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친왕은 청나라 황족 작위의 하나로, 슈르하치의 아들 제이합랑에게 처음 수여되었다. 제이합랑의 후손들이 정친왕 또는 간친왕 작위를 세습했으며, 작위가 박탈되거나 회복되는 과정을 거쳤다. 주요 가문으로는 제이합랑, 제도, 덕색, 아포, 단화 등이 있다. 마지막 정친왕은 조후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친왕 - 단화 (정친왕)
청나라 황족 단화는 함풍제의 섭정으로 임명되었으나, 신유정변으로 숙청당하고 동치제 시해 음모에 연루되어 자결했다. - 정친왕 - 아이신기오로 지르갈랑
아이신기오로 지르갈랑은 청나라 황족으로, 여러 영상 매체에서 다양한 배우들에 의해 연기되었다.
| 정친왕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작위명 (한자) | 和碩鄭親王/和硕郑亲王 |
| 작위명 (로마자 표기) | Heshoge Zheng Qin Wang |
| 다른 작위명 (한자) | 和碩簡親王/和硕简亲王 |
| 다른 작위명 (로마자 표기) | Heshoge Jian Qin Wang |
| 만주어 작위명 | ᡥᠣᡧᠣᡳ ᡠᠵᡝᠨ ᠴᡳᠨ ᠸᠠᠩ |
| 몽골어 작위명 | ᠬᠣᠱᠣᠢ ᠦᠵᠡᠨ ᠴᠢᠨ ᠸᠠᠩ |
| 존속 기간 | 1648년 - 1949년 |
| 작위 성격 | 세습 가능한 친왕 |
| 민충친왕 (시호) | 諡曰 敏忠 |
| 작위 계승 횟수 | 15세 |
| 역사 | |
| 창시자 | 제르하랑 |
| 폐지 시점 |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
| 역대 정친왕 | |
| 1대 | 제르하랑 (1599년 ~ 1648년) |
| 2대 | 지두 (1628년 ~ 1659년) |
| 3대 | 금흔 (1644년 ~ 1681년) |
| 4대 | 액례 (1670년 ~ 1709년) |
| 5대 | 봉수 (1696년 ~ 1732년) |
| 6대 | 경근 (1713년 ~ 1765년) |
| 7대 | 조창 (1738년 ~ 1784년) |
| 8대 | 우영 (1766년 ~ 1790년) |
| 9대 | 염경 (1747년 ~ 1802년) |
| 10대 | 문화 (1776년 ~ 1826년) |
| 11대 | 승경 (1805년 ~ 1848년) |
| 12대 | 단화 (1829년 ~ 1861년) |
| 13대 | 세탁아륵보라특 (1848년 ~ 1878년) |
| 14대 | 경원 (1865년 ~ 1908년) |
| 15대 | 소영 (1903년 ~ 1949년) |
2. 정친왕 가문의 역사
정친왕 가문은 청나라 초기 8대 철모자왕 가문 중 하나로, 슈르하치의 조카 제이합랑이 시조이다. 제이합랑은 1636년 정친왕 작위를 받았으며, 이후 그의 후손들이 대대로 작위를 계승하였다. 정친왕 가문은 여러 차례 작위가 바뀌고 박탈당하기도 하였으나, 청나라 말기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였다.
정친왕 가문의 역대 계승과 작위 변동은 아래 표와 같다.
