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정감구봉수지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정감구봉수지도》는 1579년 진사시에 합격한 동기생 5명의 자제들이, 아버지들의 동기 중 유일하게 생존한 정립의 84세 장수를 축하하기 위해 1637년에 모임을 갖고 1639년에 제작한 기록물이다. 족자 형태는 표제, 그림, 발문, 좌목 등으로 구성된 조선 중기 계회도 형식을 따랐으며, '역참의 누정에서 옛일을 회상하며 장수를 축원하여 그린 그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경엄이 발문을 작성하여 모임의 배경과 정립의 장수를 축원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좌목에는 참석자 명단과 인적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이 족자는 1579년 진사시 동방 5인의 자제들이 정립을 초대하여 장수 축하 모임을 갖고 기념으로 제작한 유일한 사례로, 그림과 좌목 외 이경엄의 발문이 남아있어 사료적 가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족자 -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는 정선이 그린 가을 내금강 그림으로, 비홍교 등 주요 경물과 건축물을 통해 당시 내금강의 모습을 보여주며 금강전도와 함께 정선의 대표적인 금강산 그림으로 꼽히고, 진경산수화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계기가 된다. - 1639년 작품 -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은 쌍계사에 있는 삼세불좌상(석가모니불, 약사불, 아미타불)과 사보살입상(일광·월광보살상, 관음·세지보살상 추정)으로, 17세기 전반 불상 양식을 보여주며 동일 화승들에 의해 조성되었다. - 1639년 작품 - 삼미신 (루벤스)
페테르 파울 루벤스가 그린 《삼미신 (루벤스)》은 헬레니즘 시대 조각상을 바탕으로 관능, 활력, 기쁨을 표현하는 세 여신을 묘사한 그림으로, 아내 엘레나 푸르망이 모델로 등장하며 현재 프라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서울 중구의 문화유산 - 와룡묘
와룡묘는 제갈량을 모시는 사당으로, 조선 시대에 건립되어 화재로 소실된 후 재건되었으며, 제갈량상, 관우상, 단군상 등을 모시고 한국 토속 신앙과 결합된 무속 신앙의 형태를 띤다. - 서울 중구의 문화유산 - 숭례문
숭례문은 1398년에 완공된 조선 시대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으나 방화 사건으로 훼손되어 복구되었고, 다양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역정감구봉수지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역정감구봉수지도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
문화재 정보 | |
이름 | 역정감구봉수지도 (驛亭感舊奉壽之圖)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번호 | 449 |
지정일 | 2019년 6월 7일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홍선호 |
참고사항 | 규격(cm) : 107.4×53.9 |
수량 | 1책 |
문화재청 ID | 21,04490000,11 |
2. 제작 배경
1579년(선조 12년) 진사시에 합격한 동기생 5명의 자제들이 모임을 주도했다. 아버지들의 동기 중 유일하게 생존한 정립(鄭雴)의 장수(84세)를 축하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 모임은 1637년(인조 15년)에 열렸고, 1639년(인조 17년)에 족자가 제작되었다.
《역정감구봉수지도》는 1579년(선조 12) 진사시 합격 동기생 5인의 자제들이 선친의 동기 중 유일하게 생존한 정립(鄭雴, 1554~1640)의 84세 장수를 축하하기 위해 1637년(인조 15)에 모임을 갖고, 1639년(인조 17)에 제작한 기록물이다. 족자 형태는 표제, 그림, 발문, 좌목 등으로 구성된 조선 중기 계회도 형식을 따랐다.
이 모임은 좌목에 적힌 동방 5인이 모두 참석한 것은 아니었다. 1637년(인조 15) 당시에는 정립만이 유일하게 생존해 있었고, 그의 나이가 84세가 되자 동방 5인의 아들과 손자들이 장수를 축하하기 위해 족자를 만들어 나누어 가졌다.
동방 5인의 한 사람인 이호민의 아들 이경엄(1579~1652)이 발문을 썼다. 발문에는 정립 선생의 84세를 축하하는 내용과 함께, 7언시가 포함되어 있다. 정립은 아들이 없어 손자와 4촌, 6촌 손자가 참여했다. 자제들은 정립에게 성대한 수작회(壽爵會)를 권했으나, 정립은 이를 사양했다.
