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정구는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WBC 세계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을 획득하고 15차 방어에 성공하여 세계 최다 방어 기록을 세웠다. 1980년 프로 데뷔 후 18연승을 거두며 세계 타이틀 도전권을 얻었고, 1983년 일라리오 사파타를 꺾고 WBC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이 되었다. 1988년 15차 방어 성공 후 타이틀을 반납했으며, 이후 플라이급으로 체급을 올려 2체급 제패를 노렸으나 실패하고 은퇴했다. 2010년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미초등학교 (부산) 동문 - 정훈희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구시켄 요코
구시켄 요코는 일본 오키나와현 출신의 전 프로 복싱 선수로, WBA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을 13차 방어하며 일본 복싱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고, 은퇴 후에는 해설자 및 탤런트로 활동하며 2014년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최요삼
최요삼은 대한민국의 프로 권투 선수로, WBC 라이트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에 올라 3차 방어에 성공하는 등 화려한 경력을 쌓았으나, WBO 인터콘티넨탈 플라이급 챔피언 1차 방어전 직후 뇌출혈로 사망 후 체육훈장 백마장 추서와 장기 기증으로 기려지고 리쌍의 추모곡 '챔피언'으로도 기억되는 인물이다.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선수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라이트플라이급 권투 선수 - 구시켄 요코
구시켄 요코는 일본 오키나와현 출신의 전 프로 복싱 선수로, WBA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을 13차 방어하며 일본 복싱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고, 은퇴 후에는 해설자 및 탤런트로 활동하며 2014년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장정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장정구 |
| 별칭 | 한국의 매 |
| 본명 | 장정구 |
| 신장 | 162cm |
| 체급 | 라이트플라이급 |
| 출생일 | 1963년 2월 4일 |
| 출생지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
| 스타일 | 오소독스 |
| 활동 기간 | 1980년~1991년 |
| 프로 복싱 전적 | |
| 총 전적 | 42 |
| 승리 | 38 |
| KO승 | 17 |
| 패배 | 4 |
| 무승부 | 0 |
| 무효 | 0 |
| 관련 정보 | |
| WBC 80년대 10대 복서 선정 | 장정구 WBC 80년대 10大복서 선정 |
| 한국권투연맹 공식 프로필 | 한국권투연맹 공식 프로필 |
2. 학력
- 아미초등학교 졸업
3. 프로 선수 경력
1980년 프로 복싱에 데뷔한 장정구는 1982년 일라리오 사파타에게 도전하여 판정패했지만, 재대결에서 승리하며 WBC 라이트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후 1988년까지 15차 방어를 성공하며 당시 세계 최다 방어 기록을 세웠다.
| 연도 | 주요 경기 내용 |
|---|---|
| 1980년 | 프로 복싱 데뷔 |
| 1982년 | 일라리오 사파타에게 판정패,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도전 실패. 이후 재대결에서 승리하여 WBC 라이트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 등극. |
| 1983년 - 1988년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15차 방어 성공 (당시 세계 최다 방어 기록). 오하시 히데유키에게 8회 TKO승 (고라쿠엔 홀) 후 타이틀 반납. |
| 1989년 | 링 복귀. 움베르토 곤잘레스에게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재도전 실패. |
| 1990년 | 소트 치탈라타에게 WBC 플라이급 타이틀 도전 실패. |
| 1991년 | 무앙차이 키티카셈에게 WBC 플라이급 타이틀 재도전 실패 후 은퇴. |
1988년 타이틀 반납 후,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1989년 복귀전을 가졌으나 움베르토 곤잘레스에게 패했다. 이후 플라이급으로 체급을 올려 두 차례 더 세계 타이틀에 도전했지만, 모두 실패하고 1991년 은퇴했다.
