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나치사르투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나치사르투트는 그린란드의 입법 기관으로, 1979년 그린란드 자치 의회 선거를 통해 구성된 이후 그린란드 정치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 주요 정당으로는 사회민주주의 정당 시우무트, 사회주의 정당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 중도 자유주의 정당 민주당, 자유보수주의 정당 아타수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그린란드의 자치권 확대, 독립 문제, 경제 발전 등을 두고 경쟁한다. 1979년 이후 치러진 총선에서 시우무트와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번갈아 가며 원내 1당을 차지했으며, 2021년 총선에서는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12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다.

2. 인락시수트 구성 (1979년 - 현재)

1979년 그린란드 자치정부 수립 이후 이나치사르투트(그린란드 의회)의 정당별 의석수 변동은 다음과 같다.

정당19791983198419871991199519992002200520092013201420182021
Inuit Ataqatigiit|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da823456787141111812
Siumut|시우무트da13121111111211101091411910
Atassut|아타수트da812111181087632222
Issittup Partiia|이시트룹 파르티아da---11---------
Akulliit Partiiat|아쿨리트 파르티아트da----22--------
Kattusseqatigiit|카투세카티기트da (무소속)------4111----
Demokraatit|데모크라티트da (민주당)-------5742463
Partii Inuit|파르티 이누이트da----------2---
Partii Naleraq|파르티 날레라크da-----------344
Nunatta Qitornai|누나타 키토르나이da------------1-
Suleqatigiissitsisut|술레카티기싯수트da------------1-
기타-----11-------



각 정당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정당별 의석 변동 추이'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2. 1. 정당별 의석 변동 추이

1979년부터 2021년까지 그린란드 의회인 이나치사르투트의 정당별 의석 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다.

정당19791983198419871991199519992002200520092013201420182021
Siumut|시우무트da13121111111211101091411910
Inuit Ataqatigiit|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da823456787141111812
Demokraatit|민주당da-------5742463
Atassut|아타수트da812111181087632222
Partii Naleraq|파르티 날레락da-----------344
Nunatta Qitornai|누나타 키토르나이da------------1-
Akulliit Partiiat|아쿨리트 파르티아트da----22--------
Issittup Partiia|이시트룹 파르티아da---11---------
Kattusseqatigiit|카투세 카티키트da------4111----
Suleqatigiissitsisut|술레카티기싯수트da------------1-
무소속-----11-------


  • 주요 정당:
  • Siumut|시우무트da: 1979년 창당 이후 2009년까지 제1당이었으나, 2013년 총선에서 다시 1당이 되었다가 2021년 총선에서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에 밀려 제2당이 되었다.
  • Inuit Ataqatigiit|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da: 1976년 창당되었으며, 2009년과 2021년에 제1당이 되었다.
  • Demokraatit|민주당da: 2002년 창당된 이후 꾸준히 의석을 확보하고 있다.
  • Atassut|아타수트da: 1979년 창당 이후 꾸준히 의석을 확보하고 있다.
  • 정당 간 경쟁 구도: 시우무트와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는 그린란드 정치의 양대 정당으로, 협력과 경쟁을 반복하며 그린란드의 자치권 확대와 독립을 추진해 왔다.
  • 기타 정당: 파르티 날레락, 누나타 키토르나이 등은 최근 선거에서 의석을 획득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아쿨리트 파르티아트, 이시트룹 파르티아, 카투세 카티키트, 술레카티기싯수트는 과거 한때 의석을 확보했었다.

2. 1. 1. 시우무트 (Siumut)

Siumutda(시우무트)는 그린란드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이다. 1979년 창당 이후 그린란드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시우무트는 그린란드의 독립보다는 덴마크 왕국 내에서의 자치권 확대를 주장하며, 사회 복지 정책과 경제 발전을 강조한다.

다음은 1979년부터 2021년까지 시우무트의 의석 변동 추이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의석 수
1979년13
1983년12
1984년11
1987년11
1991년11
1995년12
1999년11
2002년10
2005년10
2009년9
2013년14
2014년11
2018년9
2021년10



시우무트는 2009년에 이누이트 아타카티기트(IA)에 제1당 자리를 내주기 전까지 그린란드 정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2013년 총선에서 다시 제1당이 되었지만, 2021년 총선에서는 다시 이누이트 아타카티기트에 밀려 제2당이 되었다.

