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뮴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뮴은 자연에서 7개의 안정 동위 원소와 다양한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로 발견된다. 오스뮴 동위 원소는 지구화학 및 환경 과학 연구에 활용되며, 특히 187Os/188Os 비율을 통해 해양 환경의 변화를 추적하고, 오염원의 영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184Os의 알파 붕괴는 방사성 연대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오스뮴 동위 원소 | |
---|---|
동위 원소 정보 | |
원소 기호 | Os |
원자 번호 | 76 |
핵자수 | 184에서 194 사이 |
안정 동위 원소 | |
안정 동위 원소 | 오스뮴-187, 오스뮴-188, 오스뮴-189, 오스뮴-190, 오스뮴-192 |
관찰상 안정 동위 원소 | 오스뮴-184, 오스뮴-186 |
방사성 동위 원소 | |
주요 방사성 동위 원소 | 오스뮴-185, 오스뮴-191, 오스뮴-193, 오스뮴-194 |
동위 원소별 정보 | |
오스뮴-184 | na: 0.02% 반감기: 1.12×10^13년 붕괴 방식: 알파 붕괴 붕괴 생성물: 텅스텐-180 |
오스뮴-185 | na: 합성 반감기: 92.95일 붕괴 방식: 전자 포획 붕괴 생성물: 레늄-185 |
오스뮴-186 | na: 1.59% 반감기: 2.0×10^15년 붕괴 방식: 알파 붕괴 붕괴 생성물: 텅스텐-182 |
오스뮴-187 | na: 1.96% 반감기: 안정 |
오스뮴-188 | na: 13.24% 반감기: 안정 |
오스뮴-189 | na: 16.15% 반감기: 안정 |
오스뮴-190 | na: 26.26% 반감기: 안정 |
오스뮴-191 | na: 합성 반감기: 14.99일 붕괴 방식: 베타 마이너스 붕괴 붕괴 생성물: 이리듐-191 |
오스뮴-192 | na: 40.78% 반감기: 안정 |
오스뮴-193 | na: 합성 반감기: 29.83시간 붕괴 방식: 베타 마이너스 붕괴 붕괴 생성물: 이리듐-193 |
오스뮴-194 | na: 합성 반감기: 6년 붕괴 방식: 베타 마이너스 붕괴 붕괴 생성물: 이리듐-194 |
2. 오스뮴 동위 원소
오스뮴은 자연에서 7개의 동위 원소로 발견되며, 이 외에 다양한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가 존재한다. 오스뮴 동위 원소는 지구화학적 변화를 파악하거나 인위적인 영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오스뮴-187과 오스뮴-188의 동위원소 비(187Os/188Os)는 해양 역사 전반에 걸친 지구화학적 변화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 해양의 평균 187Os/188Os 비율은 1.06인데,[3] 이 값은 대륙에서 유래한 강의 유입(187Os/188Os 비율 ~1.3)과 맨틀/지구 외 유입(187Os/188Os 비율 ~0.13) 사이의 균형을 나타낸다.[3] 184Os가 180W로 알파 붕괴하는 것에 대한 긴 반감기는 오스뮴이 풍부한 암석 또는 행성 분화에 대한 방사성 연대 측정 방법으로 제안되었다.[1][9][10]
2. 1. 안정 동위 원소
오스뮴-187(187Os), 오스뮴-188(188Os), 오스뮴-189(189Os), 오스뮴-190(190Os)는 붕괴하지 않는 안정 동위 원소이다.[3] 187Os/188Os 동위 원소 비율은 지구화학적 변화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 해양의 평균 187Os/188Os 비율은 1.06인데,[3] 이 값은 대륙에서 유래한 강의 유입(187Os/188Os 비율 ~1.3)과 맨틀/지구 외 유입(187Os/188Os 비율 ~0.13) 사이의 균형을 나타낸다.[3]187Os는 187Re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4] 이 붕괴는 지구에서 핵을 뺀 부분인 벌크 규산염 지구의 187Os/188Os 비율을 33% 증가시켰다.[5] 지각 암석은 Re의 수준이 훨씬 높아 187Os로 서서히 분해되어 187Os/188Os 비율을 증가시킨다.[4] 그러나 맨틀 내에서는 Re과 Os의 불균등한 반응으로 인해 Re이 고갈되어 대륙 물질처럼 187Os를 축적할 수 없다.[4] 해양 환경에 두 물질이 유입되어 해양의 187Os/188Os 비율이 결정되며, 이 비율은 지구 역사상 크게 변동해 왔다. 해양 Os의 동위원소 값의 이러한 변화는 해당 기간에 퇴적되어 암석화된 해양 퇴적물에서 관찰할 수 있다.[6]해양 퇴적물 Os 동위원소 기록은 K-T 경계의 충돌을 식별하고 입증하는 데 사용되었다.[7] 약 10 km 크기의 소행성 충돌은 당시 해양 퇴적물의 187Os/188Os 지표를 크게 변화시켰다. 평균 지구 외 187Os/188Os가 약 0.13이고, 이 충돌로 인해 엄청난 양의 Os가 유입되어 전 세계 해양의 187Os/188Os 값이 약 0.45에서 약 0.2로 감소했다.[3]
