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란툰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란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과거에는 부터하로 불렸으며, 강희제 때 행정 중심지가 되었고, 야루 강이 지나가는 지역으로 1929년 야루 현으로 개칭되었다가 1933년 자란툰 기가 되었다. 1983년 기에서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7개의 가도, 8개의 진, 1개의 향, 3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제는 관광, 농업, 축산업, 임업을 기반으로 하며, 하얼빈-만저우리 철로가 시를 통과한다. 2016년 12월 자란툰 칭기스칸 공항이 개항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몽골 자치구의 현급시 - 만저우리시
    만저우리시는 내몽골 자치구 북동부에 위치하며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중-러 무역의 핵심 통관항이자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연결되는 만저우리 역이 있는 교통 요충지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독특한 문화와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도시이다.
  • 내몽골 자치구의 현급시 - 시린하오터시
    시린하오터시는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현급시로, 칭기즈 칸 형제 거주지이자 베이즈 사 건설로 발전했으며, 추운 반건조 기후와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채굴 산업이 발달했으나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고, 나담 축제와 베이쯔 사, 시린골 초원 등 몽골 문화 중심지이자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다.
  • 후룬베이얼시의 행정 구역 - 하이라얼구
    하이라얼구는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 시에 있는 시할구로, 청나라 요새에서 시작하여 중화민국 시기 싱안 성의 성도, 만주국 시기 일본군 요새를 거쳐 현재는 농업 생산 중심지이자 공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 역사 유적, 그리고 러시아, 몽골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후룬베이얼시의 행정 구역 - 아룽 기
    아룽 기는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 북부에 위치하며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행정 구역으로, 여러 읍과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요 간선도로와 고속도로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자란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자란툰
공식 명칭없음
다른 이름차란툰
별칭싸이베이의 작은 강남 (만리장성 너머의 강남)
유형현급시
지리
위치후룬베이얼 시 내
면적16800.0 km²
도시 면적385.00 km²
좌표48.027° N, 122.708° E
행정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자치구내몽골 자치구
지급시후룬베이얼 시
시청 소재지싱화 가도
인구
총 인구 (2020년)318933명
도시 인구134400명
기타 정보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우편 번호162650
지역 번호0470
웹사이트자란툰 시 정부
중국어 정보
간체자扎兰屯
정체자扎蘭屯
병음Zhālántún
몽골어 정보
로마자 표기Jalan Ayil qota
키릴 문자Жалан-Айл хот

2. 역사

자란툰은 강희제 때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983년에 기에서 시가 되었고, 현재는 후룬부이르의 일부이다.[1]

자란툰(로 표기) 지도 (AMS, 1951)

2. 1. 명칭 변화

예전의 이름은 부터하(布特哈|bùtèhā중국어)였고 강희제 때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야루 강이 이곳을 통과해 1929년에 야루 현(雅鲁县|Yǎlǔ Xiàn중국어)으로 개칭되었으나 1933년에 자란툰 기(扎兰屯旗|Zhālántún Qí중국어)가 되었다. 1983년에 기에서 시가 되었다.[1]

2. 2. 역사적 사건

자란툰은 이전에는 부타(布特哈)로 알려졌으며, 강희제 시대에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1] 1929년, 부타는 야루강이 흘러 야루 현(雅鲁县)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1933년에는 자란툰 기(扎兰屯旗)가 되었다.[2] 1983년, 자란툰은 기에서 폐지되어 후룬부이르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3]

3. 지리

扎兰屯市|자란툰시중국어내몽골 자치구 북동부, 다싱안링산맥의 남동쪽 기슭에 위치한다. 북서쪽은 다싱안링산맥의 원시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평균 기온은 2.4°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480mm이다.

3. 1. 기후

扎兰屯市|자란툰시중국어다싱안링산맥의 남동쪽 기슭에 위치하며,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wa/Dwb'')를 보인다. 길고 추운 겨울과 매우 더운 여름, 그리고 짧은 환절기가 나타난다. 월평균 기온은 1월 -16.5°C에서 7월 21.7°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3.65°C이다.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으로 연 강수량의 대부분이 7월과 8월에 집중되며, 연평균 강수량은 501mm이다.[9][10]

