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 가산사 영정각 및 산신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옥천 가산사 영정각 및 산신각은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답양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입니다. 2000년 12월 22일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11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가산사는 신라 성덕왕 19년(720년)에 창건된 고찰로, 임진왜란 때 승병장 영규대사와 의병장 조헌 선생이 의승군과 의병을 훈련했던 호국사찰입니다. 가산사 영정각은 영규대사와 조헌 선생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조선 숙종 21년(1695년)에 건립되었으며, 산신각은 산신탱화를 봉안하기 위해 영정각과 같은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영정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매우 작은 규모이지만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영정각 지붕 용마루 기와에는 "강희 33년 갑술 4월 망일(康熙 33年 甲戌 4月 望日…)"이라는 명문이 있어 1694년(숙종 20)에 제작된 기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산신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1624년(인조 2) 극락전을 중건할 때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 산신각 중에서 가장 작을 법한 이 산신각은 '효험'이 크다고 하여 불자들 사이에서 정평이 나 있습니다.
가산사는 임진왜란 당시 의승군과 의병의 훈련장이자,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영규대사와 조헌 선생의 위패를 모신 호국정신이 깃든 사찰로서 역사적 의미가 큽니다. 1910년 일제강점기에는 항일운동의 기지가 될 것을 우려한 조선총독부에 의해 영정이 강제로 빼앗기기도 했습니다.
2023년 1월 21일, 가산사 주지 지원 스님은 가산사가 품고 있는 호국정신을 널리 알리고, 한국의 평화통일과 세계평화를 위한 '호국대재'를 봉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옥천 가산사 영정각 및 산신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옥천 가산사 영정각 및 산신각 | |
일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안내회남로 671 (답양리)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115호 |
지정일 | 2000년 12월 22일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 | 2동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