시우무트는 한국의 더불어민주당과 유사하게 사회민주주의 이념을 추구하며, 사회 복지 확대와 경제 성장을 동시에 강조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그린란드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하여 독립보다는 자치권 확대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 1. 2.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 (Inuit Ataqatigiit)

Inuit Ataqatigiitda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한국어)는 그린란드의 좌파 사회주의 정당이다. 1976년에 창당되었으며, 그린란드의 독립을 지지한다.

1979년부터 2021년까지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의 의석 변동은 다음과 같다.

연도의석 수
1979년0
1983년2
1984년3
1987년4
1991년5
1995년6
1999년7
2002년8
2005년7
2009년14
2013년11
2014년11
2018년8
2021년12



2009년 총선에서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는 31석 중 14석을 차지하여 원내 제1당이 되었고, 쿠핔 클레이스트가 총리에 취임했다. 그러나 2013년 총선에서는 시우무트에 밀려 제2당으로 내려앉았고, 2014년 총선과 2018년 총선에서도 의석 수가 감소했다. 2021년 총선에서는 다시 의석을 늘려 12석을 확보하며 제1당 지위를 회복했다.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는 시우무트와 함께 그린란드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당이다. 두 정당은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경쟁하면서 그린란드의 자치권 확대와 독립을 추진해 왔다. 특히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는 그린란드의 완전한 독립을 주장하며, 덴마크로부터의 단계적인 독립을 추진하고 있다.

2. 1. 3. 민주당 (Demokraatit)

민주당(Demokraatit)은 그린란드의 중도 자유주의 정당이다. 2002년에 창당되었으며, 그린란드 정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선거 연도의석 수
2002년5석
2005년7석
2009년4석
2013년2석
2014년4석
2018년6석
2021년3석


2. 1. 4. 아타수트 (Atassut)

아타수트(Atassut)는 그린란드자유보수주의 정당이다. 1979년 그린란드 자치의회 선거에서 8석을 얻으며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했다. 아타수트는 덴마크 왕국 내에서 그린란드의 지위를 유지하는 것을 지지한다.

다음은 아타수트의 역대 선거별 의석수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선거 연도의석 수비고
1979년8
1983년12
1984년11
1987년11
1991년8
1995년10
1999년8
2002년7
2005년6
2009년3
2013년2
2014년2
2018년2
2021년2




2. 1. 5. 기타 정당

이나치사르투트에서 활동하는 기타 정당으로는 누나타 키토르나이(Nunatta Qitornai)와 파르티 날레락(Partii Naleraq) 등이 있다. 이들 정당의 의석 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다.

연도누나타 키토르나이
(Nunatta Qitornai)
파르티 날레락
(Partii Naleraq)
기타
1979년--이시트룹 파르티아 1석
1983년---
1984년---
1987년--이시트룹 파르티아 1석
1991년--이시트룹 파르티아 1석
1995년--무소속 1석
1999년--카투세 카티키트 4석, 무소속 1석
2002년--카투세 카티키트 1석
2005년--카투세 카티키트 1석
2009년--카투세 카티키트 1석
2013년---
2014년-3-
2018년14술레카티기싯수트 1석
2021년-4-


  • 누나타 키토르나이(Nunatta Qitornai): 2018년 총선에서 1석을 획득했다.
  • 파르티 날레락(Partii Naleraq): 2014년 총선에서 3석을 얻은 후, 2018년과 2021년 총선에서 각 4석을 획득했다.
  • 이시트룹 파르티아(Issittup Partiia): 1987년과 1991년 총선에서 각 1석을 획득했다.
  • 카투세 카티키트(Kattusse qatigiit): 1999년 총선에서 4석, 2002년, 2005년, 2009년 총선에서 각 1석을 획득했다.
  • 술레카티기싯수트(Suleqatigiissitsisut): 2018년 총선에서 1석을 획득했다.


2. 2. 선거 결과 분석



이나치사르투트(그린란드 의회) 선거는 1979년 그린란드가 자치권을 획득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초기에는 시우무트와 아타수트 양당 구도가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이누이트 아타카티기트(IA)를 비롯한 다양한 정당들이 등장하면서 다당제 구도로 변화하였다. 특히 2009년 총선에서는 IA가 처음으로 원내 제1당으로 부상하며 그린란드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79년부터 2021년까지 치러진 총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나치사르투트 역대 총선 결과 (1979-2021)
정당1979년1983년1984년1987년1991년1995년1999년2002년2005년2009년2013년2014년2018년2021년
이누이트 아타카티기트(IA)-23456787141111812
시우무트13121111111211101091411910
아타수트812111181087632222
이시투프 파르티아(IP)---11---------
아쿨리트 파르티아트----22--------
카투세 카티기트(무소속)------4111----
데모크라티트(민주당)-------5742463
파르티이 이누이트----------2---
파르티 날레라크-----------344
눈나타 키토르나이------------1-
술레카티기잇시수트------------1-
기타-----11-------


2. 2. 1. 1979년 총선

1979년 그린란드 자치정부 수립 후 첫 총선이 실시되었다. 이 선거에서 시우무트는 21석 중 13석을 차지하여 다수당이 되었고, 아타수트는 8석을 얻었다.

