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깃풀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깃풀과는 홍조식물문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여러 속을 포함한다. 해양 및 비해양 생물 속의 잠정 목록과 AlgaeBase에 따르면, 외깃풀과는 Callithamnieae, Crouanieae, Euptiloteae, Gymnothamnieae, Perithamnieae, Rhodocallideae, Spyrdieae 등의 부를 포함하며, 각 부는 다양한 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외깃풀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Callithamniaceae Kützing, 1843 |
명명자 | Kützing, 1843 |
분류 | |
역 | 진핵생물 |
미분류 | 원시색소체생물 |
문 | 홍조식물문 |
강 | 진정홍조강 |
목 | 비단풀목 |
하위 분류 | |
아과 | 외깃풀아과 (Callithamnioideae) 자루풀아과 (Crouanioideae) 비단사돈풀아과 (Spyridioideae) |
속 | 텍스트 참조 |
속 목록 | 악시오포라 알리토클라디아 아네이리니아 아플라코스포라 아레스코우기엘라 발리아니아 발리아니옵시스 베르톨디아 볼디엘라 칼리탐니엘라 칼리탐니온 카르포글로숨 카스테르스기아 케라미엘라 클로스트리오스포룸 코디올라 코엘로클라디아 코넬리아 크로우아니아 크로우아니옵시스 쿠츠잉기아 디델포글로숨 유클라디아 유클라디오프시스 가우디클라우디아 게르미노스포라 글레오클라디엘라 글로이오포이오필룸 할리옵시스 할로케라스 헬민토클라디아 헬민토클라디옵시스 이시게아리아 이솔로프렉타 키르첸스테이니아 카우프마넬라 레이벨링기아 로도캄피 메르텐시에라 마이크로클라디아 미할레비치아 미로시아 네오아그라르디엘라 네오할리메니아 네오헬민토클라디아 파라클로노스포라 페디셀라리아 플레보글로숨 플루모캄피 프세우도암피로아 프세우도할리메니아 프실로클라디아 로스마리니아 스카글리아 세르몰로풀룸 스페르모스포라 스피리디아 스피리디오프시스 스토케시아 시노이클로니아 탄고아 트리코글로이옵시스 트위디아 |
이미지 | |
![]() |
2. 하위 속
외깃풀과는 여러 하위 분류 단위를 포함한다. 전통적으로 외깃풀아과(Callithamnioideae), 자루풀아과(Crouanioideae), 비단사돈풀아과(Spyridioideae) 등으로 분류되어 왔으며, 각 아과 아래에 여러 속(Genus)이 포함된다.[1]
해양 및 비해양 생물 속의 잠정 목록[1] 및 AlgaeBase[3]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최근 분류 체계에서는 보다 세분화된 부(부)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주요 부(Tribe)로는 Callithamnieae, Crouanieae, Euptiloteae, Gymnothamnieae, Perithamnieae, Rhodocallideae, Spyridieae 등이 있으며, 각 부는 다시 여러 속(Genus)으로 나뉜다.[1][3]
외깃풀과에 속하는 구체적인 속 목록과 각 속에 대한 정보는 하위 분류(부)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Callithamnieae
외깃풀과(Ceramiaceae)의 Callithamnieae 부는 J.Agardh가 명명하였으며, 다음 속(Genus)들을 포함한다.[1][3]속명 (학명) | 명명자 및 연도 | 종 수 | 한국어 속명 |
---|---|---|---|
Aglaothamnion | G. Feldman-Mazoyer, 1941 | 30 종 | 엇깃풀속 |
Aristoptilon | M.H. Hommersand & W.A. Nelson in M.H. Hommersand et al., 2006 | 1 종 | |
Aristothamnion | J.Agardh, 1892 | 2 종 | |
Callithamnion | Lyngbye, 1819 | 74 종 | 외깃풀속 |
Carpothamnion | Kützing, 1849 | 1 종 | |
Diapse | Kylin, 1956 | 1 종 | |
Falklandiella | Kylin, 1956 | 1 종 | |
Gaillona | Bonnemaison, 1828 | 4 종 | |
Georgiella | Kylin, 1956 | 1 종 | |
Heteroptilon | M.H. Hommersand in M.H. Hommersand, D.W. Freshwater, J. López-Bautista & S. Fredericq, 2006 | 2 종 | |
Hirsutithallia | E.M. Wollaston & H.B.S. Womersley in H.B.S. Womersley, 1998 | 6 종 | |
Nwynea | R.B. Searles in R.B. Searles & C.W. Schneider, 1989 | 1 종 | |
Pseudospora | Schiffner, 1931 | 1 종 |
2. 2. Crouanieae
Crouanieae는 외깃풀과에 속하는 하위 분류 단위인 부(Tribe)이다.[1][3] 이 부에는 총 39종이 포함되며, 속(Genus)별 정보는 아래와 같다.속명 (학명) | 명명자 및 연도 | 종 수 |
---|---|---|
Crouania | J.Agardh, 1842 | 19 |
Crouanophycus | A. Athanasiadis, 1998 | 2 |
Euptilocladia | Wollaston, 1968 | 3 |
Gattya | Harvey, 1855 | 2 |
Gulsonia | Harvey, 1855 | 3 |
Ptilocladia | Sonder, 1845 | 10 |
2. 3. Euptiloteae
Euptiloteae 부는 다음 속을 포함한다.[1][3]속명 | 명명자 및 연도 | 종 수 |
---|---|---|
Euptilota | (Kützing) Kützing, 1849 | 5 |
Sciurothamnion | De Clerck & Kraft, 2002 | 1 |
Seirospora | Harvey, 1846 | 9 |
2. 4. Gymnothamnieae
Gymnothamnieae 부는 M. Kajimura가 명명했으며, 다음 속을 포함한다.[1][3]- ''Gymnothamnion'' J.Agardh, 1892 - 3 종.
