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기저항효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저항 효과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재료의 전기 저항이 변하는 현상이다. 윌리엄 톰슨(켈빈 경)은 1856년 철 조각 실험을 통해 전류와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방성 자기저항(AMR)은 전류와 자화 방향의 각도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현상이며, 거대 자기저항(GMR)은 2007년 알베르 페르와 페터 그륀베르크가 발견하여 노벨상을 수상했다. 기하학적 자기저항은 코르비노 원반과 같이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발생하며, AMR 효과는 전자 나침반, 전류 측정 등 다양한 센서에 응용된다.

2. 자기저항 효과의 발견

윌리엄 톰슨 (켈빈 경)은 1856년에 철 조각으로 실험을 통해 전류가 자기력과 같은 방향일 때 저항이 증가하고 전류가 자기력과 90° 각도일 때 저항이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4] 그 후 니켈로 동일한 실험을 수행했고, 동일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지만 효과의 크기가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효과를 이방성 자기저항(AMR)이라고 한다.[4]

거대 자기저항(GMR)의 발견과 관련된 그래프에 대한 애니메이션


2007년, 알베르 페르와 페터 그륀베르크는 거대 자기저항(GMR)의 발견으로 공동으로 노벨상을 수상했다.[5]

3. 기하학적 자기저항

코르비노 원반은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자기저항이 발생하는 현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장치는 전도성 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기장이 없을 때는 방사형 전류가 흐른다. 하지만 환의 평면에 수직인 자기장이 가해지면, 로렌츠 힘에 의해 전류의 원형 성분이 발생한다.[6] 이 현상은 1886년 볼츠만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고, 1911년 코르비노에 의해 독립적으로 재검토되었다.[6]

단일 캐리어 유형을 가진 반도체에서, 자기저항은 전자 이동도와 자기장의 곱의 제곱에 비례한다. 즉, $(1 + (\mu B)^2)$에 비례하며, 여기서 μ는 전자 이동도 (단위 m2·V−1·s−1 또는 T−1)이고, B는 자기장 (단위 테슬라)이다. 안티몬화 인듐(InSb)은 높은 전자 이동도를 가지는 반도체로, 300K에서 4 m2·Wb-1 이상의 전자 이동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0.25T의 자기장에서 안티몬화 인듐의 자기저항은 100% 증가한다.

4. 이방성 자기저항 (AMR)

얇은 퍼멀로이 필름의 저항을 외부 자기장의 각도 함수로 나타낸 그림이다.


이방성 자기저항(AMR)은 전류와 '''자화''' 방향 사이의 각도에 따라 전기 저항이 달라지는 현상이다.[4][7] 이 효과는 자화와 스핀-궤도 상호작용의 결합으로 발생하며,[8] 재료에 따라 메커니즘이 다르다. 예를 들어, 자화 방향(인가된 자기장에 의해 제어됨)으로 전자의 s-d 산란 확률이 더 클 수 있다. 순 효과는 전기 저항이 전류 방향과 인가된 자기장 방향이 평행할 때 최대값을 갖는 것이다.[9]

다결정 강자성 재료에서 AMR은 자화와 전류 방향 사이의 각도에만 의존하며, 저항률은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12]

:\rho(\varphi) = \rho_\perp + (\rho_\parallel - \rho_\perp) \cos^2 \varphi

여기서 ρ는 필름의 저항률이고, ρ와 ρ는 각각 φ = 0°와 φ = 90°일 때의 저항률이다.

AMR 센서는 비선형 특성과 자기장 극성 감지 불가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45° 각도로 기울어진 퍼멀로이 박막 위에 알루미늄 또는 금 스트립을 배치한 '바버 폴' 구조를 사용한다.

AMR 효과는 전자 나침반, 전류 측정, 교통 감지, 위치 및 각도 감지 등 다양한 센서에 응용된다.[13] 주요 AMR 센서 제조업체로는 허니웰(Honeywell), NXP 반도체(NXP Semiconductors),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등이 있다.

4. 1. AMR의 이론적 배경

5. 기타 자기저항 효과

6. 한국에서의 연구 및 응용

참조

[1] 서적 Magnetoresistance in Meta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2] 논문 Magnetoresistance in Iron Single Crystals 1966
[3] 웹사이트 Unstoppable Magnetoresistance http://phys.org/news[...]
[4] 논문 On the Electro-Dynamic Qualities of Metals:—Effects of Magnetization on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Nickel and of Iron 1857-06-18
[5] 간행물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7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4-06-25
[6] 논문 A general law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
[7] 논문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Materials, models and applications
[8] 문서 see harvp|Ritzinger|Vyborny|2023|loc= §4.2
[9] 논문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in ferromagnetic 3d alloys http://www.unife.it/[...]
[10] 논문 Giant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and magnetothermopower in cubic 3:4 uranium pnictides
[11] 논문 Colossal angular magnetoresistance in the antiferromagnetic semiconductor EuTe2
[12] 논문 Lithographically and electrically controlled strain effects on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in (Ga,Mn)As 2008-06-10
[13] 논문 The spontaneous resistivity anisotropy in Ni-based alloys
[14] 논문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Effects in Fe, Co, Ni, Fe4N, and Half-Metallic Ferromagnet: A Systematic Analysis
[15] 논문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Effect: General Expression of AMR Ratio and Intuitive Explanation for Sign of AMR Rat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