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착은 철근이 콘크리트 내에서 완전히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최소 정착길이, 표준갈고리, 확대머리 이형철근, 휨철근의 정착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최소 정착길이는 철근의 종류, 강도, 콘크리트 강도, 철근의 위치, 에폭시 도막 여부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계산되며, 표준갈고리는 철근 끝을 구부려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갈고리 각도와 길이에 따라 최소 정착길이가 달라진다. 확대머리 이형철근은 특수한 경우에 적용되며, 휨철근은 정철근, 부철근, 복부철근으로 구분되어 각각 정착 규정을 따른다.
철근이 콘크리트 내에서 완전히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길이를 의미한다.
2. 최소 정착길이
2. 1. 인장이형철근 최소 정착길이
인장력을 받는 이형철근의 최소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곱해서 정하는 방법과 정밀식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기본정착길이 계산에서 이어야 한다. 즉 인 경우 더 이상 정착길이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또한 계산된 정착길이는 반드시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1. 1. 인장이형철근 기본 정착길이
인장이형철근의 최소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 에 보정계수를 곱해서 정하는 방법과 정밀식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기본정착길이 계산에서 이어야 한다. 즉 인 경우 더 이상 정착길이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또한 계산된 정착길이는 반드시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인장이형철근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보정계수는 다음과 같다.
에폭시 도막철근이 상부철근인 경우 이다.
조건 | D19 이하 철근 또는 이형철선 | D22 이상 철근 |
---|---|---|
0.8αβ | 1.0αβ | |
기타 | 1.2αβ | 1.5αβ |
2. 1. 2. 보정 계수
인장이형철근의 최소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곱해서 정하는 방법과 정밀식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기본정착길이 계산에서 이어야 한다. 즉 인 경우 더 이상 정착길이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계산된 정착길이는 반드시 300mm 이상이어야 한다.인장이형철근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다.
:
::* db: 철근 공칭 지름(mm)
::* λ: 경량콘크리트계수
::* fy: 철근 항복강도
::* fck: 콘크리트 압축강도
보정계수는 다음과 같다.
- 철근 위치계수 α
- 상부철근인 경우 1.3
- 그 외 1.0
- 철근 도막계수 β
- 피복두께 3db미만 또는 순간격 6db미만인 에폭시 도막철근 또는 철선: 1.5
- 기타 에폭시 도막철근 또는 철선: 1.2
- 아연도금 철근, 도막되지 않은 철근: 1.0
에폭시 도막철근이 상부철근인 경우 이다.
- : 휨부재에 배치되는 철근이 구조적인 해석에 의해 필요한 소요 철근량보다 많은 경우 를 곱하여 정착길이를 줄일 수 있다.
조건 | D19 이하 철근 또는 이형철선 | D22 이상 철근 |
---|---|---|
0.8αβ | 1.0αβ | |
기타 | 1.2αβ | 1.5αβ |
2. 2. 압축이형철근의 최소 정착길이
압축력을 받는 이형철근의 최소 정착길이는 기본 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곱하여 계산하며, 200mm 이상이어야 한다.2. 2. 1. 압축이형철근 기본 정착길이
압축이형철근 최소 정착길이는 압축이형철근 기본정착길이 에 보정계수를 곱해 구하며, 200mm 이상이어야 한다.압축이형철근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다.
:
보정계수는 다음과 같다.
- : 휨부재에 배치되는 철근이 구조적인 해석에 의해 필요한 소요 철근량보다 많은 경우 를 곱하여 정착길이를 줄일 수 있다.
- 나선철근 또는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0.75. 다음 두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해야 한다.
- * 지름 6mm 이상, 나선간격 100mm 이하인 나선철근이 사용된 경우
- * 중심간격 100mm 이하로 띠철근 요구조건에 따라 배근된 D13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2. 2. 2. 보정 계수
압축 이형 철근의 최소 정착 길이는 압축 이형 철근 기본 정착 길이 ldb영어에 보정 계수를 곱하여 구하며, 200mm 이상이어야 한다.압축 이형 철근 기본 정착 길이는 다음과 같다.
:
보정 계수는 다음과 같다.
- 소요|필요한국어 As영어 / 배근 As영어: 휨 부재에 배치되는 철근이 구조적인 해석에 의해 필요한 소요 철근량보다 많은 경우, (소요|필요한국어 As영어 / 배근 As영어)를 곱하여 정착 길이를 줄일 수 있다.
- 나선 철근 또는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 0.75 (다음 두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해야 함)
- 지름 ≥ 6mm, 나선 간격 ≤ 100mm인 나선 철근이 사용된 경우
- 중심 간격 ≤ 100mm로 띠철근 요구 조건에 따라 배근된 D13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2. 3. 다발철근의 최소 정착길이
다발철근의 정착길이는 철근 하나를 쓸 때의 정착길이 ld에 비해 증가시켜야 한다. 증가량은 다음과 같다.다발철근 개수 | 정착길이 |
---|---|
두 개 | ld |
세 개 | 1.20×ld |
네 개 | 1.33×ld |
3. 표준갈고리
철근 정착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려서 갈고리를 만들기도 한다. 표준갈고리에는 90도, 135도, 180도 갈고리가 있다.
