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드 부르고뉴 (141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드 부르고뉴(1415년)는 필리프 2세와 본 다르투아의 아들로, 아쟁쿠르 전투에서 아버지가 전사한 후 외증조부인 베리 공작 장 1세로부터 에탕프 백작령을 유증받았으나 프랑스 왕가로부터 상속을 인정받지 못했다. 그는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르 봉을 섬기며 군인으로 활동했으며, 샤를 르 테메레르와 불화하여 루이 11세에게 귀순했다. 1464년 형 샤를로부터 네베르 및 루텔 백작령을 상속받았으며, 1472년에는 외숙부 샤를 다르투아로부터 우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장은 세 번 결혼했으며, 자클린 달리와의 사이에서 두 자녀, 폴린 드 브로스와의 사이에서 한 자녀, 마리 다르브레와는 자녀가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1년 사망 - 아시카가 요시미
아시카가 요시미는 6대 쇼군의 아들로 태어나 승려가 되었다가 환속하여 쇼군의 후계자가 되었고, 오닌의 난 이후 아들이 쇼군이 되자 정무를 보다가 사망했다. - 에탕프 백작 - 프랑수아 2세 드 브르타뉴 공작
프랑수아 2세 드 브르타뉴 공작은 1458년부터 1488년까지 브르타뉴를 통치하며 프랑스 왕실과의 관계 속에서 브르타뉴의 독립을 유지하려 노력했고, 잉글랜드와의 외교, 예술 장려, 신성 로마 제국과의 동맹 등을 통해 브르타뉴의 이익과 번영을 추구했으며, 그의 사후 딸 안 드 브르타뉴가 공작위를 계승했다.
장 드 부르고뉴 (141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에탕프 백작 |
출생일 | 1415년 (1415년 10월 20일 이전) |
출생지 | [[File:Comtes de Nevers.svg|15px]] 뇌베르 백국, 클람시 |
사망일 | 1491년 9월 25일 (75세) |
사망지 | [[File:Comtes de Nevers.svg|15px]] 뇌베르 백국, 뇌베르 |
배우자 | 자클린 달리 폴린 드 브로스 프랑수아즈 달브레 |
자녀 | 엘리자베트 필리프 샤를로트 |
가문 | 발루아-부르고뉴 가 |
아버지 | 뇌베르 백작, 르텔 백작 필리프 |
어머니 | 본 다르투아 |
작위 | |
뇌베르 백작, 르텔 백작 | 1464년 - 1491년 |
외 백작 | 1472년 - 1491년 |
2. 생애
필리프 2세와 본 다르투아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부르고뉴 공작 용담공 필리프의 막내 아들이었다. 아쟁쿠르 전투에서 아버지가 전사한 후, 외증조부인 베리 공작 장으로부터 을 유증받았다. 그러나 1416년 베리 공작이 사망하자 프랑스 왕가는 장의 에탕프 상속을 인정하지 않고, 1421년에 백작령을 브르타뉴 공작장 4세의 아들 리샤르에게 주었다. 그러나 장은 에탕프 백작의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
장은 사촌이자 의붓아버지이기도 한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르 봉을 군인으로서 섬기며, 피카르디 (1434년), 칼레 (1436년), 룩셈부르크 (1443년), 플랑드르 (1453년) 등에서 싸웠다. 그러나 그의 아들 샤를 르 테메레르와 사이가 좋지 않아 그를 버리고 루이 11세 왕에게 갔다. 이 때문에 1456년에 금양모 기사단의 기사로 서임되었으나, 1468년에 기사단에서 제명되었다[3]。
1464년 적자가 없는 형 샤를로부터 네베르 및 루텔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1465년, 르 테메레르를 지도자로 하는 과 싸우는 루이 11세 왕을 지원했다. 1472년, 외숙부 샤를 다르투아로부터 우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1477년, 르 테메레르에게 우 백작령을 매각하려 했으나, 르 테메레르가 전사하면서 실현되지 못했다.