다음은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년값 및 1971년부터 2010년까지의 극한값을 나타낸 표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C)4.3°C11.7°C22.1°C30.7°C38°C40.2°C40.1°C35.2°C35.5°C29.7°C17°C5.9°C
평균 최고 기온 (°C)-11°C-5.5°C2.3°C12.7°C20.9°C26°C27.1°C25.7°C20°C11°C-1.3°C-9.7°C
평균 기온 (°C)-16.5°C-12°C-4.1°C6°C14°C19.6°C21.7°C19.8°C13.1°C4.3°C-7.2°C-14.9°C
평균 최저 기온 (°C)-20.8°C-17°C-9.7°C-0.3°C7.1°C13.7°C17.1°C15.1°C7.6°C-1.1°C-11.8°C-19.1°C
최저 기온 (°C)-34.7°C-34.5°C-26.7°C-14.2°C-6.3°C2.8°C8°C1.6°C-5.7°C-15.9°C-25.3°C-34.5°C
강수량 (mm)1.6mm2mm5mm21.9mm36.2mm89mm160.4mm119.6mm40.1mm16.5mm4.3mm4.7mm
평균 상대 습도 (%)585143414260727261525561
평균 강수일수 (≥ 0.1mm)2.22.43.34.97.913.815.713.29.44.53.13.9



다음은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년값 및 1971년부터 2010년까지의 극한값을 나타낸 표이다. (해발 307m)[3][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C)4.3°C11.7°C22.1°C30.7°C38°C40.2°C40.1°C35.2°C35.5°C29.7°C17°C5.9°C
평균 최고 기온 (°C)-10.6°C-5.3°C2.9°C13.1°C21.2°C26.1°C27.9°C25.9°C20.4°C11.2°C-1.3°C-10°C
평균 기온 (°C)-16.3°C-11.9°C-3.7°C6.3°C14.3°C19.8°C22.3°C20°C13.4°C4.4°C-7.1°C-15.2°C
평균 최저 기온 (°C)-20.6°C-17°C-9.4°C-0.3°C7.5°C14.1°C17.5°C15.4°C7.9°C-1.2°C-11.8°C-19.4°C
최저 기온 (°C)-34.7°C-34.5°C-26.7°C-14.2°C-6.3°C2.8°C8°C1.6°C-5.7°C-15.9°C-25.3°C-34.5°C
강수량 (mm)1.7mm2.9mm5.7mm22.5mm40.3mm100.9mm152.9mm132mm48mm18.5mm5.7mm5.2mm
평균 상대 습도 (%)565042394360697162525560
평균 강수일수 (≥ 0.1mm)3.12.53.85.89.013.815.112.98.94.73.45.2
평균 일조 시간188.2216.8269.8264.2275.3247.3239.1239.9239.7228.0176.2158.4
평균 일조율 (%)687473645852505564696461


