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지하철 1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한 지하철 1호선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우한시에 있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2004년 7월 28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연장되어 2017년 12월 26일 징허에서 둥우다다오 구간이 추가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총 4량 1편성의 B형 열차를 사용하며, 최고 속도 100km/h로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한 지하철 노선 - 우한 지하철 8호선
우한 지하철 8호선은 총 연장 38.197km의 전 구간 지하 노선으로, 2017년부터 단계별 개통을 거쳐 2021년에 완전한 노선을 갖추었으며 현재 진탄루역에서 군운회 선수촌역까지 26개 역을 운행하고 있다. - 우한 지하철 노선 - 우한 지하철 7호선
우한 지하철 7호선은 중국 우한시의 도시 철도 노선으로, 2018년 개통 이후 단계적으로 확장되어 현재 4개 구간이 운행 중이며, 안전, 예산, 환경 관련 논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노선 연장이 전망된다. - 200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는 서울과 부산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90년 건설 계획 결정 후 3단계에 걸쳐 건설되어 2015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프랑스 TGV 기술 도입으로 서울-부산 간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KTX 열차 운행을 통해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이 되었다. - 200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대불선
대불선은 2004년 대불국가산업단지 개발 계획에 의해 건설되어 일로역과 대불역을 운영하며 총 12.0km 구간을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하는 철도 노선이다. - 우한 지하철 - 항저우 지하철
항저우 지하철은 2007년 1호선 건설을 시작으로 개통되어 2023년 현재 12개 노선이 운영 중인 항저우 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시내 및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이며 2027년까지 노선 확장이 계획되어 있다. - 우한 지하철 - 우한 지하철 8호선
우한 지하철 8호선은 총 연장 38.197km의 전 구간 지하 노선으로, 2017년부터 단계별 개통을 거쳐 2021년에 완전한 노선을 갖추었으며 현재 진탄루역에서 군운회 선수촌역까지 26개 역을 운행하고 있다.
| 우한 지하철 1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 노선 체계 | 우한 지하철 |
| 노선 상태 | 운영 중 |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우한시 |
| 노선 기점 | 한커우 북역 |
| 노선 종점 | 징허 역 |
| 역 개수 | 32개 역 |
| 노선 개통 | 2004년 7월 28일 |
| 소유주 | 우한시 |
| 운영자 | 우한 지하철 그룹 유한공사 |
| 노선 특징 | 고가 |
| 차량 기지 | 구톈 차량 기지 한커우 북 차량 기지 |
| 사용 차량 | 중국중차 창춘 궤도객차 중국 B형 중국중차 주저우 전기기관차 중국 B형 |
| 노선 길이 | 38km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선로 수 | 2 |
| 전철화 방식 | 제3궤조 750V DC |
| 일일 승객 수 | 404,100명 (2018년 11월 일일 평균) |
| 노선도 | |
![]() | |
| 명칭 | |
| 중국어 간체 | 武汉轨道交通一号线 |
| 병음 | Wǔhàn Guǐdào Jiāotōng Yī Hào Xiàn |
| 이전 명칭 | (qīngguǐ, 경궤) |
| 기술 정보 | |
| 최고 속도 | 80km/h |
2. 역사
우한 지하철 1호선은 2004년 7월 28일 황포루역과 종관역 사이의 1단계 구간 개통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전 구간이 지상 또는 고가로 건설되었으며 지하 구간은 없다. 차량은 4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2010년에는 2단계 구간이 개통되어 제각역에서 황포루역, 종관역에서 동오대가역까지 노선이 양방향으로 연장되었고, 이 때 '''장한루역'''이 '''순례문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6][7] 이후 2014년에는 한커우베이역까지 북쪽으로 연장되었고,[8][16] 같은 해 주엽해역이 추가되었다.[9] 2017년에는 동오대가역에서 경하역까지 남서쪽으로 다시 연장되어 현재의 노선에 이르고 있다.[10]
2. 1. 건설 및 확장
| 구간 | 개통일 | 길이 | 역 수 | 이름 |
|---|---|---|---|---|
| 황포루역 — 종관역 | 2004년 7월 28일 | 9.769km | 10 | 1단계 |
| 제각역 — 황포루역 | 2010년 7월 29일 | 7.04km | 6 | 2단계 |
| 종관역 — 동오대가역 | 11.454km | 9 | ||
| 한커우베이역 — 제각역 | 2014년 5월 28일 | 5.555km | 3 | 한커우 북 연장선[8][16] |
| 주엽해역 | 2014년 9월 17일 | 보조역 | 1 | [9] |
| 동오대가역 — 경하역 | 2017년 12월 26일 | 4.118km | 3 | 징허 북 연장선[10] |
3. 역 목록
우한 지하철 1호선은 여러 단계에 걸쳐 개통되었다. 1단계 구간은 쭝관에서 황푸루까지 운행했으며, 이후 2단계 연장을 통해 서쪽으로는 둥시후구의 징허까지, 동쪽으로는 황피구의 한커우 북까지 노선이 확장되었다.[7] 초기에는 승강장 안전 설비가 없었으나, 이후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점진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3. 1. 역 정보
(km)(k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