2. 1. 가문과 초기 생애
장 2세는 필리프 2세와 본 다르투아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부르고뉴 공작 용담공 필리프의 막내 아들이었다. 아쟁쿠르 전투에서 아버지가 전사한 후, 외증조부인 베리 공작 장으로부터 에탕프 백작령을 유증받았다. 그러나 프랑스 왕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1421년 백작령을 브르타뉴 공작 장 4세의 아들 리샤르에게 주었다. 그럼에도 장은 에탕프 백작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
장은 사촌이자 의붓아버지이기도 한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르 봉을 군인으로서 섬기며, 피카르디 (1434년), 칼레 (1436년), 룩셈부르크 (1443년), 플랑드르 (1453년) 등에서 싸웠다. 그러나 그의 아들 샤를 르 테메레르와 사이가 좋지 않아 그를 버리고 루이 11세 왕에게 갔다. 이 때문에 1456년에 금양모 기사단의 기사로 서임되었으나, 1468년에 기사단에서 제명되었다.[3]
1464년 적자가 없는 형 샤를로부터 네베르 및 루텔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1472년에는 외숙부 샤를 다르투아로부터 우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2. 2. 부르고뉴 공국과의 관계
장은 용담공 필리프의 막내 아들인 필리프 2세와 본 다르투아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아쟁쿠르 전투에서 전사했기 때문에, 외증조부인 베리 공작 장으로부터 에탕프 백작령을 유증받았다. 그러나 프랑스 왕가는 에탕프 상속을 인정하지 않았고, 1421년 백작령은 브르타뉴 공작 장 4세의 아들 리샤르에게 주어졌다. 장은 에탕프 백작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장은 사촌이자 의붓아버지이기도 한 부르고뉴 공작 선량공 필리프의 군대에서 복무하며 피카르디 (1434년), 칼레 (1436년), 룩셈부르크 (1443년), 플랑드르 (1453년) 등에서 활약했다. 그러나 필리프의 후계자인 용담공 샤를과는 사이가 좋지 않아 그를 버리고 프랑스의 루이 11세에게 귀순했다. 이 때문에 1456년 금양모 기사단 기사로 서임되었으나, 1468년 샤를과의 불화로 기사단에서 제명되었다.[3]
1464년 형 샤를 1세가 사망하면서 네베르 및 르텔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1472년에는 외숙부 샤를 다르투아에게 우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공익 동맹 전쟁에서는 루이 11세를 지원했다.
2. 3. 프랑스 왕가와의 관계
필리프 2세와 본 다르투아의 아들로 태어난 장은 아쟁쿠르 전투에서 아버지가 전사하면서 아버지의 영지 대신 외증조부인 베리 공작 장으로부터 에탕프 백작령을 유증받았다.[3] 그러나 1416년 베리 공작이 사망하자 프랑스 왕가는 장의 에탕프 상속을 인정하지 않았고, 장은 에탕프 백작 칭호만 계속 사용했다.[3]장은 사촌이자 의붓아버지인 선량공 필리프의 군대에서 복무하며 피카르디 (1434년), 칼레 (1436년), 룩셈부르크 (1443년), 플랑드르 (1453년) 등에서 활약했다.[3] 그러나 필리프의 후계자인 용담공 샤를과는 사이가 좋지 않아 루이 11세에게 귀순했다.[3]
1464년, 적자가 없던 형 샤를 1세가 사망하면서 느베르 백작령과 레텔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이후 공익 동맹 전쟁에서 루이 11세의 편에서 싸웠고 노르망디 사령관이 되었다. 1472년에는 외삼촌 샤를 다르투아로부터 외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3. 가족 관계
장은 1435년 11월 24일 아미앵에서 자클린 달리와 혼인하였다. 이 결혼으로 두 명의 자식을 두었다.
- 엘리자베스 (1439년경 ~ 1483년 6월 21일) : 클레베 공 요한 1세와 혼인했다.
- 필리프(1446~1452).
1470년 자클린이 사망한 후, 그는 1471년 8월 30일 부삭 성에서 장 2세 드 브로스의 딸인 폴린 드 브로스(1450년경 ~ 1479년)와 재혼하여 자녀를 한 명 두었다.
- 레텔 백작 샤를로트(1472년경 ~ 1500년 8월 23일), 요한 다르브레와 결혼하여 딸 레텔 백작 마리 다르브레를 두었다.
