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목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목황후는 북송 진종의 황후이다. 병주 진양현 출신으로, 곽수문의 딸이며, 진종과 혼인하여 노국부인, 진국부인을 거쳐 997년 진종 즉위 후 황후가 되었다. 검소함을 숭상하고 곽씨 가문에 엄격했으며, 아들 조우가 일찍 죽은 후 병을 얻어 1007년에 사망했다. 시호는 장목이며, 송 인종 때 진종의 태묘에 합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7년 사망 - 셀주크
    셀주크는 10세기 오구즈 투르크족의 지도자이자 셀주크 왕조의 시조이며,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트란스옥시아나 지역 정치에 관여하다가 손자들의 활약으로 셀주크 왕조를 건국하게 된다.
  • 975년 출생 - 이슈트반 1세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헝가리 기독교화와 통일을 이룩하고 1000년 또는 1001년에 왕국을 건국했으며,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975년 출생 - 올드르지흐
    올드르지흐는 보헤미아 공작으로, 야로미르를 폐위시키고 공작위에 오른 후 브르쇼프치 반란을 진압하고 모라바를 탈환했으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폐위된 후 복위와 폐위를 반복하다 사망했다.
  • 태원 곽씨 - 곽회
    곽회는 위나라의 장군으로, 제갈량의 북벌을 막고 옹주와 양주에서 촉한의 침공을 방어하며 강족을 안정시키는 데 공헌하여 사후 대장군으로 추증되고 정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태원 곽씨 - 곽태
    곽태는 후한 시대의 학자로, 굴백언에게 학문을 배우고 이응과 교류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사도 황경의 초빙을 거절하고 교육에 전념하여 제자 1,000명을 배출했으며, 채옹은 그의 비문만이 부끄럽지 않다고 평했다.
장목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곽황후
전체 이름곽씨 (郭氏)
별칭장목황후 (章穆皇后)
출생개보(開寶) 9년 (976년)
출생지병주(幷州) 진양현(晉陽縣)
사망경덕(景德) 4년 음력 4월 16일 (1007년 5월 5일)
사망지개봉부(開封府)
시호장목(莊穆) → 장목(章穆)
아버지곽수문(郭守文)
어머니양씨(梁氏)
배우자
배우자진종(眞宗)
자녀조우(趙祐)
경력
노국부인 (魯國夫人)991년 – 996년
진국부인 (秦國夫人)996년 – 997년
황후 즉위지도(至道) 3년 음력 5월 24일 - 경덕(景德) 4년 음력 4월 16일 (997년 7월 1일 - 1007년 5월 5일)
전임 황후명덕황후(明德皇后)
후임 황후장헌명숙황후(章獻明肅皇后)
추가 정보

2. 생애

장목황후는 태원(太原) 출신으로 곽수문(郭守文)의 둘째 딸이었다. 993년(순화 4년) 태종의 3남인 양왕(襄王, 진종)과 혼인하여 노국부인(魯國夫人)에 봉해졌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진국부인(秦國夫人)으로 봉해졌다.[5]

995년(지도 원년) 도헌태자(悼獻太子) 조현우(趙玄祐)를 낳았고, 997년(지도 3년) 진종이 즉위하자 황후로 책봉되었다. 1007년(경덕 4년) 진종을 따라 서경을 순행하다가 환궁 후에 병을 얻어 사망하였다. 진종은 곽황후의 죽음을 매우 비통해하며 장목(莊穆)의 시호를 내리고 영희릉 서북쪽에 매장하였다. 또한 곽씨 일가에 벼슬을 제수하고 곽황후의 어머니인 양씨를 내국태부인으로 봉호를 더하였다.[5]

인종 대에 진종의 태묘에 합사되었으며 1044년 시호가 '''장목'''(章穆)으로 개칭되었다.[5]

2. 1. 초기 생애와 혼인

병주 진양현 사람으로, 선휘남원사(宣徽南院使) 곽수문(郭守文)과 그의 아내 양씨(梁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991년(순화 2년), 한왕 조항(趙恒, 훗날의 진종)에게 시집가 후처가 되어 노국부인(魯國夫人)에 봉해졌다.[5] 995년 후에 赵祐|조우중국어(훗날의 도헌태자)를 낳았고, 996년(지도 2년)에 진국부인(秦國夫人)으로 진봉되었다.[5] 진종이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다. 검소함을 숭상했으며 곽씨 가문에 엄격하게 대했다.

2. 2. 황후 시절

993년(순화 4년), 태종의 3남인 양왕(襄王, 진종)과 혼인하여 노국부인(魯國夫人)에 봉해졌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진국부인(秦國夫人)으로 봉해졌다.[5]

995년(지도 원년) 후에 도헌태자(悼獻太子) 조현우(趙玄祐)를 낳았으며, 997년(지도 3년), 진종이 즉위하자 황후로 책봉되었다. 곽황후는 검소함을 숭상했으며 곽씨 가문에 엄격하게 대했다.

1007년(경덕 4년), 진종을 따라 서경을 순행하다가 환궁 후에 병을 얻어 사망하였다. 진종은 곽황후의 죽음을 매우 비통해하며 장목(莊穆)의 시호를 내리고 영희릉 서북쪽에 매장하였다. 진종은 곽씨 일가에 벼슬을 제수하고 곽황후의 어머니인 양씨를 내국태부인으로 봉호를 더하였다.[5] 아들 조우는 9세에 사망하여, 곽황후는 슬픔에 잠겨 몸을 망쳤다.

2. 3. 사후

1007년(경덕 4년) 진종을 따라 서경을 순행하다가 환궁 후에 병을 얻어 사망하였다. 진종은 곽황후의 죽음을 매우 비통해하며 장목(莊穆)의 시호를 내리고 영희릉 서북쪽에 매장하였다. 진종은 곽씨 일가에 벼슬을 제수하고 곽황후의 어머니인 양씨를 내국태부인으로 봉호를 더하였다.[5]

인종 대에 진종의 태묘에 합사되었으며 1044년 시호가 '''장목'''(章穆)으로 개칭되었다.[5]

3. 가족 관계

장목황후는 자식을 두지 못했다.[3]

3. 1. 부모

아버지팽충무왕 곽수문
어머니내국태부인 양씨


3. 2. 남편

송 진종(968년 ~ 1022년) : 북송의 제3대 황제[3]

3. 3. 자녀

장목황후는 자식을 두지 못했다.[3]

참조

[1] 서적 Song Shi 1007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3] 서적 Song Shi 1007
[4] 서적 Song Shi 1044
[5] 서적 송사(宋史) 권242 〈열전〉(列傳) 제1 후비(后妃) 상 - 장목곽황후(章穆郭皇后)
[6] 서적 송사(宋史) 권7 〈본기〉(本紀) 제7 진종(眞宗) 2 - 경덕(景德) 4년 4월 신사(辛巳) 기사 1007-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