3. 1. 프로 데뷔와 초기 활동 (1980-1982)
1980년 11월 17일, 서정렬에게 3회 KO승을 거두며 프로 복싱에 데뷔했다.[1] 데뷔 이후 18연승을 기록하며, 전 세계 챔피언 아마도 우르수아, 알폰소 로페스 등 강자들을 꺾고 세계 타이틀 도전권을 획득했다.[1]1982년 9월 19일, 19번째 경기에서 첫 세계 타이틀에 도전했다.[1] WBC 세계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일라리오 사파타 (파나마)에게 도전했지만, 15회 판정패하며 프로 첫 패배를 기록했다.[1] 경기 며칠 전 유리 조각을 밟아 발바닥을 다쳤지만, 챔피언을 상대로 예상보다 좋은 경기를 펼쳤다.[1]
3. 2. WBC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등극 (1982-1983)
1982년 9월 18일, 장정구는 파나마의 일라리오 사파타에게 15라운드 판정으로 패하며 첫 세계 타이틀 도전에 실패했다.[1] 그러나 서울에서 열린 재대결에서 3라운드 2분 46초 만에 사파타를 KO로 꺾고 WBC 라이트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1]1983년 3월 26일, 사파타에게 재도전하여 3회 KO 승을 거두며 WBC 세계 라이트플라이급 왕좌를 획득했다.[2] 6월 11일, 이파 마사하루에게 2회 KO 승으로 첫 방어에 성공했고,[2] 9월 12일에는 헤르만 토레스 (멕시코)에게 12회 판정 승으로 두 번째 방어에 성공했다.[2] 최강의 도전자 토레스에게 다운을 빼앗으며 승리하여 장정구는 챔피언으로서의 실력을 증명했다.[2]
3. 3. 15차 방어 성공과 타이틀 반납 (1983-1988)
1983년 3월 26일, 일라리오 사파타에게 재도전하여 3회 KO 승을 거두며 WBC 세계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에 등극했다.[1] 이후 1988년까지 15차례 타이틀을 방어하며 당시 세계 최다 방어 기록을 세웠다.[1]| 방어 횟수 | 날짜 | 상대 선수 | 결과 | 비고 |
|---|---|---|---|---|
| 1차 | 1983년 6월 11일 | 이파 마사하루 | 2회 KO 승 | |
| 2차 | 1983년 9월 12일 | 헤르만 토레스 (멕시코) | 12회 판정 승 | 최강의 도전자 토레스에게 다운을 빼앗으며 승리 |
| 3차 | 1984년 3월 31일 | 솟 칫라다 (태국) | 12회 판정 승 | 5전 경력의 칫라다의 잽에 고전했으나 격투 끝에 승리 |
| 4차 | 1984년 8월 18일 | 와카시키 가쓰오 | 9회 KO 승 | 전 WBA 세계 주니어 플라이급 챔피언 |
| 5차 | 1984년 12월 15일 | 구라모치 마사시 | 12회 판정 승 | |
| 6차 | 1985년 4월 27일 | 교에이 짐으로 이적 후 개명한 오제키 토레스(헤르만 토레스) | 12회 판정 승 | 숙적 토레스와의 두 번째 대결 |
| 7차 | 1985년 8월 4일 | 센다이 몬티엘 | 12회 판정 승 | |
| 8차 | 1985년 11월 10일 | 호르헤 카노(멕시코) | 12회 판정 승 | |
| 9차 | 1986년 4월 13일 | 오제키 토레스 | 12회 판정 승 | 세 번의 대결 중 가장 큰 점수 차 |
| 10차 | 1986년 9월 13일 | 센다이 몬티엘 | 12회 판정 승 | |
| 11차 | 1986년 12월 14일 | 오하시 히데유키 | 5회 TKO 승 | 프로 7전째인 오하시에게 완승 |
| 12차 | 1987년 4월 19일 | 다테 핀토 | 6회 KO 승 | 핀토는 투지 없는 싸움으로 완패 |
| 13차 | 1987년 6월 28일 | 아구스틴 가르시아 (콜롬비아) | 10회 KO 승 | 장신의 아웃복서 가르시아를 연타로 압도 |
| 14차 | 1987년 12월 13일 | 이시드로 페레스 (멕시코) | 12회 판정 승 | 구시켄 요코의 세계 라이트 플라이급 왕좌 방어 기록 "13" 갱신 |
| 15차 | 1988년 6월 27일 | 오하시 히데유키 | 8회 KO 승 | 고라쿠엔 홀에서 열린 재대결, 장정구의 유일한 해외 시합 |
1988년 11월, WBC 세계 라이트플라이급 왕좌를 반납했다.[1]
3. 4. 복귀와 은퇴 (1989-1991)
1988년 11월, 장정구는 WBC 라이트플라이급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반납했다.[1] 이는 15차 방어 성공 직후의 일이었다.[1] 그러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1989년 링에 복귀했다.[1]1989년 12월 9일, 장정구는 자신이 반납했던 WBC 라이트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한 움베르토 곤잘레스에게 도전했지만, 12회 판정패하며 타이틀 재탈환에 실패했다.[1]
플라이급으로 체급을 올린 장정구는 1990년 11월 24일, 과거 라이트플라이급 시절 3차 방어전 상대였던 솟 칫라다에게 WBC 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했다.[1] 6년 만의 재대결이었지만, 두 선수 모두 저조한 경기력을 보이며 12회 판정패했고, 2체급 제패에 실패했다.[1]
1991년 5월 18일, 장정구는 무앙차이 키티카셈에게 WBC 플라이급 타이틀에 재도전했다.[1] 11회까지 4번의 다운을 빼앗으며 우세했지만, 12회에 체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KO패 당했다.[1]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장정구는 은퇴를 선언했다.[1]