정당의석 수
시우무트13
아타수트8


2. 2. 2. 1983년, 1984년 총선

1983년 총선에서 이누이트 아타카티기트(IA)는 2석을 얻으며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했다. 시우무트와 아타수트는 각각 12석을 차지하며 동률을 이루었다.

1984년 총선에서 이누이트 아타카티기트는 3석으로 의석을 늘렸다. 시우무트와 아타수트는 각각 11석으로 동률을 기록했다.

1983년, 1984년 그린란드 총선 결과
정당1983년1984년
이누이트 아타카티기트23
시우무트1211
아타수트1211


2. 2. 3. 1987년 ~ 2005년 총선

1987년 총선에서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IA)는 4석, 시우무트는 11석, 아타수트는 11석을 얻었으며, 이시투프 파르티아(IP)는 1석을 얻었다. 1991년 총선에서는 IA 5석, 시우무트 11석, 아쿨리트 파르티아트(중도당) 2석, 아타수트 8석, IP 1석을 얻었다.

1995년 총선에서는 IA 6석, 시우무트 12석, 아쿨리트 파르티아트 2석, 아타수트 10석, 기타 1석을 얻었다. 1999년 총선에서는 IA 7석, 시우무트 11석, 아타수트 8석, 카투세 카티기트(무소속) 4석, 기타 1석을 얻었다.

2002년 총선에서는 IA 8석, 시우무트 10석, 데모크라티트(민주당) 5석, 아타수트 7석, 카투세 카티기트 1석을 얻었다. 2005년 총선에서는 IA 7석, 시우무트 10석, 데모크라티트 7석, 아타수트 6석, 카투세 카티기트 1석을 얻었다.

1987년 ~ 2005년 총선 결과
정당1987년1991년1995년1999년2002년2005년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IA)456787
시우무트111112111010
아타수트11810876
이시투프 파르티아(IP)11----
아쿨리트 파르티아트-22---
카투세 카티기트(무소속)---411
데모크라티트(민주당)----57
기타--11--


2. 2. 4. 2009년 총선

2009년 그린란드 총선에서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IA)는 31석 중 14석을 획득하여 원내 제1당이 되었다. 시우무트는 9석, 민주당은 4석, 아타수트(자유주의 정당)는 3석, 카투세 카티기이트(무소속 연합)는 1석을 얻었다.

이 선거 결과로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는 처음으로 집권하게 되었고, 그린란드의 독립 움직임이 강화되었다.

정당의석 수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14
시우무트9
민주당4
아타수트3
카투세 카티기이트1


2. 2. 5. 2013년 ~ 2021년 총선

2013년 총선에서 시우무트당이 14석을 얻어 원내 1당을 차지했지만,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IA)도 11석을 얻으며 경쟁 구도를 이어갔다. 파르티이 이누이트가 2석, 데모크라트와 아타수트가 각각 2석을 얻었다.

2014년 총선에서는 시우무트와 IA가 각각 11석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데모크라트가 4석, 파르티 날레라크가 3석, 아타수트가 2석을 얻으며 군소 정당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2018년 총선에서는 시우무트가 9석으로 다시 원내 1당이 되었지만, IA는 8석으로 뒤를 쫓았다. 눈나타 키토르나이 1석, 데모크라트 6석, 술레카티기잇시수트 1석, 파르티 날레라크 4석, 아타수트 2석으로 군소 정당들의 난립이 심화되었다.

2021년 총선에서는 IA가 12석을 얻어 원내 1당이 되었고, 시우무트는 10석으로 2당이 되었다. 데모크라트 3석, 파르티 날레라크 4석, 아타수트 2석으로, 군소 정당들의 이합집산은 계속되었다.

연도시우무트IA데모크라트PN아타수트PINQSul기타
2013년14112-22---
2014년1111432----
2018년98642-11-
2021년1012342----


3. 한국과의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