Os 동위원소 비율은 인위적인 영향의 신호로도 사용될 수 있다.[8] 촉매 변환기와 같은 인위적인 Os의 추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8] 촉매 변환기는 Os와 같은 백금족 원소 (PGE)를 환경에 도입하고 있다.[8] 인위적 Os의 다른 공급원으로는 화석 연료 연소, 크롬 광석 제련, 일부 황화물 광석 제련 등이 있다. 자동차 배기 187Os/188Os는 ~0.2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심하게 고갈된 값이다.[8]
2. 2. 방사성 동위 원소
Os영어-184, Os영어-186, Os영어-192는 방사성 붕괴를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매우 긴 반감기를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Os영어-184의 예상 반감기는 1014년에서 1021년까지로 추정된다. 184Os는 알파 붕괴를 통해 180W (W영어)로 붕괴할 것으로 예상된다.[1][9][10]191Os (반감기 15.4일)은 베타 붕괴하여 191Ir이 된다. 193Os (반감기 30.11시간)은 베타 붕괴하여 193Ir이 된다. 194Os (반감기 6년)은 베타 붕괴하여 194Ir이 된다.그 외에도 다양한 반감기를 가진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들이 존재한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동위 원소 핵종 | 반감기 | 붕괴 방식 |
---|---|---|
162Os | 1.87(18) ms | |
163Os | 5.5(6) ms | |
164Os | 21(1) ms | |
165Os | 71(3) ms | |
166Os | 216(9) ms | |
167Os | 810(60) ms | |
168Os | 2.06(6) s | |
169Os | 3.40(9) s | |
170Os | 7.46(23) s | |
171Os | 8.3(2) s | |
172Os | 19.2(5) s | |
173Os | 22.4(9) s | |
174Os | 44(4) s | |
175Os | 1.4(1) min | |
176Os | 3.6(5) min | |
177Os | 3.0(2) min | |
178Os | 5.0(4) min | |
179Os | 6.5(3) min | |
180Os | 21.5(4) min | |
181Os | 105(3) min | |
182Os | 22.10(25) h | |
183Os | 13.0(5) h | |
183mOs | 9.9(3) h | |
185Os | 93.6(5) d | |
190mOs | 9.9(1) min | |
191mOs | 13.10(5) h | |
192mOs | 5.9(1) s | |
193Os | 30.11(1) h | 베타 붕괴 |
194Os | 6.0(2) a | 베타 붕괴 |
195Os | 6.5 min | |
196Os | 34.9(2) min | |
197Os | 2.8(6) min |
Osmium영어 동위 원소 비율(187Os/188Os)은 지구 역사 전반의 지구화학적 변화를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3] 해양의 평균 187Os/188Os 비율은 1.06인데,[3] 이 값은 대륙에서 유래한 강의 유입(187Os/188Os 비율 ~1.3)과 맨틀/지구 외 유입(187Os/188Os 비율 ~0.13) 사이의 균형을 나타낸다.[3] 187Os는 187Re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4] 이 붕괴는 벌크 규산염 지구(지구에서 핵을 뺀 부분)의 187Os/188Os 비율을 33% 증가시켰다.[5] 해양 환경에 유입된 물질에 의해 해양의 187Os/188Os는 지구 역사상 크게 변동해 왔으며, 해양 Os의 동위원소 값의 이러한 변화는 해당 기간에 퇴적되어 암석화된 해양 퇴적물에서 관찰할 수 있다.[6]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풍화 플럭스를 추정하고, 홍수 현무암 화산 활동을 식별하며, 대량 멸종의 원인이 되었을 수 있는 충돌 사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양 퇴적물 Os 동위원소 기록은 K-T 경계의 충돌을 식별하고 입증하는 데 사용되었다.[7] 약 10km 크기의 소행성 충돌은 당시 해양 퇴적물의 187Os/188Os 지표를 대대적으로 변화시켰다. 평균 지구 외 187Os/188Os가 약 0.13이고, 이 충돌로 인해 엄청난 양의 Os가 유입되어 전 세계 해양의 187Os/188Os 값이 약 0.45에서 약 0.2로 감소했다.[3]
[1]
논문
Alpha-decay of 184Os revealed by radiogenic 180W in meteorites: Half life determination and viability as geochronometer
2014-04
3. 오스뮴 동위 원소의 활용
