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고려 무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천은 고려 시대의 인물로, 한 명이 아닌 여러 명이 존재합니다. 다음은 각각의 이천에 대한 정보입니다.
1. 이천 (李仟, ? ~ ?)
- 고려 중기의 무신입니다.
- 본관은 전의(全義)이며, 시조 이도의 6대손입니다.
- 《고려사》에는 이천(李阡)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대몽 항쟁기의 수군 명장으로 응양군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역임하였습니다.
- 1260년(원종 원년)에 중서시중(中書侍中)에 올랐습니다.
- 1992년 10월 12일 대한민국 해군에서 처음 제작한 국산 잠수함 1호에 그의 이름을 따 '이천함'으로 명명하였습니다.
2. 이천 (李蒨)
- 고려 후기의 문신입니다.
- 우사보(右思補), 첨의평리상의(僉議平理商議), 정당문학 등을 지냈습니다.
- 1299년(충렬왕 25) 국자감시(國子監試)에 장원 급제했습니다.
- 1344년(충목왕 즉위년) 원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습니다.
- 서연(書筵) 시강과 동지공거(同知貢擧)를 지냈습니다.
- 1349년(충정왕 원년)에 사망했으며, 시호는 문효(文孝)입니다.
- 경주 이씨 국당공파(菊堂公派)의 파조입니다.
3. 이천 (李蕆, 1376 ~ 1451)
- 조선 세종 때의 무신이자 과학자입니다.
- 본관은 예안(瘞安)이며, 자는 자견(子見), 호는 백곡(栢谷) 또는 불곡(佛谷), 시호는 익양(翼襄)입니다.
- 1393년(태조 2) 별장(別將)에 임명되었고, 1402년(태종 2) 무과에 급제했습니다.
- 경상도조전절제사로 왜구의 침입을 막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 금속공예와 주조법(鑄造法)에 조예가 깊어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등의 활자를 만드는 데 기여했습니다.
- 장영실 등과 함께 대간의, 소간의, 앙부일구, 자격루 등 다양한 천문 기구를 제작했습니다.
- 평안도도절제사(平安道都節制使)로 파저강(婆渚江)의 야인(野人)을 정벌하여 4군(四郡)을 설치했습니다.
이 외에도 이천 서씨(利川徐氏) 가문의 서공(徐恭)과 관련된 인물로 이천(利川) 출신의 고려 전기 문신이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