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5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정5품(正五品)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사용된 9번째 등급의 품계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문관과 무관에게 모두 정5품 품계가 주어졌습니다.
조선 시대 정5품
- 문관:
- 상계: 통덕랑(通德郞)
- 하계: 통선랑(通善郞)
- 무관:
- 상계: 과의교위(果毅校尉)
- 하계: 충의교위(忠毅校尉)
- 토관(土官): 통의랑(通議郞), 건충대위(建忠隊尉)
- 종친(宗親):
- 상계: 통직랑(通直郞)
- 하계: 병직랑(秉直郞)
- 내명부(內命婦): 상궁(尙宮), 상의(尙儀)
- 외명부(外命婦):
- 종친 처: 온인(溫人)
- 문무관 처: 공인(恭人)
정5품 관직 (조선 시대)정5품에 해당하는 관직은 다양합니다.
- 종친부(宗親府)의 영(令), 전부(典簿)
- 의정부(議政府)의 검상(檢詳)
- 이조(吏曹), 호조(戶曹), 예조(禮曹), 병조(兵曹), 형조(刑曹), 공조(工曹)의 정랑(正郞)
-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 사헌부(司憲府)의 지평(持平)
- 장례원(掌隷院)의 사의(司議)
- 사간원(司諫院)의 헌납(獻納)
- 경연청(經筵廳)의 시독관(侍讀官)
- 홍문관(弘文館)의 교리(校理)
-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문학(文學), 겸문학(兼文學)
- 성균관(成均館)의 직강(直講)
- 춘추관(春秋館)의 기주관(記注官)
- 통례원(通禮院)의 찬의(贊儀)
- 상의원(尙衣院)의 별좌(別坐)
- 군기시(軍器寺)의 별좌
- 오위(五衛)의 사직(司直)
-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선전관(宣傳官)
- 종학(宗學)의 전훈(典訓)
-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의 별좌
- 전함사(典艦司)의 별좌, 전연사(典涓司)의 별좌
- 내수사(內需司)의 전수(典需), 별좌
-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좌익위(左翊衛), 우익위(右翊衛)
- 예빈시(禮貧寺)의 별좌, 전설사(典設司)의 별좌
- 장생전(長生殿)의 낭청(郞廳)
- 내시부(內侍府)의 상호(尙弧)
- 함흥부(咸興府), 평양부(平壤府),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도무(都務) - 동반 토관직
- 진북위(鎭北衛), 진서위(鎭西衛), 진변위(鎭邊衛), 진봉위(鎭封衛)의 여직(勵直) - 서반 토관직
현대 직급과 비교하면, 조선 시대 정5품은 서기관(4급)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