4. 행정 구역

이름중국어(간체)한어 병음몽골어 (후덤 문자)몽골어 (키릴 문자)행정 구역 코드
가도
싱화 가도兴华街道Xīnghuá Jiēdàoᠰᠢᠩ ᠬᠤᠸᠠ ᠵᠡᠭᠡᠯᠢ ᠭᠤᠳᠤᠮᠵᠢШин ухаа зээл гудамж150783001
정양 가도正阳街道Zhèngyáng Jiēdàoᠵᠧᠩ ᠶᠠᠩ ᠵᠡᠭᠡᠯᠢ ᠭᠤᠳᠤᠮᠵᠢЖен ян зээл гудамж150783002
판룽 가도繁荣街道Fánróng Jiēdàoᠹᠠᠨ ᠷᠦᠩ ᠵᠡᠭᠡᠯᠢ ᠭᠤᠳᠤᠮᠵᠢФан рун зээл гудамж150783003
샹양 가도向阳街道Xiàngyáng Jiēdàoᠰᠢᠶᠠᠩ ᠶᠠᠩ ᠵᠡᠭᠡᠯᠢ ᠭᠤᠳᠤᠮᠵᠢШиян ян зээл гудамж150783004
가오타이쯔 가도高台子街道Gāotáizi Jiēdàoᠭᠣᠤ ᠲᠠᠢ ᠽᠢ ᠵᠡᠭᠡᠯᠢ ᠭᠤᠳᠤᠮᠵᠢГуутай зи зээл гудамж150783005
톄둥 가도铁东街道Tiědōng Jiēdàoᠲᠡᠮᠦᠷ ᠵᠠᠮ ᠤᠨ ᠵᠡᠭᠦᠨᠳ᠋ᠠᠬᠢ ᠵᠡᠭᠡᠯᠢ ᠭᠤᠳᠤᠮᠵᠢДамар замын зүүндэх зээл гудамж150783006
허시 가도河西街道Héxī Jiēdàoᠭᠣᠣᠯ ᠤᠨ ᠪᠠᠷᠠᠭᠤᠨᠳᠠᠬᠢ ᠵᠡᠭᠡᠯᠢ ᠭᠤᠳᠤᠮᠵᠢГолын баруунтах зээл гудамж150783007
모구치 진蘑菇气镇Mógūqì Zhènᠮᠦᠬᠦᠴᠢ ᠪᠠᠯᠭᠠᠰᠤМөөч балгас150783100
워니우허 진卧牛河镇Wòniúhé Zhènᠸᠧ ᠨᠢᠦ ᠾᠧ ᠪᠠᠯᠭᠠᠰᠤВе нүү ге балгас150783102
칭기스칸 진成吉思汗镇Chéngjísīhán Zhènᠴᠢᠩᠭᠢᠰ ᠬᠠᠨ ᠪᠠᠯᠭᠠᠰᠤЧингис хан балгас150783103
다허완 진大河湾镇Dàhéwān Zhènᠳ᠋ᠠ ᠾᠧ ᠸᠠᠨ ᠪᠠᠯᠭᠠᠰᠤДа ге ван балгас150783104
하오라오산 진浩饶山镇Hàoráoshān Zhènᠬᠣᠷᠣᠭ᠎ᠠ ᠠᠭᠤᠯᠠ ᠪᠠᠯᠭᠠᠰᠤХороо уул балгас150783105
차이허 진柴河镇Cháihé Zhènᠴᠠᠢ ᠾᠧ ᠪᠠᠯᠭᠠᠰᠤЦай ге балгас150783106
중허 진中和镇Zhōnghé Zhènᠵᠦᠩ ᠾᠧ ᠪᠠᠯᠭᠠᠰᠤЖүн ге балгас150783107
하다오허 진
(하다 골 진)
哈多河镇Hāduōhé Zhènᠬᠠᠳᠤ ᠭᠣᠣᠯ ᠪᠠᠯᠭᠠᠰᠤХад гол балгас150783108
와디 향洼堤乡Wādī Xiāngᠸᠠᠲ᠋ᠢ ᠰᠢᠶᠠᠩВади шиян150783203
민족향
다우르족 민족향达斡尔民族乡Dáwò'ěr Mínzúxiāngᠳᠠᠭᠤᠷ ᠦᠨᠳᠦᠰᠦᠲᠡᠨ ᠦ ᠰᠢᠶᠠᠩДагуур үндэстэний шиян150783200
어룬춘족 민족향鄂伦春民族乡Èlúnchūn Mínzúxiāngᠣᠷᠴᠣᠨ ᠦᠨᠳᠦᠰᠦᠲᠡᠨ ᠦ ᠰᠢᠶᠠᠩОрцон үндэстэний шиян150783201
사마지 이벤키족 민족향萨马街鄂温克民族乡Sàmǎjiē Èwēnkè Mínzúxiāngᠰᠠ ᠮᠠ ᠵᠢᠶᠧ ᠡᠸᠡᠩᠬᠢ ᠦᠨᠳᠦᠰᠦᠲᠡᠨ ᠦ ᠰᠢᠶᠠᠩСаа ма жье эвэнк үндэстэний шиян150783202



자란툰 시는 7개의 가도, 8개의 진, 1개의 향, 3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5. 경제

자란툰 시의 경제는 관광, 농업, 축산업, 임업을 기반으로 한다. 밀, 콩, 옥수수 등의 곡물과 소, 양, 말 등의 가축이 풍부하다. 공업은 제지, 사탕, 모직물 생산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연평균 기온은 2°C, 연평균 강수량은 480mm이다. 자란툰 시 북서쪽은 다싱안링 산맥의 천연림으로 이루어져 있다.[1]

5. 1. 주요 산업

자란툰 시의 경제는 주로 관광, 농업, 축산업, 임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얼빈-만저우리 철로가 자란툰 시를 통과한다. 밀, 콩, 옥수수와 같은 곡물과 소, 양, 말 등의 가축이 풍부하다. 주요 공업 기반 시설로는 제지, 사탕 제조, 모직물 생산 시설이 있다.

6. 교통

이 부분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언급만 한다.

자란툰 칭기스칸 공항이 2016년 12월에 개항했다.[6]

6. 1. 항공

자란툰 칭기스칸 공항은 2016년 12월에 개항했다.[6]

6. 2. 철도

빈저우 선이 이 도시를 통과한다.

(만저우리 방면)
남목역
하라수역
삼도교역
와우하역
자란툰역
고대자역
고리금역
칭기스칸 역
(하얼빈 방면)


6. 3. 도로

扎兰屯市중국어에는 다음과 같은 도로가 있다.

유형명칭
고속도로지아 고속도로 --
국도G111 국도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19
[2] 웹사이트 Inner Mongolia: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http://www.citypopul[...]
[3] 웹사이트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10-10
[4]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10-10
[5] 웹사이트 扎兰屯 - 气象数据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6] 뉴스 http://www.caacnews.[...] 2016-12-28
[7] 웹사이트 扎兰屯风景名胜区 https://www.zgbk.com[...] 2022-12-23
[8] 웹사이트 国务院关于发布第四批国家重点风景名胜区名单的通知 http://www.gov.cn/go[...] 중화인민공화국중앙인민정부 2002-05-17
[9]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0-04-15
[10] 웹사이트 http://www.weath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