4. 은퇴 이후
장정구는 1988년 6월 27일, 일본 고라쿠엔 홀에서 오하시 히데유키를 상대로 8회 TKO승을 거두며 WBC 라이트플라이급 타이틀 15차 방어에 성공한 직후 타이틀을 반납하고 은퇴했다.[1] 그러나 결혼 사기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1989년 8월 27일 링에 복귀했다.[1]
복귀 후, 장정구는 1989년 12월 9일 움베르토 곤잘레스에게 WBC 라이트플라이급 타이틀에 재도전했지만 실패했다.[1] 1990년 11월 24일에는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3차 방어전 상대였던 소트 치탈라다에게 WBC 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했으나, 12회 판정패하며 또다시 고배를 마셨다.[1]
1991년 5월 18일, 장정구는 무앙차이 키티카셈에게 WBC 플라이급 타이틀에 다시 도전했다.[1] 11회까지 4번의 다운을 빼앗으며 선전했지만, 12회에 체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KO패를 당하고, 결국 은퇴를 선언했다.[1]
은퇴 이후, 장정구는 2000년 WBC 선정 '20세기 위대한 복서 25인'에 선정되었고,[1] 2009년에는 프로복싱기자협회 선정 국제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2010년 6월에는 다른 12명의 권투 관련 인물들과 함께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는데, 이는 한국 권투 선수 최초이자, 아시아 권투 선수로는 5번째로 이룬 쾌거였다.[1]
5. 기타
- 최요삼의 트레이너를 맡은 적이 있다.
6. 프로 복싱 전적
| 번호 | 결과 | 전적 | 상대 | 타입 | 라운드, 시간 | 날짜 | 장소 | 비고 |
|---|---|---|---|---|---|---|---|---|
| 42 | 패 | 38–4 | 무앙차이 키티카셈 | TKO | 12 (12) | 1991년 5월 18일 | 대한민국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 WBC 플라이급 타이틀전 |
| 41 | 패 | 38–3 | 솟 칫라다 | MD | 12 | 1990년 11월 24일 | 대한민국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 WBC 플라이급 타이틀전 |
| 40 | 승 | 38–2 | 릭 시오도라 | TKO | 8 (12) | 1990년 9월 15일 | 대한민국 구미 | |
| 39 | 패 | 37–2 | 움베르토 곤잘레스 | UD | 12 | 1989년 12월 9일 | 대한민국 대구 실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전 |
| 38 | 승 | 37–1 | 아만도 벨라스코 | UD | 10 | 1989년 8월 27일 | 대한민국 부산 | |
| 37 | 승 | 36–1 | 오하시 히데유키 | TKO | 8 (12) | 1988년 6월 27일 | 일본 고라쿠엔 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36 | 승 | 35–1 | 이지드로 페레즈 | UD | 12 | 1987년 12월 13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35 | 승 | 34–1 | 아구스틴 가르시아 | TKO | 10 (12) | 1987년 6월 28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34 | 승 | 33–1 | 에프렌 핀토 | TKO | 6 (12) | 1987년 4월 19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33 | 승 | 32–1 | 오하시 히데유키 | TKO | 5 (12) | 1986년 12월 14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32 | 승 | 31–1 | 프란시스코 몬티엘 | UD | 12 | 1986년 9월 13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31 | 승 | 30–1 | 헤르만 토레스 | UD | 12 | 1986년 4월 13일 | 대한민국 광주 실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30 | 승 | 29–1 | 호르헤 카노 | UD | 12 | 1985년 11월 10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29 | 승 | 28–1 | 프란시스코 몬티엘 | UD | 12 | 1985년 8월 4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28 | 승 | 27–1 | 헤르만 토레스 | 판정 | 12 | 1985년 4월 27일 | 대한민국 울산 현대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27 | 승 | 26–1 | 구라모치 타다시 | UD | 12 | 1984년 12월 15일 | 대한민국 부산 구덕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26 | 승 | 25–1 | 도카시키 가쓰오 | TKO | 9 (12) | 1984년 8월 18일 | 대한민국 포항 