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테이블 합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이브테이블 합성은 파형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운드 합성 방법의 일종이다. 맥스 매튜스가 1958년 MUSIC II의 일부로 발명했으며, 4성 동시 발음과 16개의 파형 생성이 가능했다. 할 챔벌린은 1977년 웨이브테이블 합성에 대해 논의했고, 울프강 팜은 1970년대 후반에 자체 버전을 개발하여 1979년에 발표했다. 이 기술은 PPG와 월도프 뮤직의 신디사이저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에서도 활용된다. 마이클 맥냅은 1978년 Dreamsong에서 웨이브테이블 합성을 독립적으로 사용했다. 테이블 조회 합성은 테이블 조회를 통해 파형 테이블을 사용하며, 파형 또는 샘플의 길이는 사운드 합성 방법에 따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리 합성 유형 - 샘플 기반 합성
샘플 기반 합성은 녹음된 오디오 샘플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색을 생성하는 합성 방식으로, 낮은 연산 능력으로도 고품질 음색 구현이 가능하지만 멀티샘플링 시 동시 발음수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샘플러와 소프트웨어 샘플러의 발전으로 더욱 다양한 음색 표현이 가능해졌다. - 소리 합성 유형 - FM 음원
FM 음원은 주파수 변조를 이용해 소리를 합성하는 방식으로, 신디사이저와 음원 칩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야마하 DX7 신디사이저를 통해 대중화되어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MIDI - 전자 드럼
전자 드럼은 1970년대 후반부터 개발되어 현실적인 연주감과 다양한 기능을 갖춘 악기로 진화했으며, 롤랜드 등의 제조사에서 어쿠스틱 드럼에 가까운 사운드와 타격감을 제공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대중화에 기여했고, 현재는 고품질 디지털 사운드와 향상된 센서 기술을 갖춘 다양한 종류의 전자 드럼이 널리 사용된다. - MIDI - MIDI 컨트롤러
MIDI 컨트롤러는 자체적으로 소리를 내지 않고 외부 음원이나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를 제어하여 음악을 만들고 연주하는 장치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슬라이더, 노브 등으로 외부 MIDI 장치를 제어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데스크톱 뮤직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고 라이브 공연 등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웨이브테이블 합성 |
---|
2. 개발
1958년 맥스 매튜스가 MUSIC II를 개발하면서 웨이브테이블 합성을 고안했다. 1977년 할 챔벌린은 바이트 지에서 웨이브테이블 합성에 관해 논했다.[2] 1970년대 후반, 팜 프로덕츠(Palm Products GmbH, PPG)의 울프강 팜은 자신만의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개발하여 1979년에 발표했다. 마이클 맥냅은 1978년 작곡 Dreamsong에서 웨이브테이블 합성을 독립적으로 사용했다.[1]
2. 1. 초기 개발
1958년 맥스 매튜스는 MUSIC II를 개발하면서 웨이브테이블 합성을 고안했다. MUSIC II는 4성 동시발음 기능을 갖추고 웨이브테이블 오실레이터를 통해 16개 파형을 생성할 수 있었다.[1]할 챔벌린은 1977년 9월 바이트 지에서 웨이브테이블 합성에 관해 논했다.[2]
2. 2. 상용화
1970년대 후반, 팜 프로덕츠(Palm Products GmbH, PPG)의 울프강 팜은 자신만의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개발하여 1979년에 발표했다.[1] 이후 이 기술은 PPG와 월도프 음악이 만든 신디사이저의 기본 합성 방법으로 사용되었고, 엔소닉과 월도프 뮤직에서는 보조 합성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현재 월도프 뮤직의 하드웨어 신디사이저와 PPG 및 월도프에서 제공하는 앱을 포함하여 PC 및 태블릿용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에 사용된다.2. 3. 독립적 개발
마이클 맥냅은 1978년 작곡 Dreamsong에서 웨이브테이블 합성을 독립적으로 사용했다.[1]3. 테이블 조회 합성
테이블 조회 합성은 테이블 조회를 통해 파형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운드 합성 방법의 한 종류이다. Table-lookup synthesis영어는 Roads가 1996년에 언급하였다. 파형이나 샘플의 길이는 각 사운드 합성 방법에 따라 단일 주기에서 최대 몇 분까지 다양할 수 있다.[3][4]
3. 1. 파형 테이블
테이블 조회 합성은 테이블 조회를 통해 파형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운드 합성 방법 중 하나이다.[3][4] 파형이나 샘플의 길이는 각 사운드 합성 방법에 따라 단일 주기에서 최대 몇 분까지 다양할 수 있다.참조
[1]
웹인용
‘MUSIC N’, Max Vernon Mathews, USA, 1957
https://120years.net[...]
2013-12-26
[2]
간행물
A sampling of techniques for computer performance of music
http://retro.hansott[...]
Byte
1977-09
[3]
웹인용
Viewpoints on the History of Digital Synthesis: Taxonomy of Digital Synthesis Techniques
https://ccrma.stanfo[...]
Stanford University
2015-02-24
[4]
저널
Dreamsong: The Composition
http://www.mcnabb.co[...]
2015-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