2. 5. Perithamnieae
페리탐니온족(Perithamnieae)은 홍조류 외깃풀과에 속하는 하위 분류이다. 아타나시아디스(Athanasiadis)가 명명했으며, 총 5종을 포함한다.[1][3]- ''Perithamnion'' J.Agardh, 1892 - 2종
- ''Scageliopsis'' E.M.Wollaston, 1981 - 3종
2. 6. Rhodocallideae
M.H. Hommersand, S.M. Wilson, G.T. Kraft가 명명한 분류군이다.[1][3] 총 2속 3종으로 이루어져 있다.[3]속명 | 명명자 | 종 수 |
---|---|---|
Psilothallia | F. Schmitz, 1896 | 2 |
Rhodocallis | Kützing, 1847 | 1 |
2. 7. Spyrdieae
Spyridieae 족은 비단사돈풀아과(Spyridioideae)에 속한다.[1][3] 이 족은 주로 다음 속으로 구성된다.2. 8. 기타
해양 및 비해양 생물 속의 잠정 목록[1] 및 AlgaeBase[3]에 따르면, 외깃풀과는 여러 부(Tribe)와 속(Genus)으로 분류된다. 주요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부 | 속 | 종 수 |
---|---|---|
Callithamnieae | Aglaothamnion | 30 |
Callithamnieae | Aristoptilon | 1 |
Callithamnieae | Aristothamnion | 2 |
Callithamnieae | Callithamnion | 74 |
Callithamnieae | Carpothamnion | 1 |
Callithamnieae | Diapse | 1 |
Callithamnieae | Falklandiella | 1 |
Callithamnieae | Gaillona | 4 |
Callithamnieae | Georgiella | 1 |
Callithamnieae | Heteroptilon | 2 |
Callithamnieae | Hirsutithallia | 6 |
Callithamnieae | Nwynea | 1 |
Callithamnieae | Pseudospora | 1 |
Crouanieae | Crouania | 19 |
Crouanieae | Crouanophycus | 2 |
Crouanieae | Euptilocladia | 3 |
Crouanieae | Gattya | 2 |
Crouanieae | Gulsonia | 3 |
Crouanieae | Ptilocladia | 10 |
Euptiloteae | Euptilota | 5 |
Euptiloteae | Sciurothamnion | 1 |
Euptiloteae | Seirospora | 9 |
Gymnothamnieae | Gymnothamnion | 3 |
Perithamnieae | Perithamnion | 2 |
Perithamnieae | Scageliopsis | 3 |
Rhodocallideae | Psilothallia | 2 |
Rhodocallideae | Rhodocallis | 1 |
Spyridieae | Spyridia | 17 |
참조
[1]
웹사이트
Callithamniaceae Kützing, 1843
http://www.irmng.org[...]
2018
[2]
서적
Phycologia generalis oder Anatomie, Physiologie und Systemkunde der Tange. Mit 80 farbig gedruckten Tafeln, gezeichnet und gravirt vom Verfasser
F.A. Brockhaus
1843
[3]
AlgaeBase taxon
[4]
웹인용
Family: Callithamniaceae
http://www.algaebase[...]
AlgaeBase
2015-09-12
[5]
웹인용
외깃풀속
https://www.nibr.go.[...]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2015-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