Os 동위원소 비율은 인위적인 영향의 신호로도 사용될 수 있다.[8] 지질학적 환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187Os/188Os 비율은 촉매 변환기와 같은 인위적인 Os의 추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 촉매 변환기는 NOx 및 CO의 배출을 크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Os와 같은 백금족 원소(PGE)를 환경에 도입하고 있다.[8] 인위적 Os의 다른 공급원으로는 화석 연료 연소, 크롬 광석 제련, 일부 황화물 광석 제련 등이 있다. 자동차 배기 187Os/188Os는 ~0.2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심하게 고갈된 값이다.[8] 이러한 영향 증가는 인위적 공기 중 Os이 강수량에 유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184Os가 180W로 알파 붕괴하는 것에 대한 긴 반감기는 오스뮴이 풍부한 암석 또는 행성 분화에 대한 방사성 연대 측정 방법으로 제안되었다.[1][9][10]
4. 오스뮴 동위 원소 표
핵자 수 Z(p) N(n) 동위 원소 질량 (u) 반감기[20] 붕괴 방식[21][22] 붕괴 생성 동위 원소[23] 핵 스핀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 범위 (몰 분율) 자연계에 존재하는 최대 범위 (몰 분율) 들뜬 에너지 162Os 76 86 161.98443(54)# 1.87(18) ms α 158W 0+ 163Os 76 87 162.98269(43)# 5.5(6) ms α 159W 7/2-# rowspan=3| rowspan=3| β+, p (드묾) 162W β+ (드묾) 163Re 164Os 76 88 163.97804(22) 21(1) ms α (98%) 160W 0+ rowspan=2| rowspan=2| β+ (2%) 164Re 165Os 76 89 164.97676(22)# 71(3) ms α (60%) 161W (7/2-) rowspan=2| rowspan=2| β+ (40%) 165Re 166Os 76 90 165.972691(20) 216(9) ms α (72%) 162W 0+ rowspan=2| rowspan=2| β+ (28%) 166Re 167Os 76 91 166.97155(8) 810(60) ms α (67%) 163W 3/2-# rowspan=2| rowspan=2| β+ (33%) 167Re 168Os 76 92 167.967804(13) 2.06(6) s β+ (51%) 168Re 0+ rowspan=2| rowspan=2| α (49%) 164W 169Os 76 93 168.967019(27) 3.40(9) s β+ (89%) 169Re 3/2-# rowspan=2| rowspan=2| α (11%) 165W 170Os 76 94 169.963577(12) 7.46(23) s β+ (91.4%) 170Re 0+ rowspan=2| rowspan=2| α (8.6%) 176W 171Os 76 95 170.963185(20) 8.3(2) s β+ (98.3%) 171Re (5/2-) rowspan=2| rowspan=2| α (1.7%) 167W 172Os 76 96 171.960023(16) 19.2(5) s β+ (98.9%) 172Re 0+ rowspan=2| rowspan=2| α (1.1%) 168W 173Os 76 97 172.959808(16) 22.4(9) s β+ (99.6%) 173Re (5/2-) rowspan=2| rowspan=2| α (0.4%) 169W 174Os 76 98 173.957062(12) 44(4) s β+ (99.97%) 174Re 0+ rowspan=2| rowspan=2| α (0.024%) 170W 175Os 76 99 174.956946(15) 1.4(1) min β+ 175Re (5/2-) 176Os 76 100 175.95481(3) 3.6(5) min β+ 176Re 0+ 177Os 76 101 176.954965(17) 3.0(2) min β+ 177Re 1/2- 178Os 76 102 177.953251(18) 5.0(4) min β+ 178Re 0+ 179Os 76 103 178.953816(19) 6.5(3) min β+ 179Re (1/2-) 180Os 76 104 179.952379(22) 21.5(4) min β+ 180Re 0+ 181Os 76 105 180.95324(3) 105(3) min β+ 181Re 1/2- 181m1Os 48.9(2) keV 2.7(1) min β+ 181Re (7/2)- 181m2Os 156.5(7) keV 316(18) ns (9/2)+ 182Os 76 106 181.952110(23) 22.10(25) h ε 182Re 0+ 183Os 76 107 182.95313(5) 13.0(5) h β+ 183Re 9/2+ 183mOs colspan="3" | 170.71(5) keV 9.9(3) h β+ (85%) 183Re 1/2- rowspan=2| rowspan=2| IT (15%) 183Os 184Os 76 108 183.9524891(14) 관찰 안정[24] 0+ 2(1)×10−4 185Os 76 109 184.9540423(14) 93.6(5) d ε 185Re 1/2- 185m1Os 102.3(7) keV 3.0(4) µs (7/2-)# 185m2Os 275.7(8) keV 0.78(5) µs (11/2+) 186Os[25] 76 110 185.9538382(15) 2.0(11)×1015 a α 182W 0+ 0.0159(3) 187Os[26] 76 111 186.9557505(15) 안정[27] 1/2- 0.0196(2) 188Os[26] 76 112 187.9558382(15) 안정[28] 0+ 0.1324(8) 189Os 76 113 188.9581475(16) 안정[29] 3/2- 0.1615(5) 189mOs 30.812(15) keV 