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픈파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픈파이어(Openfire)는 자이브 소프트웨어(Jive Software)가 2002년 시작한 XMPP 서버로, 2008년 커뮤니티에 넘겨졌다. 2005년 와일드파이어(Wildfire)로, 2007년 상표권 문제로 인해 현재의 오픈파이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웹 기반 관리 패널, 플러그인 인터페이스, 사용자 정의 기능, SSL/TLS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50,000명 이상의 동시 사용자를 지원한다. Ignite Realtime 재단에서 관리하며, 커뮤니티 주도로 개발이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바 플랫폼 소프트웨어 - 자바 데스크톱 시스템
  • 자바 플랫폼 소프트웨어 - 핫자바
    핫자바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으로 개발된 웹 브라우저이며, 1995년 TED 컨퍼런스에서 처음 시연되고 SunWorld 컨퍼런스에서 공식 발표되었다.
  • 자바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Jitsi
    Jitsi는 오픈 소스 화상 회의 솔루션으로, 학생 프로젝트에서 시작하여 여러 회사를 거쳐 현재 8x8에 인수되었으며, Jitsi Meet 등을 통해 간편한 화상 회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자바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I2P
    I2P는 2003년 Freenet에서 분기된 익명 P2P 분산 통신 계층으로, IP 주소 노출을 방지하며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익명성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기부금으로 운영되며 6~8주마다 릴리스를 진행한다.
오픈파이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픈파이어
영어 이름Openfire
개발Ignite Realtime
최신 릴리스 버전3.10.3
최신 릴리스 날짜2015년 11월 17일
운영체제윈도우
리눅스
맥 OS
플랫폼자바
장르XMPP 서버
라이선스아파치 라이선스 2.0
웹사이트ignite realtime
오픈파이어 관리자 콘솔
프로그래밍 언어Java
지원 플랫폼크로스 플랫폼

2. 역사

오픈파이어 프로젝트는 2002년경 자이브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이브 메신저'(Jive Messenger)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2005년 '와일드파이어'(Wildfire)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상표권 문제로 인해[3] 2007년 현재의 이름인 '오픈파이어'(Openfire)로 다시 변경되었다. 2008년에는 프로젝트가 완전히 커뮤니티 주도로 넘어갔으며,[4] 자이브 소프트웨어는 2016년까지 프로젝트 호스팅을 지원했다.[5]

2. 1. 개발 초기

오픈파이어 프로젝트는 2002년경 자이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자이브 소프트웨어의 FastPath 웹 기반 고객 지원 도구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며, 초기 이름은 '자이브 메신저'(Jive Messenger)였다. 2005년에는 '와일드파이어'(Wildfire)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상표권 문제로 인해[3] 2007년에 다시 '오픈파이어'(Openfire)로 변경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08년에 완전히 커뮤니티에 넘겨졌으며,[4] 자이브 소프트웨어는 2016년까지 프로젝트를 호스팅했다.[5]

2. 2. 명칭 변경

오픈파이어 프로젝트는 2002년경 자이브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이브 메신저'(Jive Messenger)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자이브 소프트웨어의 FastPath 웹 기반 고객 지원 도구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2005년에는 '와일드파이어'(Wildfire)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상표권 문제로 인해[3] 2007년에 다시 현재의 이름인 '오픈파이어'(Openfire)로 변경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08년에 완전히 커뮤니티에 넘겨졌으며,[4] 자이브는 2016년까지 프로젝트를 호스팅했다.[5]

2. 3. 커뮤니티 주도 개발

오픈파이어 프로젝트는 2002년경 자이브 소프트웨어(Jive Software)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그들의 FastPath 웹 기반 고객 지원 도구와 '자이브 메신저'(Jive Messenger)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2005년에 '와일드파이어'(Wildfire)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상표권 문제로 인해[3] 2007년에는 '오픈파이어'(Openfire)로 다시 이름이 변경되었다.

자이브 소프트웨어는 2008년에 이 프로젝트를 완전히 커뮤니티에 넘겼다.[4] 프로젝트가 Ignite Realtime 커뮤니티로 이전된 후, Ignite Realtime 재단[6]이 설립되어 해당 프로젝트를 관리하게 되었다. 자이브 소프트웨어는 커뮤니티 이관 후에도 2016년까지 프로젝트 호스팅을 지원했다.[5] 오픈파이어는 Ignite Realtime 재단의 일원으로서 커뮤니티 모델 하에 개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프로젝트 리더는 데이브 크리들랜드이다.

