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평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평세는 대한민국의 나노 기술 및 생명 공학 분야의 권위자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버클리)에서 생물물리학 및 응용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UC 버클리 교수를 역임했으며, 스위스취리히연방공과대학과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에서 석좌교수를 지냈다. 이평세는 나노플라즈모닉스, 단일 세포 분석,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미국 국립과학재단 경력상, 호암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암 공학상 수상자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호암 공학상 수상자 - 서남표
    서남표는 MIT와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MIT 교수와 NSF 부총재를 거쳐 KAIST 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계공학자이자 교육자이다.
  • 미국의 과학자 - 앨런 펄리스
    앨런 펄리스는 고급 프로그래밍 기술과 컴파일러 구축에 기여한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로, 튜링상 수상, 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참여, 최초의 성공적인 컴파일러 개발, "프로그래밍 에피그램" 저술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미국의 과학자 - 메이 제미슨
    메이 제미슨은 미국의 의사이자 NASA 우주 비행사로, 1992년 엔데버 우주왕복선 STS-47 미션에 참여하여 우주를 비행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이며, NASA 퇴사 후에는 컨설팅 회사 설립 및 과학 교육 옹호,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 - 시어도어 카진스키
    미국 수학자이자 "유나바머"로 알려진 시어도어 카진스키는 뛰어난 수학적 재능으로 대학 조교수를 지냈으나 산업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18년간 우편 폭탄 테러를 감행, 체포되어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이평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평세
로마자 표기I Pyeong-se
출생1959년 3월 22일
국적미국
분야생물 물리학, 생물 공학, 전기 공학 및 컴퓨터 과학
소속국립 싱가포르 대학교
모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주요 업적바이오 나노 포토닉스, 미세 유체 공학, 광 유체 공학, 분자 진단, 나노 의학
수상2003년 미국 국립 과학 재단 경력상
2005년 레스터 존 및 린 드워 로이드 석좌 교수
2009년 IEEE 윌리엄 J. 몰록 상
2010년 아놀드 및 바바라 실버만 석좌 교수
2010년 호암상

2. 교육 및 경력

이평세는 학계에 몸담기 전, 집적 광전자 시스템 및 초전도 전자 소자에 대한 10년 이상의 광범위한 연구 개발 및 산업체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TRW Inc.의 기술직원으로서 레이저 홀로그래피, 양자 우물 표면 발광 레이저, Nb 기반 조셉슨 터널링 접합 소자, 초전도양자간섭 소자(SQUID)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1990년대 초반에는 Conductus Inc.에서 고온초전도 양자 간섭 자력계, 고온초전도 조셉슨 소자 및 생체 자기 신호 센서 개발에 참여하였다.

1999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버클리) 생명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2005년에는 생명공학과 정교수 및 레스터 존 앤 린 드와 로이드 석좌교수, 생물물리학과 교수를 겸임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스위스취리히연방공과대학(ETH)에서 시스템나노바이올로지 석좌교수를 역임하였고, UC 버클리 전기공학/컴퓨터과학과 교수도 겸하고 있다.

2. 1. 한국에서의 유년 시절과 미국 이주

이평세는 시인 이상로와 산파였던 어머니 하복순 사이에서 삼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사망한 후, 1976년 고등학생 시절 어머니, 형제와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1] 서울에서 유년기를 보냈으며 강남초등학교, 상도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고등학교를 다니다가 미국으로 이주하여 콜로라도 스프링스에 있는 와슨(Wasson)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1]

2. 2. 대학교 및 대학원

이평세는 1996년 UC 버클리 생물물리학과를 졸업하고, 2000년 같은 대학에서 응용물리학(주전공) 및 바이오공학(부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주제는 “Key Elements of BioPOEMS: Biomedical Polymer Opto–Electro- Mechanical Systems”였다. 1999년 UC 버클리 생명공학과 조교수가 되었고, 2005년에는 생명공학과 정교수, Lester John and Lynne Dewar Lloyd 석좌교수, 생물물리학과 교수를 겸임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스위스취리히연방공과대학(ETH)에서 시스템나노바이올로지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또한 UC 버클리 전기공학/컴퓨터과학과 교수도 겸하고 있다.

2. 3. 교수 임용 및 주요 직책

1999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버클리) 생명공학과 조교수가 되었다.[1] 2005년에는 생명공학과 정교수 및 레스터 존 앤 린 드와 로이드 석좌교수, 생물물리학과 교수가 되었다.[1]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스위스취리히연방공과대학(ETH)에서 시스템나노바이올로지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1] 또한 UC 버클리에서 전기공학/컴퓨터과학과의 교수를 겸하고 있다.[1] 1999년부터 버클리 센서 & 액추에이터 센터의 공동 이사를 맡고 있다. 2010년 아놀드 앤 바바라 실버만 석좌교수가 되었으며, 2015년에 재임명되었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부총장(국제 연구 및 혁신) 겸 탄 친 투안 기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2. 4. 산업체 경력

이평세는 학문적 경력에 앞서, 집적된 광전자 시스템 및 초전도 전자 소자에 대한 10년 이상의 광범위한 연구 개발 및 산업체 경험을 가지고 있다. 1980년대 후반에 이평세는 TRW Inc의 기술직원으로서 레이저 홀로그래피, 양자-우물 표면 발광레이저, Nb기반 조셉슨 터널링 접합 소자, 초전도양자간섭 소자(SQUID)와 관련된 일을 수행하였다. 1990년대 초반 Conductus Inc.에서 고온초전도 양자 간섭 자력계, 고온초전도 조셉슨 소자 및 생체 자기신호 센서 개발과 관련된 일을 수행하였다.

3. 주요 연구 업적

이평세 교수는 나노기술, 생명 공학, 광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나노플라즈모닉스, 단일 세포 분석,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으며,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연구들을 진행했다.

