the Joker)로도 알려져 있다. 1939년부터 1944년까지 ''카메니크''(Kamenik, 작품번호 23)를 작곡했으며, 초연은 1946년에 이루어졌다. 1948년부터 1951년까지는 ''밀라 고이살리차''(Mila Gojsalića, 작품번호 28)를 작곡하여 1952년에 초연했다. 1954년부터 1955년까지는 ''제르단''(Đerdan, 작품번호 30)을 작곡했다. 1958년에는 ''달마로''(Dalmaro, 작품번호 32)를 작곡했고, 1964년에 초연되었다. 1959년에는 ''스타나츠''(Stanac, 작품번호 33)를 작곡했다. 1969년에는 오페라 오라토리오인 ''페타르 스바치치''(Petar Svačić, 작품번호 35)를 작곡했으며, 1971년에 초연되었다.
3. 2. 관현악곡
3. 3. 합창곡
3. 4. 가곡
야코브 고토바츠는 알토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Djevojka i mjesec''(소녀와 달)(1917), 음성과 피아노를 위한 ''Erotski moment'' (에로틱한 순간)(1929), 바리톤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2개의 소나타 (1921), 소녀의 음성과 피아노를 위한 Pjesme djevojčice(소녀의 노래)(1923), 음성과 피아노를 위한 ''Gradom''(도시를 지나서), 바리톤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Rizvan-aga''(1938), 음성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Pjesme čežnje''(열정의 노래)(1939)를 작곡했다.
4. 한국과의 관계
참조
[2]
간행물
Gotovac, Jakov
https://www.enciklop[...]
Leksikografski zavod Miroslav Krleža
2023-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