|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기록 |
|---|---|---|---|---|---|
| 정친왕 | 헌(獻) | 제이합랑 | 슈르하치의 6남 | 1636년 ~ 1655년 | |
| 간친왕 | 순(純) | 제도 | 제이합랑의 차남 | 1657년 ~ 1660년 | |
| 간친왕 | 혜(惠) | 덕색 | 제도의 3남 | 1661년 ~ 1670년 | |
| 간친왕 | 라포 | 제도의 차남 | 1670년 ~ 1681년 | 1682년 작위 추탈 | |
| 간친왕 | 수(修) | 아포 | 제도의 5남 | 1683년 ~ 1701년 | |
| 간친왕 | 아이강아 | 아포의 장남 | 1703년 ~ 1726년 | 1726년 작위 박탈 | |
| 간친왕 | 신보주 | 아포의 14남 | 1726년 ~ 1748년 | 1748년 작위 박탈 | |
| (추봉) 간친왕 | 정정(靖定) | 비양무 | 슈르하치의 8남 | (추봉) 1748년 | |
| (추봉) 간친왕 | 혜헌(惠獻) | 부라탑 | 비양무의 4남 | (추봉) 1748년 | |
| (추봉) 간친왕 | 복존 | 부라탑의 아들 | (추봉) 1748년 | ||
| 간친왕 | 의(儀) | 덕패 | 복존의 아들 | 1748년 ~ 1752년 | |
| (추봉) 간친왕 | 무(武) | 파이감 | 제이합랑의 4남 | (추봉) 1752년 | |
| (추봉) 간친왕 | 양민(襄愍) | 파새 | 파이감의 장남 | (추봉) 1752년 | |
| 간친왕 | 근(勤) | 기통아 | 파새의 10남 | 1752년 ~ 1763년 | |
| 간친왕 | 각(恪) | 풍눌형 | 기통아의 아들 | 1763년 ~ 1775년 | |
| 정친왕 | 공(恭) | 적합납 | 풍눌형의 아들 | 1776년 ~ 1794년 | |
| 정친왕 | 신(愼) | 오이공아 | 적합납의 아들 | 1794년 ~ 1846년 | |
| 정친왕 | 단화 | 오이공아의 3남 | 1846년 ~ 1861년 | 작위 추탈 | |
|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 | 악영 | 1862년 ~ 1864년 | |||
| 정친왕 | 승지 | 1864년 ~ 1871년 | 1871년 작위 박탈 | ||
| 정친왕 | 순(順) | 경지 | 적합납의 손자 | 1871년 ~ 1878년 | |
| 정친왕 | 각(恪) | 개태 | 경지의 아들 | 1878년 ~ 1900년 | |
| 정친왕 | 조후 | 개태의 아들 | 1902년 ~ 1945년 |
2. 1. 주요 가주와 사건
| 순서 |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기록 |
|---|---|---|---|---|---|---|
| 1 | 정친왕 | 헌(獻) | 제이합랑 | 슈르하치의 6남 | 1636년 ~ 1655년 | |
| 2 | 간친왕 | 순(純) | 제도 | 제이합랑의 차남 | 1657년 ~ 1660년 | |
| 3 | 간친왕 | 혜(惠) | 덕색 | 제도의 3남 | 1661년 ~ 1670년 | |
| 4 | 간친왕 | 라포 | 제도의 차남 | 1670년 ~ 1681년 | 1682년 작위 추탈 | |
| 5 | 간친왕 | 수(修) | 아포 | 제도의 5남 | 1683년 ~ 1701년 | |
| 6 | 간친왕 | 아이강아 | 아포의 장남 | 1703년 ~ 1726년 | 1726년 작위 박탈 | |
| 7 | 간친왕 | 신보주 | 아포의 14남 | 1726년 ~ 1748년 | 1748년 작위 박탈 | |
| (추봉) | 간친왕 | 정정(靖定) | 비양무 | 슈르하치의 8남 | (추봉) | 1748년 추봉 |
| (추봉) | 간친왕 | 혜헌(惠獻) | 부라탑 | 비양무의 4남 | (추봉) | 1748년 추봉 |
| (추봉) | 간친왕 | 복존 | 부라탑의 아들 | (추봉) | 1748년 추봉 | |
| 8 | 간친왕 | 의(儀) | 덕패 | 복존의 아들 | 1748년 ~ 1752년 | |
| (추봉) | 간친왕 | 무(武) | 파이감 | 제이합랑의 4남 | (추봉) | 1752년 추봉 |
| (추봉) | 간친왕 | 양민(襄愍) | 파새 | 파이감의 장남 | (추봉) | 1752년 추봉 |
| 9 | 간친왕 | 근(勤) | 기통아 | 파새의 10남 | 1752년 ~ 1763년 | |