연도저널주요 연구 내용
1991응용 물리학 레터단일 77 K DC SQUID 자력계 개발[1]
2005사이언스생물학적 광학에서 영감을 얻은 고급 광학 시스템 연구
2005네이처 재료광열 나노 입자를 이용한 광유체 제어 기술 개발
2006사이언스생물학적 영감을 받은 인공 복합 눈 연구


3. 1. 나노플라즈모닉스

이평세는 나노플라즈모닉스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2006년에는 누클레아제 활성 및 DNA 풋프린팅 측정을 위한 나노플라즈몬 분자 자를 개발했다. 2007년에는 플라즈몬 공명 에너지 전달을 이용한 양자화 플라즈몬 소광 딥 나노 분광법을 개발했다. 2009년에는 플라즈몬 공명 에너지 전달 기반 나노 분광법을 통해 금속 이온을 선택적이고 민감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2014년에는 생세포 내 단일 mRNA 스플라이스 변이체를 정량적으로 영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들은 모두 네이처 나노기술 또는 네이처 메서드에 게재되었다.

3. 2. 단일 세포 분석

이평세(L. P. Lee) 교수는 단일 세포 분석 기술 개발에 기여했다.

  • 2004년, 고처리량 세포 기반 분석을 위한 연속 관류 미세 유체 세포 배양 어레이를 개발했다.
  • 2005년, 미세 유체 플랫폼 상에서 포유류 세포의 전기 생리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2006년, 단일 세포 수준에서 세포 배양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동적 단일 세포 배양 어레이 기술을 개발했다.
  • 2011년, 세포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하는 나노와이어 기반 단일 세포 내시경 기술을 개발했다.
  • 2014년, 생세포 내에서 단일 mRNA 스플라이스 변이체를 정량적으로 영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3. 3. 바이오센서

이평세 교수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바이오센서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다. 주요 연구는 다음과 같다.

  • 나노플라즈몬 분자 자: 누클레아제 활성 및 DNA 풋프린팅 측정을 위한 나노플라즈몬 분자 자를 개발했다.
  • 양자화 플라즈몬 소광 딥 나노 분광법: 플라즈몬 공명 에너지 전달을 이용한 양자화 플라즈몬 소광 딥 나노 분광법을 개발했다.
  • 금속 이온 검출: 플라즈몬 공명 에너지 전달 기반 나노 분광법으로 금속 이온을 선택적이고 민감하게 검출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 나노와이어 기반 단일 세포 내시경: 나노와이어를 기반으로 한 단일 세포 내시경을 개발했다.
  • 단일 mRNA 스플라이스 변이체 영상화: 생세포 내에서 단일 mRNA 스플라이스 변이체를 정량적으로 영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3. 4. 기타 연구

이평세(Luke P. Lee) 교수는 나노기술, 생명공학, 광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다.

  • 초전도 자력계: 1991년, 단일 77 K DC SQUID 자력계를 개발하여 응용 물리학 분야에 기여했다.[1]
  • 생물학적 광학: 2005년, 생물학적 광학에서 영감을 얻어 고급 광학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 미세 유체 플랫폼: 2005년, 미세 유체 플랫폼 상에서 포유류 전기 생리학 연구를 진행하여 세포 기반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 세포 배양: 2004년, 고처리량 세포 기반 분석을 위한 연속 관류 미세 유체 세포 배양 어레이를 개발했다.
  • 인공 복합 눈: 2006년, 생물학적 영감을 받은 인공 복합 눈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 광유체 제어: 2005년, 광열 나노 입자를 이용한 광유체 제어 기술을 개발하여 나노기술과 광학 융합 연구를 이끌었다.
  • 단일 세포 배양: 2006년, 동적 단일 세포 배양 어레이를 개발하여 단일 세포 수준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 나노플라즈몬 분자 자: 2006년, 누클레아제 활성 및 DNA 풋프린팅 측정을 위한 나노플라즈몬 분자 자를 개발하여 DNA 연구에 새로운 도구를 제공했다.
  • 나노 분광법: 2007년, 플라즈몬 공명 에너지 전달을 통한 양자화 플라즈몬 소광 딥 나노 분광법을 개발했다. 2009년에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금속 이온을 선택적이고 민감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 단일 세포 내시경: 2011년, 나노와이어 기반 단일 세포 내시경을 개발하여 세포 내부를 관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 mRNA 스플라이스 변이체 영상화: 2014년, 생세포 내 단일 mRNA 스플라이스 변이체를 정량적으로 영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유전자 발현 연구에 기여했다.

4. 수상 및 영예


  • 2003년: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Career Award 수상[1]
  • 2005년: 미국 국립 아카데미(National Academies) Keck Futures Initiative Award 수상
  • 2005년: The Lester John and Lynne Dewar Lloyd 석좌교수(Distinguished Professorship) 선정
  • 2008년: IEEE The William J. Morlock Award 수상
  • 2009년: Siebel Scholar Award 수상
  • 2010년: 호암상 수상
  • 2010년: 영국 왕립화학회(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펠로우(Fellow) 선정
  • 2010년: Arnold and Barbara Silverman 석좌교수(Distinguished Professorship) 선정
  • 2010년: Human Frontier Science Program Award 수상 (Chambers, Schroeder, Wandless와 공동 수상)
  • 2012년: 미국 의생명공학회(American Institute of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펠로우(Fellow) 선정

5. 가족

이평세는 조지프 K. 리(Joseph K. Lee)와 해나 S. 리(Hannah S. Lee)의 딸인 오드리 J. 리(Audrey J. Lee)와 결혼하여 슬하에 유니스(Eunice)와 해나(Hannah) 두 딸을 두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