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 (157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완(李莞, 1579년 4월 11일 ~ 1627년 1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입니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열보(悅甫), 시호는 강민(剛愍)입니다.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의 조카로, 임진왜란과 정묘호란에서 활약했습니다.
생애 및 활동 사항:
- 임진왜란 참전: 1592년 임진왜란 때 숙부인 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했습니다. 1598년 노량해전에서는 이순신이 전사하자, 이 사실을 알리지 않고 병사들을 독려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 무과 급제 및 관직 생활: 1599년 무과에 급제한 후, 1618년 평양중군, 1623년 충청도병마절도사를 지냈습니다. 1624년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가선대부에 올랐습니다. 의주부윤으로 재직 중에는 명나라 장수 모문룡의 군사들이 민가를 약탈하자, 그들을 체포하여 군기를 바로잡기도 했습니다.
- 정묘호란 순국: 1627년 정묘호란이 발발하자, 의주부윤으로서 후금 군대에 맞서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포위되었습니다. 그는 적에게 군기를 넘겨줄 수 없다며, 종제(사촌동생) 이신과 함께 병기고에 불을 지르고 순국했습니다.
사후:
-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고, 1704년(숙종 30년) 정려문이 내려졌습니다.
- 1726년(영조 2년) 아산 현충사에 배향되었습니다.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에 묘소와 정려문이 있으며, 용인시 향토유적 제5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추가 정보:
- 가족 관계: 아버지는 이희신(李羲臣), 조부는 이정(李貞)입니다.
- 묘소 위치: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 관련 유적: 아산 현충사, 용인 이완 묘 및 정려각
이완 장군은 임진왜란과 정묘호란에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으로, 그의 용기와 충절은 오늘날까지도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
이완 (1579년)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덕수(德水) |
자 | 중수(仲수) |
호 | 고죽(孤竹) |
시호 | 충정(忠定) |
생년월일 | 1579년 |
몰년월일 | 1634년 |
관직 생활 | |
주요 관직 | 병조판서 형조판서 공조판서 좌참찬 지중추부사 |
봉호 | 완릉군(完릉君) |
가족 관계 | |
부 | 이경준(李敬준) |
모 | 정부인(貞夫人) 남양 홍씨(南陽洪氏) |
배우자 | 정부인(貞夫人) 평산 신씨(平山申氏) |
자녀 | 5남 |
형제 | 이진(李진) 이위(李瑋) 이회(李𬍤) 이간(李侃)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