이경엄은 아버지 이호민을 포함한 동방 5인의 자제들이 어려운 시기를 함께 겪었다고 회고하며, 황술, 강시위, 이운길, 정증, 정직, 정용 등과 함께 정립을 모시고 증약(增若)의 옛 역산관(驛山館) 누정에서 모임을 갖고 술잔을 올렸다고 기록했다.
발문은 1637년(인조 15년) 11월 22일에 작성되었고, 좌목은 1639년(인조 17년) 7월에 작성되어 족자가 완성되었다.
3. 내용 및 형식
표제는 "驛亭感舊奉壽之圖"(역정감구봉수지도)인데, '역참의 누정에서 옛일을 회상하며 장수를 축원하여 그린 그림'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역정(驛亭)'은 역참 인근의 누정을, '감구(感舊)'는 지난 일을 떠올리며 감회에 젖는다는 의미이며, '봉수(奉壽)'는 장수를 축원한다는 뜻이다. 역참이 있던 곳은 옛 지명으로 증약(增若)이며, 지금의 옥천에 해당한다. 발문에는 '옛 역산관(古驛山館)'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림은 증약 역참 인근 누정을 배경으로, 정립과 자제 6명을 묘사하였다. 누정은 언덕 위에 있고 좌우에 소나무가 한 그루씩 있으며, 배경의 원산(遠山)은 눈 내린 설산(雪山)으로 표현되었다. 소나무 묘사는 조선 중기에 유행한 절파(浙派) 화풍에 가깝다.
발문은 동기생 이호민의 아들 이경엄(李景嚴, 1579~1652)이 작성했는데, 모임 배경과 정립의 장수를 축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경엄은 1637년(인조 15) 음력 11월 22일에 발문을 작성했다.
좌목에는 참석자(동방 5인 및 자제) 명단과 인적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동방 5인의 생원시 등수, 품계, 관직, 이름, 자(字), 생년, 본관 등이 기록되어 있고, 자제들의 이름도 간략히 기록되어 있다. 좌목은 1639년(인조 17) 음력 7월에 작성되었다.동방 자제 동방과의 관계 정립(鄭 雴, 1554~1640) 정용(鄭墉), 정증(鄭增), 정직(鄭溭) 손자, 사촌 손자, 육촌 손자 이호민(李好閔, 1553~1634) 이경엄(李景嚴) 아들 황정즙(黃廷楫, 1555~?) 황술(黃述) 아들 강엄(康 儼, 1545~?) 강시위(康時違) 아들 이시립(李時立, 1548~?) 이운길(李雲吉) 아들
이 모임은 동방 5인의 자제들이 주도했으며, 1637년 당시 생존한 정립의 장수를 축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경엄은 발문에서 자신의 부친을 포함한 동방 5인의 자제들이 어려운 시기를 함께 겪으며 살아왔고, 돌아가신 선친을 생각하며 서로 위안이 되고자 정립을 모시고 증약의 옛 역산관 누정에서 모임을 가졌다고 기록했다.
족자는 두꺼운 장지에 붉은색 주선으로 표제, 그림, 발문, 좌목의 경계를 긋고, 좌목에도 가는 주선으로 각 칸을 구획하였다. 화면 중앙에는 누정을 배치하고 그 안에 정립과 자제 6명을 작게 그렸다. 이경엄은 참석하지 못하고 발문만 쓴 것으로 추정된다.
족자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물기에 젖은 얼룩, 박락, 꺾임 등 손상된 부분이 많다.
3. 1. 참석자 명단
4. 사료적 가치
1579년(선조 12) 진사시 동방 5인의 자제들이 선친의 동방인 정립(鄭雴)을 초대하여 84세 장수 축하 모임을 갖고, 이를 기념하여 만든 계회도 형식의 족자이다.
선친들의 동방이 모두 생존한 가운데 열린 계회나 축수연(祝壽宴)은 사례가 있지만, 한 인물의 장수를 축원하여 동방의 자제들이 축하 자리를 만들고 기념물로 족자를 제작한 것은 유일하다.
그림의 화격이 높지 않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나, 그림과 좌목 이외에 이경엄(李景嚴)이 쓴 발문이 남아 있어 이 모임이 이루어진 배경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인 가치가 있다.
5. 보존 상태 및 관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