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크티오포누스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크티오포누스목은 스파이로포르미나 아목과 트리코미키나 아목으로 구성된 분류군이다. 스파이로포르미나 아목에는 크레올리마키과, 프소로스페르미과, 피리과가 있으며, 트리코미키나 아목에는 아메비디과, 이크티오포니과, 파라아메비디과, 파라테니엘라과, 에크리나과 등이 속한다. 이크티오포누스목의 주요 속으로는 아메비디움, 이크티오포누스, 스파이로포르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소미케토조에아 - 데르모키스티디움속
    데르모키스티디움속은 갑각류, 연체동물에 기생하며 어류에 질병을 일으켜 양식 산업에 피해를 주는 단세포 진핵생물 속으로, 아가미와 피부 등에 낭종을 형성하여 호흡 곤란, 성장 저하, 폐사 등을 유발한다.
  • 메소미케토조에아 - 이크티오포누스속
    이크티오포누스속은 다양한 어종에 질병을 유발하는 기생성 진균류 속이며, 이 속에는 이크티오포누스 호페리, I. gasterophilus, I. intestinalis, I. irregularis, 이크티오포누스 로타이 등이 있다.
  • 기생물 - 스피노코르도데스 텔리니
    죄송합니다. 제공된 페이지의 개요가 비어 있어,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기생물 - 샤가스병
    샤가스병은 Trypanosoma cruzi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며 빈대류를 통해 전파되고, 감염 초기에는 무증상일 수 있지만 만성으로 진행되면 심장이나 소화기 계통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주로 중남미 지역에서 발생하고 혈액 검사로 진단하며 벤즈니다졸이나 니푸르티목스로 치료한다.
이크티오포누스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Creolimax fragrantissima
Creolimax fragrantissima
학명Ichthyophonida
명명자Cavalier-Smith 1998
이명Amoebidiales Léger & Duboscq 1929
Eccrinales Léger & Dubosq 1929
Ichthyophonae Mendoza et al. 2001
참고 문헌www.ncbi.nlm.nih.gov
하위 분류
본문 참조

2. 분류


  • ''아메비디움'' (''Amoebidium'')
  • ''아누로페카'' (''Anurofeca'')
  • 이크티오포누스 (''Ichthyophonus'')
  • ''Pseudoperkinsus''
  • 프소로스페르미움 (''Psorospermium'')
  • ''Sphaeosoma''

2. 1. 스파이로포르미나 (Sphaeroformina)

[2]

  • 아목 스파이로포르미나 Cavalier-Smith 2012
  • * 과 크레올리마키과 Cavalier-Smith 2012
  • ** 속 ''아누로페카'' Baker, Beebee & Ragan 1999
  • ** 속 ''크레올리막스'' Marschall et al. 2008
  • ** 속 ''스파이로포르마'' Jostensen et al. 2002 [''Pseudoperkinsus'' Figueras et al. 2000]
  • * 과 프소로스페르미과 Cavalier-Smith 2012
  • ** 속 ''프소로스페르미스'' Cavalier-Smith 2012 [''프소로스페르미움'' Hilgendorf 1883 non Eimer 1870]
  • * 과 피리과 Cavalier-Smith 2012
  • ** 속 ''코리에라'' Chatton 1907
  • ** 속 ''아베오포르마'' Marshall & Berbee 2011
  • ** 속 ''피룸'' Marshall & Berbee 2011

2. 2. 트리코미키나 (Trichomycina)


