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꿈의 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 꿈의 나라는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쫓기게 된 대학생 종수가 고향 선배 태호를 찾아 동두천 미군 기지촌으로 오게 되면서 겪는 갈등을 그린 영화이다. 불법 미제 상품 장사로 미국행을 꿈꾸는 태호와 미군 상대 여성들 사이에서 종수는 광주에서의 아픈 기억을 떠올린다. 권인찬, 김경선, 김선경 등이 출연하였으며, 제작 당시 불법 상영으로 제작자와 극장 대표가 고발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영화 - 26년 (영화)
2012년 개봉한 영화 《26년》은 강풀의 웹툰을 원작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과 학살 책임자에게 복수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진구, 한혜진, 임슬옹 등이 출연, 크라우드 펀딩으로 제작되어 복수와 정의, 개인적 복수와 역사적 정의 사이의 관계를 조명한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영화 - 오래된 정원 (영화)
오래된 정원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인물이 수감 생활 후 사회에 적응하며 겪는 고립감과 과거 사랑했던 여인과의 기억을 다룬 임상수 감독의 2006년 영화로, 지진희, 염정아 등이 출연했으며 염정아는 백상예술대상 최우수 여자 연기상을 수상했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 - 제4공화국 (드라마)
《제4공화국》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 체제 하 주요 사건들을 다룬 드라마로,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부터 5·18 광주 민주화 운동까지 다루며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 - 26년 (영화)
2012년 개봉한 영화 《26년》은 강풀의 웹툰을 원작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과 학살 책임자에게 복수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진구, 한혜진, 임슬옹 등이 출연, 크라우드 펀딩으로 제작되어 복수와 정의, 개인적 복수와 역사적 정의 사이의 관계를 조명한다. - 대한민국의 독립 영화 작품 - 메기 (영화)
2018년에 개봉한 이옥섭 감독의 영화 메기는 엑스레이 사진 유출 사건을 통해 불신과 믿음, 관계의 불안정성을 다루며 사회 문제를 현실적으로 반영하고 이주영, 문소리, 구교환, 천우희 등이 출연하여 부산국제영화제와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독립 영화 작품 - 김군 (영화)
김군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촬영된 한 남자의 사진, 즉 '김군'을 중심으로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추적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강상우 감독이 지만원의 주장에 의문을 품고 김군을 찾아 나서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어 서울독립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오! 꿈의 나라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오! 꿈의 나라 |
장르 | 드라마 |
감독 | 이은 장동홍 장윤현 |
제작 | 이재구 남희섭 |
주연 | 권인찬 김경선 박충선 오지혜 |
각본 | 공수창 홍기선 |
음악 | 조익환 강헌 |
촬영 | 김현철 박대영 오정옥 |
조명 | 임태형 장재기 정성진 |
스튜디오 | 장산곶매 |
배급 | 장산곶매 |
개봉일 | 1989년 1월 14일 |
상영 시간 | 90분 |
언어 | 한국어 |
등급 | 15세 관람가 |
2. 줄거리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쫓기는 신세가 된 대학생 겸 야학 교사 종수는 고향 선배인 태호를 찾아 동두천 미군 기지촌으로 오게 된다. 불법 미제 상품 장사로 돈을 벌어 미국으로 떠나는 것이 목표인 태호와 미군 상대 여성들 사이에서 종수는 광주에서의 아픈 기억마저 떠올라 갈등한다.
3. 출연
3. 1. 주연
3. 2. 조연
4. 제작진
조명은 임태형, 장재기, 정성진 등이 담당하였다.
5. 뒷이야기
이 영화가 처음 제작되었을 때는 합법적인 상영이 불가능했다. 서대문구의 '예술극장 한마당' 소극장에서 제작신고와 검열 없이 상영되었고, 문화공보부는 제작자와 극장 대표를 공연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3] 이때 이 극장을 압수수색하기 위해 청구한 영장이 예상 외로 기각되어 화제가 되었다.[3] 《오! 꿈의 나라》 상영을 둘러싼 일련의 사건들은 영화가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니라 사회 고발의 진보적 매체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해주었다는 회고가 있다.[3]
참조
[1]
뉴스
"[디딤돌] 작은영화운동"
http://press.chungbu[...]
충북대신문
2007-03-27
[2]
뉴스
혁명은 이제 시작이다 - 영화와 혁명 특별전 다시보기
http://www.internati[...]
IF
2005-09-01
[3]
뉴스
영화로 세상을 바꾼다 - 켄 로치 등 사회고발 고집하는 유명감독들
http://www.donga.com[...]
NEWS+
1998-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