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 이원익 종택 및 관감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오리 이원익 종택 및 관감당은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건축물입니다. 1996년 12월 24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오리 이원익 종택은 조선 선조~인조 때 영의정을 지냈고 청백리로 이름 높던 오리 이원익(李元翼, 1547~1634)의 종가입니다. 이원익은 태종의 12번째 아들 익녕군의 4세손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 3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으며 '오리 정승'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투철한 책임감과 애민 정신으로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특히 대동법을 실시하여 백성들의 세금 부담을 덜어주었습니다.
관감당(觀感堂)은 1630년(인조 8) 인조가 경기감사에게 명하여 이원익에게 지어준 집입니다. 인조는 이원익의 집이 초가인데다 비가 샌다는 사실을 알고 안타깝게 여겨 새 집을 지어주도록 명하면서, 그의 청렴하고 소박한 삶을 '보고 느끼게 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관감당'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현재 오리 이원익 종택 및 관감당은 충현박물관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충현박물관은 이원익 선생의 13대 종손 이승규 박사와 종부 함금자 여사가 설립한 국내 최초의 종택을 활용한 박물관입니다. 전시관에는 이원익 선생의 영정, 친필, 교서, 문집 등을 비롯하여 그의 후손들이 남긴 고문서, 목가구, 제기, 집기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주요 내용:
- 위치: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347번길 5-6 (소하2동 1086)
- 지정: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0호 (1996년 12월 24일 지정)
- 시대: 조선시대
- 건축물:
- 오리 이원익 종택: 이원익의 종가
- 관감당: 1630년 인조가 이원익에게 지어준 집
- 현재: 충현박물관으로 활용 (전시실, 수장고, 연구실, 교육실 등)
- 관련 인물: 오리 이원익 (조선시대 문신, 영의정 역임, 청백리)
추가 정보:
- 오리 이원익 유적지 내에는 오리영우(梧里影宇)가 있습니다. 오리영우는 이원익의 사당으로, 1693년(숙종 19)에 건립되었으며, 이원익의 영정을 모시고 있습니다.
- 관감당 앞마당에는 약 440년 된 측백나무 아래 '탄금암'이라는 큰 바위가 있는데, 이원익 선생이 이곳에서 거문고를 연주했다고 합니다.
오리 이원익 종택 및 관감당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오리 이원익 종택 및 관감당 |
분류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 90 |
지정일 | 1996년 12월 24일 |
주소 |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347번길 5-6 (소하동) |
수량 | 2동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