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순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윤순거(尹舜擧, 1596년 ~ 166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입니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노직(魯直), 호는 동토(童土)입니다. 아버지는 대사간 윤황(尹煌)이며, 어머니는 당대의 명유인 성혼(成渾)의 딸입니다.
생애 및 활동:


  • 1633년(인조 11) 사마시에 합격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습니다.
  • 1636년 병자호란 때 아버지가 척화죄로 귀양을 가고, 작은아버지가 강화도에서 순절하자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했습니다.
  • 1645년(인조 23) 대군사부(大君師傅)를 시작으로 벼슬길에 올랐습니다.
  • 이후 상의원주부, 형조좌랑, 안음현감, 의령현감, 종부시주부, 공조정랑, 금구현령, 영월군수, 사헌부장령, 사직서령, 세자익위사익위, 군자감정, 예빈시정, 상의원정 등을 역임했습니다.
  • 의령현감 재직 시 이황(李滉)과 남효온(南孝溫)의 사(祠)를 건립했습니다.
  • 1660년(현종 1) 영월군수로 재직하며 『노릉지(魯陵志)』를 편찬하고, 단종의 사묘인 지덕암(旨德庵)을 중건했습니다.
  •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이이(李珥)의 『증손여씨향약(增損呂氏鄕約)』과 주희(朱熹)의 『가례(家禮)』에 의거해 종약(宗約)을 제정하여 실천했습니다.
  • 강항(姜沆)을 위해 「강감회요서(綱鑑會要序)」, 「수은강공행장(睡隱姜公行狀)」을 저술하고, 강항의 『간양록(看羊錄)』 편찬에 참여하여 존왕양이(尊王壤夷) 정신을 고취했습니다.

학문 및 저술:

  • 주요 저서로는 『동토집(童土集)』, 『노릉지(魯陵志)』가 있습니다.
  • 단종과 관련된 기록을 수집하여 『노릉지』를 편찬하여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정신을 강조했습니다.
  • 김장생(金長生)에게 예학(禮學)을 배웠습니다.
  • 여러 서체에 능했으며, 특히 초서(草書)에 뛰어났습니다.

가족 관계:

  • 아버지: 윤황(尹煌)
  • 어머니: 성혼(成渾)의 딸
  • 큰아버지: 윤수(尹燧) (입양)
  • 외삼촌: 성문준(成文濬)
  • 스승: 강항(姜沆), 김장생(金長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