포항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25 | 승 | 24–1 | 솟 칫라다 | UD | 12 | 1984년 3월 31일 | 대한민국 부산 구덕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24 | 승 | 23–1 | 헤르만 토레스 | UD | 12 | 1983년 9월 10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23 | 승 | 22–1 | 이나미 마사하루 | KO | 2 (12) | 1983년 6월 11일 | 대한민국 대구 경복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 22 | 승 | 21–1 | 일라리오 사파타 | TKO | 3 (15) | 1983년 3월 26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 획득 |
| 21 | 승 | 20–1 | 티오 아벨라 | KO | 2 (10) | 1983년 2월 6일 | 대한민국 충주 | |
| 20 | 승 | 19–1 | 로드리고 사오니 | PTS | 10 | 1982년 12월 5일 | 대한민국 진주 | |
| 19 | 패 | 18–1 | 일라리오 사파타 | 판정 | 15 | 1982년 9월 18일 | 대한민국 전주 전주체육관 | WBC 라이트 플라이급 타이틀전 |
| 18 | 승 | 18–0 | 아마도 우르수아 | UD | 10 | 1982년 7월 10일 |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 |
| 17 | 승 | 17–0 | 루코드 피티폰 | TKO | 5 (10) | 1982년 4월 4일 | 대한민국 부산 구덕체육관 | |
| 16 | 승 | 16–0 | 장종관 | 기권 | 6 (10) | 1982년 2월 10일 | 대한민국 대구 경북체육관 | |
| 15 | 승 | 15–0 | 알폰소 로페즈 | KO | 3 (8) | 1981년 12월 26일 |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 |
| 14 | 승 | 14–0 | 추트몽콜 타이룽리앙 | KO | 2 (10) | 1981년 11월 18일 | 대한민국 부산 구덕체육관 | |
| 13 | 승 | 13–0 | 레오나르도 파레데스 | KO | 6 (10) | 1981년 10월 11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
| 12 | 승 | 12–0 | 로드 에스메로 | 만장일치 | 10 | 1981년 9월 4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
| 11 | 승 | 11–0 | 오스카 볼리바르 | PTS | 10 | 1981년 6월 7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
| 10 | 승 | 10–0 | 미겔 레알 | PTS | 10 | 1981년 4월 25일 | 대한민국 부산 | |
| 9 | 승 | 9–0 | 김요동 | PTS | 6 | 1981년 3월 29일 | 대한민국 부산 구덕체육관 | |
| 8 | 승 | 8–0 | 홍창표 | PTS | 8 | 1981년 1월 23일 | 대한민국 부산 구덕체육관 | |
| 7 | 승 | 7–0 | 박진형 | KO | 2 (6) | 1981년 1월 11일 | 대한민국 부산 | |
| 6 | 승 | 6–0 | 강남근 | PTS | 6 | 1980년 12월 7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 5 | 승 | 5–0 | 신희수 | PTS | 4 | 1980년 11월 29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 4 | 승 | 4–0 | 변호철 | PTS | 4 | 1980년 11월 23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 3 | 승 | 3–0 | 이희관 | PTS | 4 | 1980년 11월 22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 2 | 승 | 2–0 | 박진형 | TKO | 3 (4) | 1980년 11월 19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
| 1 | 승 | 1–0 | 서정렬 | KO | 3 (4) | 1980년 11월 17일 | 대한민국 서울 문화체육관 |
참조
[1]
웹사이트
Jung-Koo Chang: The best fighter you've never heard about
https://www.boxingmo[...]
2016-03-20
[2]
웹사이트
Boxers "Little Red" Lopez and Chang Elected to Int'l Boxing Hall of Fame - IBHOF.com
http://www.ibhof.com[...]
2010-01-23
[3]
웹사이트
Dロペス、張正九らがボクシング殿堂入り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09-12-09
[4]
웹인용
한국권투연맹 공식 프로필
http://www.koreaboxi[...]
2020-05-27
[5]
뉴스
張正九 WBC 80년대 10大복서 선정
http://sports.news.n[...]
1990-01-19
[6]
웹사이트
가정파탄으로 전재산 날린 전 세계챔피언 장정구 복싱계 복귀 사연
https://woman.dong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