장의 마지막 결혼은 1480년 3월 11일 샬뤼-샤브롤(리무쟁) 성에서 마리 다르브레(1454년경 ~ 1521년)와 했다.
그 외, 몇 명의 첩과의 사이에서 4명의 서자를 두었다.
3. 1. 첫 번째 혼인
장은 1435년 11월 24일 아미앵에서 자클린 달리와 혼인하였다. 이 결혼으로 두 명의 자식을 두었다.- 엘리자베트 (c. 1439년 – 1483년 6월 21일) : 클레베 공 요한 1세 폰 마르크와 혼인.
- 필리프(Philippe, 1446–1452년).
3. 2. 두 번째 혼인
1470년 자클린의 죽음으로 그는 1471년 8월 30일 부사크 성에서 장 2세 드 브로스의 딸 폴린 드 브로스 (1450년-1479년)와 혼인했다. 그들 사이에 자식 한 명을 두었다:- 샤를로트 (c. 1472년 – 1500년 8월 23일) : 샤를 2세 달브레와 안 다르마냐크의 손자이자 마리 1세 도베르뉴의 증손자인 장 달브레(John d'Albret, 1524년 사망)와 혼인하였으며, 마리 달브레라는 딸 하나를 두었다.
장 드 부르고뉴는 폴린 드 브로스와 재혼하여 딸 1명을 두었다.
- 샤를로트 (1472년 - 1500년) - 1480년, 오르발 영주 장 다르브레와 결혼
3. 3. 세 번째 혼인
장의 마지막 결혼은 1480년 3월 11일 샬뤼-샤브롤(리무쟁) 성에서 프랑수아즈 달브레와 열렸다. 이 결혼은 장의 세 번째 결혼으로, 차녀의 남편 장 다르브레의 여동생과 한 결혼이였지만, 자녀는 없었다.3. 4. 사생아
장 드 부르고뉴는 몇몇 첩과의 사이에서 4명의 서자를 두었다.4. 작위 상속
장의 적자 필리프가 1452년에 요절함에 따라, 장녀 엘리자베트의 차남 앙질베르가 느베르와 외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레텔 백작령은 차녀 샤를로트가 계승했다.
5. 계보
용담공 필리프와 플랑드르 백작 부인 마르가레트 3세의 아들인 네베르 백작 필리프 2세와 아르투아의 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프랑스의 장 2세는 그의 할아버지이다.
16. 프랑스의 필리프 6세 |
---|
8. 프랑스의 장 2세 (= 28) |
17. 절름발이 조안 |
4. 용담공 필리프 |
18. 보헤미아의 요한 1세 |
9. 보헤미아의 본 (= 29) |
19. 보헤미아의 엘리자베스 (1292–1330) |
2. 네베르 백작 필리프 2세 |
20. 플랑드르의 루이 1세 |
10. 플랑드르의 루이 2세 |
21. 부르고뉴 백작 부인 마르가레트 1세 |
5. 플랑드르 백작 부인 마르가레트 3세 |
22. 브라반트 공작 요한 3세 |
11. 브라반트의 마르가레트 |
23. 에브뢰의 마리 |
1. 네베르 백작 장 2세 |
24. 아르투아의 로베르 3세 |
12. 외 백작 장 다르투아 |
25. 발루아의 조안 |
6. 외 백작 필리프 다르투아 |
26. 멜렝의 요한 1세 |
13. 멜렝의 이자보 |
27. 앙텡의 이자보 |
3. 아르투아의 본 |
28. 프랑스의 장 2세 (= 8) |
14. 베리 공작 장 |
29. 보헤미아의 본 (= 9) |
7. 오베르뉴 공작부인 마리 |
30. 아르마냐크의 장 1세 |
15. 아르마냐크의 조안 |
31. 클레르몽의 베아트리스 |
참조
[1]
서적
Nouvelle histoire généalogique de l'auguste maison de France
1990
[2]
간행물
Statuts, Ordonnances et Armorial de l'Ordre de la Toison d'Or
Königl. Bibliothek in Den Haag
[3]
서적
Die Protokollbücher des Ordens vom Goldenen Vlies
Thorbecke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