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덕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덕손(李德孫, ? ~ 1301년 9월 1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합천(陜川)이며, 시호는 장숙(莊淑)입니다. 말년에는 이름을 몽고식으로 이첩(李帖)이라 고쳤습니다.
생애 및 활동:


  • 합천의 향리 출신인 이순목(李淳牧)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 1268년(원종 9) 임연(林衍) 등이 김준(金俊)을 제거하는 데 참여했습니다.
  • 감찰잡단(監察雜端), 어사잡단(御史雜端) 등의 관직을 역임했습니다.
  • 경상(慶尙)·전라(全羅)·충청(忠淸) 3개 도(道)의 안찰사(按察使)를 지냈습니다.
  • 1279년(충렬왕 5) 판도총랑(版圖摠郞)으로서 동경유수(東京留守)에 부임하여 충렬왕에게 공억(供億)을 잘하여 부윤으로 승진했습니다.
  • 1291년 서북면지휘사로 나갔습니다.
  • 응양군상장군(鷹揚軍上將軍)‧삼사우사(三司右使) 등을 거쳐 1296년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가 되었습니다.
  • 1300년 지도첨의사사(知都僉議司事)가 되었으나 병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찬성사치사(贊成事致仕)로 되었습니다.

가족 관계:

  • 아버지: 이순목(李淳牧) - 상서우복야 한림학사 승지(右僕射翰林學士承旨) 역임
  • 형제: 이신손(信孫)·이의손(義孫) 등
  • 아들: 이설(偰) - 충숙왕 때 찬성사 역임
  • 딸: 송빈(宋玢)의 아들 송인(璘)에게 출가

기타:

  • 아들 이설(偰)은 충숙왕 때 찬성사에 올랐습니다.
  • 개명한 몽고식 이름은 이첩 (帖) 입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