  • 아목 트리코미키나 Cavalier-Smith 2012
  • * 속 †''팔레오카두스'' Poinar 2016
  • * 과 아메비디과 Lichtenstein 1917 ex Kirk et al. 2001
  • ** 속 ''아메비디움'' Cienkowski 1861
  • * 과 이크티오포니과 Cavalier-Smith 2012
  • ** 속 ''이크티오포누스'' Plehn & Mulsow 1911
  • * 과 파라아메비디과 Reynolds et al. 2017
  • ** 속 ''파라아메비디움'' Léger & Duboscq 1929
  • * 과 파라테니엘라과 Manier & Lichtward 1968
  • ** 속 ''라자시에라'' Tuzet & Manier 1951 ex Manier 1968
  • ** 속 ''노도크리넬라'' Scheer 1977
  • ** 속 ''파라테니엘라'' Poiss. 1929
  • * 과 에크리나과 Leger & Duboscq 1929 [Palavasciaceae Manier & Lichtward 1968]
  • ** 속 ''알라크리넬라'' Manier & Ormières ex Manier 1968
  • ** 속 ''아룬디눌라'' Léger & Duboscq 1906 [''아룬디넬라'' Léger & Duboscq 1905 non Raddi 1823]
  • ** 속 ''아스트렙토네마'' Hauptfleisch 1895 [''Eccrinella'' Léger & Duboscq 1933]
  • ** 속 ''에크리니두스'' Manier 1970
  • ** 속 ''에크리노이데스'' Léger & Duboscq 1929 [''Eccrinopsis'' Léger & Duboscq 1916]
  • ** 속 ''엔테로브리우스'' [''Andohaheloa'' Manier 1955; ''카필루스'' Granata 1908; ''Cestodella'' Tuzet, Manier & Jolivet 1957; ''Daloala'' Tuzet, Manier & Vog.-Zuber 1952; ''Eccrina'' Leidy 1852; ''Lactella'' Maessen 1955; ''Paratrichella'' Manier 1947; ''피스틸라리아'' Jeekel et al. 1959 non Fries 1821; ''Recticoma'' Scheer 1935; ''Trichella'' Léger & Duboscq 1929; ''Trichellopsis'' Maessen 1955]
  • ** 속 ''엔테로미세스'' Lichtwardt 1961
  • ** 속 ''엔테로포곤'' Hibbits 1979 non Nees 1836
  • ** 속 ''레이디오미세스'' Lichtwardt et al. 1999
  • ** 속 ''팔라바시아'' Tuzet & Manier 1947 ex Lichtwardt 1964
  • ** 속 ''파라마크리넬라'' Manier & Grizel 1971
  • ** 속 ''파살로미세스'' Lichtwardt et al. 1999
  • ** 속 ''라마크리넬라'' Manier & Ormiéres 1962 ex Manier 1968
  • ** 속 ''타니엘라'' Léger & Duboscq 1911
  • ** 속 ''타니엘롭시스'' Poisson 1927

3. 계통

분자 계통학 연구에 따른 이크티오포누스목의 주요 하위 분류군은 다음과 같다.[1]


  • Creolimacidae과
  • * ''Anurofeca''
  • * ''Creolimax''
  • * ''Sphaeroforma''
  • Psorospermidae과
  • * ''Psorospermis''
  • Piridae과
  • * ''Abeoforma''
  • * ''Caullerya''
  • * ''Pirum''
  • Trichomycina 그룹
  • * 아메비디움과 (Amoebidiidae)
  • ** ''Amoebidium''
  • * Ichthyophonidae과
  • ** 이크티오포누스 (''Ichthyophonus'')
  • * Paramoebidiidae과
  • ** ''Paramoebidium''
  • * Eccrinida 그룹
  • ** Parataeniellaceae과

''Parataeniella''

  • ** Eccrinaceae과

''Eccrinidus''
''Enterobryus''
''Leidyomyces''
''Enteromyces''
''Arundinula''
''Enteropogon''
''Taeniella''
''Taeniellopsis''
''Astreptonema''
''Palavascia''

참조

[1] 논문 Resolving relationships at the animal-fungal divergence: A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the protist trichomycetes (Ichthyosporea, Eccrinida)
[2] 웹사이트 Ichthyophonida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8-07-31
[3] 간행물 Protist phylogeny and the high-level classification of Protozoa
[4] 웹인용 www.ncbi.nlm.nih.gov http://www.ncbi.nlm.[...] 2009-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