5.81(6) h IT 189Os 9/2- 190Os 76 114 189.9584470(16) 안정[30] 0+ 0.2626(2) 190mOs 1705.4(2) keV 9.9(1) min IT 190Os (10)- 191Os 76 115 190.9609297(16) 15.4(1) d β- 191Ir 9/2- 191mOs 74.382(3) keV 13.10(5) h IT 191Os 3/2- 192Os 76 116 191.9614807(27) 관찰 안정[31] 0+ 0.4078(19) 192mOs colspan="3" | 2015.40(11) keV 5.9(1) s IT (87%) 192Os (10-) rowspan=2| rowspan=2| β- (13%) 192Ir 193Os 76 117 192.9641516(27) 30.11(1) h β- 193Ir 3/2- 194Os 76 118 193.9651821(28) 6.0(2) a β- 194Ir 0+ 195Os 76 119 194.96813(54) 6.5 min β- 195Ir 3/2-# 196Os 76 120 195.96964(4) 34.9(2) min β- 196Ir 0+ 197Os 76 121 2.8(6) min
참조
[2]
논문
The mystery of the disappearing isotope
[3]
논문
The marine osmium isotope record
[4]
논문
The osmium isotopic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https://www.scienced[...]
[5]
논문
Osmium Isotopes and Mantle Convection
https://www.jstor.or[...]
[6]
논문
Ocean Drilling Perspectives on Meteorite Impacts
[7]
논문
Direct Radiometric Dating of Hydrocarbon Deposits Using Rhenium-Osmium Isotopes
[8]
논문
Anthropogenic osmium in rain and snow reveals global-scale atmospheric contamination
[9]
논문
Cosmogenic 180W variations in meteorites and re-assessment of a possible 184Os–180W decay system
2014-09
[10]
논문
Excess 180W in IIAB iron meteorites: Identification of cosmogenic, radiogenic, and nucleosynthetic components
2018-09
[11]
논문
Decay spectroscopy at the two-proton drip line: Radioactivity of the new nuclides 160Os and 156W
2023
[12]
문서
primordial radionuclide
[13]
문서
Theorized to also undergo β+β+ decay to '''184W'''
[14]
문서
Used in rhenium-osmium dating
[15]
문서
Believed to undergo α decay to '''183W''' with a half-life over 3.2×1015 years
[16]
문서
Believed to undergo α decay to '''184W''' with a half-life over 3.3×1018 years
[17]
문서
Believed to undergo α decay to 185W with a half-life over 3.3×1015 years
[18]
문서
Believed to undergo α decay to '''186W''' with a half-life over 1.2×1019 years
[19]
문서
Believed to undergo α decay to 188W or β−β− decay to '''192Pt''' with a half-life over 5.3×1019 years
[20]
문서
우주의 나이보다 반감기가 긴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안정에 가까움.)
[21]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22]
문서
약어: ε: 붕괴 방식 IT: 핵이성체 전이
[23]
문서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24]
문서
α 붕괴를 통해 '''''180W'''''으로 붕괴하거나 또는 β+β+붕괴를 통해 '''184W'''으로 붕괴할 것으로 예상되며 반감기는 2.8 x 1014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25]
문서
태양계 초창기부터 존재해 왔었던 방사성 핵자
[26]
문서
레늄-오스뮴 연대측정에 이용
[27]
문서
α 붕괴를 통해 '''183W'''으로 붕괴할 수 있다.
[28]
문서
α 붕괴를 통해 '''184W'''으로 붕괴할 수 있다.
[29]
문서
α 붕괴를 통해 '''185W'''으로 붕괴할 수 있다.
[30]
문서
α 붕괴를 통해 '''186W'''으로 붕괴할 수 있다.
[31]
문서
α 붕괴를 통해 188W으로 붕괴하거나 또는 β-β- 붕괴를 통해 '''192Pt''' 로 붕괴할 것이며, 반감기는 1.8 x 1019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