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조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전조생(田祖生, 1318년 ~ 1355년)은 고려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입니다. 다음은 전조생에 대한 자세한 정보입니다.
생애 및 활동


  • 본관 및 출생: 본관은 담양(潭陽)이며, 자는 계경(季耕), 호는 경은(耕隱)입니다. 1318년에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희경(希慶)이고, 어머니는 웅신서씨(熊神徐氏)로 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 성윤(成允)의 딸입니다.
  • 관직: 1336년(충숙왕 복위 5) 문과에 급제하였고, 1341년(충혜왕 복위 2)에는 충혜왕으로부터 두 왕자를 보필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1346년(충목왕 복위 2) 이제현(李齊賢), 이곡(李穀) 등과 함께 ≪편년강목(編年綱目)≫을 찬정(撰定)하였고, 우탁(禹倬)을 따라 정주(程朱)의 성리학을 강명(講明)하였습니다. 1349년(충정왕 1) 찬성첨의부사(贊成僉議府事)에 제수되었고, 1351년 다시 찬성첨의부사에 올랐습니다.
  • 은거: 충정왕이 강화에서 손위(遜位)하자, 이강(李岡), 박사신(朴思愼), 한수(韓修) 등과 호종(扈從)하였다가 그길로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하였습니다.
  • 사망: 1355년에 사망하였습니다.

사상 및 업적

  • 불사이군(不事二君):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충절을 지켜 두문동에 들어갔습니다.
  • 후학 양성: <계자시(誡子詩)>와 <경학문(警學文)>을 지어 후진을 계도하였습니다.

사후

  • 배향: 태암서원(泰巖書院)에 별향(別享)되었고, 구산서원(龜山書院), 소계서원(蘇溪書院)에 배향되었습니다.
  • 시호: 문원(文元)이라는 시호를 받았습니다.

기타

  • 담양 전씨(潭陽 田氏)는 전조생을 비롯하여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많은 인물을 배출한 가문입니다.
  • 전조생의 손자 전자수(田子壽) 또한 태암서원에 함께 배향되었습니다.


전조생은 고려 말의 혼란한 상황 속에서도 학문과 절의를 지킨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