3. 1. 주철근 표준갈고리
철근의 정착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려서 갈고리를 만드는 경우가 있다. 주철근 표준갈고리에 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
3. 2. 스터럽, 띠철근 표준갈고리
철근 정착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려 갈고리를 만드는 경우가 있으며, 관련 규정은 다음과 같다.
4. 표준갈고리 최소 정착길이
표준갈고리 최소 정착길이 ldh는 표준갈고리 기본정착길이 lhb에 보정계수를 곱해 구하며, 최소 정착길이는 8db,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4. 1. 표준갈고리 기본 정착길이
표준갈고리 최소 정착길이 는 표준갈고리 기본정착길이 에 보정계수를 곱해 구한다. 최소 정착길이는 ,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β: 인장이형철근 최소 정착길이 계산 시 사용하는 β와 동일.
'''보정계수'''
- D35 이하 철근에 대해, 피복두께에 대한 계수 0.7 적용 조건 (둘 중 하나 만족 시)
- * 갈고리 측면 피복두께 70mm 이상
- * 90도 갈고리인 경우 갈고리에서 콘크리트 긴 방향 끝까지 피복두께 50mm 이상
- D35 이하 철근에 대해, 띠철근, 스터럽에 대한 계수 0.8 적용 조건
- * 90도 혹은 180도 갈고리가 포함된 구간에 이하 간격으로 띠철근 또는 스터럽으로 둘러싼 경우이면서, 띠철근 또는 스터럽이 갈고리 구부러진 부분을 거리 이내에서 둘러싸야 적용가능
- * 인 경우 0.8 계수 적용 불가
- : 휨부재에 배치되는 철근이 구조적인 해석에 의해 필요한 소요 철근량보다 많은 경우 를 곱하여 정착길이를 줄일 수 있다.
4. 2. 보정 계수
표준갈고리 최소 정착길이 ldh는 표준갈고리 기본정착길이 lhb에 보정계수를 곱해 구한다. 최소 정착길이는 8db,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D35 이하 철근에 대해 피복두께에 대한 계수나 띠철근, 스터럽에 대한 계수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 휨부재에 배치되는 철근이 구조적인 해석에 의해 필요한 소요 철근량보다 많은 경우 를 곱하여 정착길이를 줄일 수 있다.
4. 2. 1. 피복두께에 대한 계수
D35 이하 철근에 대해, 다음 중 하나를 만족하면 피복두께에 대한 계수 0.7을 적용한다.- 갈고리 측면 피복두께 70mm 이상
- 90도 갈고리인 경우 갈고리에서 콘크리트 긴 방향 끝까지 피복두께 50mm 이상
4. 2. 2. 띠철근, 스터럽에 대한 계수
D35 이하 철근에 대해, 90도 혹은 180도 갈고리가 포함된 ldh 구간을 3db 이하 간격으로 띠철근 또는 스터럽으로 둘러싼 경우이면서, 띠철근 또는 스터럽이 갈고리 구부러진 부분을 2db 거리 이내에서 둘러싸야 0.8의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단, fy > 550MPa인 경우에는 0.8 계수를 적용할 수 없다.조건 | 계수 |
---|---|
90도 혹은 180도 갈고리가 포함된 ldh 구간에 3db 이하 간격으로 띠철근 또는 스터럽으로 둘러싸고, 띠철근 또는 스터럽이 갈고리 구부러진 부분을 2db 거리 이내에서 둘러싼 경우 | 0.8 |
fy > 550MPa | 0.8 계수 적용 불가 |
4. 2. 3. 소요 철근량/배근 철근량
구조적인 해석에 의해 휨부재에 배치되는 철근이 필요한 소요 철근량보다 많은 경우, 를 곱하여 정착길이를 줄일 수 있다.5. 확대머리 이형철근 최소 정착길이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최소 정착길이를 구하는 식을 적용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조건 | 값 |
---|---|
철근 설계기준항복강도 | 400MPa 이하 |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 40MPa 이하 |
철근 직경(db) | 35mm 이하 |
콘크리트 종류 | 보통중량 콘크리트 (경량 콘크리트 적용 불가) |
확대머리 순지압면적(Abrg) | 4 × (철근 하나 단면적) 이상 |
순피복두께 | 2db 이상 |
철근 순간격 | 4db 이상. 단, 상하기둥이 있는 보-기둥 접합부의 보 주철근인 경우 접합부 횡 보강철근이 0.3% 이상, 확대머리 뒷면이 횡보강철근 바깥면부터 50mm 이내에 있으면 2.5db 이상 |
6. 휨철근의 정착
철근 응력이 휨 모멘트에 직접 비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경사형, 계단형, 변단면 기초판, 브래킷, 깊은 보, 인장철근이 압축면에 평행하지 않은 부재들이 있다. 이런 경우 휨부재의 인장철근은 적절한 정착을 해야 한다.
6. 1. 정철근의 정착
정 모멘트(+)를 받는 철근을 정철근이라고 한다. 정철근에 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 단순부재에서 정철근의 1/3 이상, 연속부재에서 1/4 이상을 부재의 같은 면을 따라 받침부까지 연장해야 한다.
6. 2. 부철근의 정착
부모멘트(-)를 받는 철근을 부철근이라고 한다. 부철근에 대해서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규정들이 있다.:* 부재 유효깊이 d
:* 12db
:* 순경간의 1/16
6. 3. 복부철근의 정착
복부철근은 피복두께, 다른 철근과의 간격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한 부재의 압축면과 인장면 가까이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