3. 관리 기능

Jive Software가 Ignite Realtime 커뮤니티에 프로젝트를 이관한 후, Ignite Realtime 재단[6]이 해당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오픈파이어는 Ignite Realtime 재단의 일원으로서 커뮤니티 모델 하에 개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프로젝트 리더는 데이브 크리들랜드이다.

서버 관리는 주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관리자는 어디서든 접속하여 서버 및 구성 설정을 편집할 수 있다. 오픈파이어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지원한다.


  • 웹 기반 관리 패널
  • 플러그인 인터페이스
  • 사용자 정의 가능
  • SSL/TLS 지원[7]
  • 사용자 친화적인 웹 인터페이스 및 안내 설치
  • 메시지 및 사용자 세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연결 (예: 내장 HSQLDB 또는 JDBC 3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다른 DBMS)
  • LDAP 연결 지원
  • 플랫폼 독립성 (순수 자바 기반)
  • 스파크 클라이언트와의 완전한 통합
  • 50,000명 이상의 동시 사용자 지원 가능[8]


오픈파이어는 플러그인 및 사용자 정의 빌드에 대한 강력한 지원을 제공한다. 관리 콘솔을 통해 다양한 플러그인을 즉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많은 설치 환경에서 맞춤형 플러그인을 사용한다.

여러 서버 인스턴스를 하나의 클러스터 환경에서 함께 작동시키는 클러스터링 기능도 지원한다. 이는 오픈 소스 Hazelcas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오픈 소스 클러스터링 플러그인을 통해 가능하다.

3. 1. 웹 기반 관리 콘솔

오픈파이어 서버의 관리는 대부분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웹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포트 9090(HTTP)과 9091(HTTPS)에서 실행된다. 관리자는 어디서든 웹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서버 및 구성 설정을 편집할 수 있다.

4. 주요 기능

오픈파이어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지원한다.


  • 웹 기반 관리 패널: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 설정을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SSL/TLS 지원: 보안 통신을 위해 SSL/TLS 암호화 연결을 지원한다.[7]
  • 사용자 친화적인 웹 인터페이스 및 설치 안내: 직관적인 웹 인터페이스와 단계별 설치 안내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설치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데이터베이스 연결: 메시지 기록, 사용자 정보 등 서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내장된 HSQLDB를 사용하거나, JDBC 3 드라이버를 통해 외부 DBMS 시스템과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 LDAP 연결: 기존에 구축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나 디렉토리 서비스와 연동하기 위해 LDAP 연결 기능을 지원한다.
  • 플랫폼 독립성: 순수 자바로 개발되어 JVM이 설치된 어떤 운영체제 환경에서도 구동될 수 있다.
  • 스파크 클라이언트와의 완전한 통합: XMPP 기반의 메신저 클라이언트인 스파크와 완벽하게 호환되어, 클라이언트-서버 간 원활한 연동을 보장한다.

4. 1. 확장성

오픈파이어는 플러그인 및 사용자 정의 빌드에 대한 강력한 지원을 통해 높은 확장성을 제공한다.[7] 주요 확장 관련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플러그인 인터페이스 지원
  • 사용자 정의 가능
  • 50,000명 이상의 동시 사용자를 지원 가능[8]


관리 콘솔을 통해 즉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수많은 플러그인이 있으며, 많은 설치 환경에서는 필요에 따라 맞춤형 플러그인을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오픈파이어는 여러 서버 인스턴스가 하나의 클러스터 환경에서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픈 소스 Hazelcas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오픈 소스 클러스터링 플러그인을 제공한다. 클러스터링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하거나 시스템의 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penfire Under Apache 2.0 License http://www.igniterea[...] 2009-09-15
[2] 서적 Kadar, Gyorgy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0-31
[3] 블로그 Some bad news on Naming https://discourse.ig[...]
[4] 블로그 Openfire Enterprise is becoming Open Source https://discourse.ig[...]
[5] 토론포럼 Jive Software will stop sponsoring IgniteRealtime hosting https://discourse.ig[...]
[6] 블로그 Starting the Ignite Realtime Foundation https://discourse.ig[...]
[7] 웹사이트 Openfire 3.7.0 has been released! http://community.ign[...] 2011-03-02
[8] 웹사이트 Openfire Scalability https://www.ignitere[...] 2007-03-14
[9] 웹인용 Openfire Under Apache 2.0 License http://www.igniterea[...] 2009-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