| 10 | 간친왕 | 각(恪) | 풍눌형 | 기통아의 아들 | 1763년 ~ 1775년 | |
| 11 | 정친왕 | 공(恭) | 적합납 | 풍눌형의 아들 | 1776년 ~ 1794년 | |
| 12 | 정친왕 | 신(愼) | 오이공아 | 적합납의 아들 | 1794년 ~ 1846년 | |
| 13 | 정친왕 | 단화 | 오이공아의 3남 | 1846년 ~ 1861년 | 작위 추탈 | |
| 14 |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 | 악영 | 1862년 ~ 1864년 | |||
| 15 | 정친왕 | 승지 | 1864년 ~ 1871년 | 1871년 작위 박탈 | ||
| 16 | 정친왕 | 순(順) | 경지 | 적합납의 손자 | 1871년 ~ 1878년 | |
| 17 | 정친왕 | 각(恪) | 개태 | 경지의 아들 | 1878년 ~ 1900년 | |
| 18 | 정친왕 | 조후 | 개태의 아들 | 1902년 ~ 1945년 |
2. 2. 작위 박탈과 회복
요약이 비어있고, 참조할 원문 소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현재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3. 역대 정친왕 가주 목록
| 대수 |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비고 |
|---|---|---|---|---|---|---|
| 1 | 정친왕(鄭親王) | 헌(獻) | 제이합랑(濟爾哈朗) | 슈르하치의 6남 | 1636년 ~ 1655년 | |
| 2 | 간친왕(簡親王) | 순(純) | 제도(濟度) | 제이합랑의 차남 | 1657년 ~ 1660년 | |
| 3 | 간친왕(簡親王) | 혜(惠) | 덕색(德塞) | 제도의 3남 | 1661년 ~ 1670년 | |
| 4 | 간친왕(簡親王) | 라포(喇布) | 제도의 차남 | 1670년 ~ 1681년 | 1682년 작위 추탈 | |
| 5 | 간친왕(簡親王) | 수(修) | 아포(雅布) | 제도의 5남 | 1683년 ~ 1701년 | |
| 6 | 간친왕(簡親王) | 아이강아(雅爾江阿) | 아포의 장남 | 1703년 ~ 1726년 | 1726년 작위 박탈 | |
| 7 | 간친왕(簡親王) | 신보주(神保住) | 아포의 14남 | 1726년 ~ 1748년 | 1748년 작위 박탈 | |
| (추봉) | 간친왕(簡親王) | 정정(靖定) | 비양무(費揚武) | 슈르하치의 8남 | (추봉) | 1748년 추봉 |
| (추봉) | 간친왕(簡親王) | 혜헌(惠獻) | 부라탑(傅喇塔) | 비양무의 4남 | (추봉) | 1748년 추봉 |
| (추봉) | 간친왕(簡親王) | 복존(福存) | 부라탑의 아들 | (추봉) | 1748년 추봉 | |
| 8 | 간친왕(簡親王) | 의(儀) | 덕패(德沛) | 복존의 아들 | 1748년 ~ 1752년 | |
| (추봉) | 간친왕(簡親王) | 무(武) | 파이감(巴爾堪) | 제이합랑의 4남 | (추봉) | 1752년 추봉 |
| (추봉) | 간친왕(簡親王) | 양민(襄愍) | 파새(巴賽) | 파이감의 장남 | (추봉) | 1752년 추봉 |
| 9 | 간친왕(簡親王) | 근(勤) | 기통아(奇通阿) | 파새의 10남 | 1752년 ~ 1763년 | |
| 10 | 간친왕(簡親王) | 각(恪) | 풍눌형(豊訥亨) | 기통아의 아들 | 1763년 ~ 1775년 | |
| 11 | 정친왕(鄭親王) | 공(恭) | 적합납(積哈納) | 풍눌형의 아들 | 1776년 ~ 1794년 | |
| 12 | 정친왕(鄭親王) | 신(愼) | 오이공아(烏爾恭阿) | 적합납의 아들 | 1794년 ~ 1846년 | |
| 13 | 정친왕(鄭親王) | 단화(端華) | 오이공아의 3남 | 1846년 ~ 1861년 | 작위 추탈 | |
| 14 | 불입팔분보국공(不入八分輔國公) | 악영(岳齡) | 1862년 ~ 1864년 | |||
| 15 | 정친왕(鄭親王) | 승지(承志) | 1864년 ~ 1871년 | 1871년 작위 박탈 | ||
| 16 | 정친왕(鄭親王) | 순(順) | 경지(慶至) | 적합납의 손자 | 1871년 ~ 1878년 | |
| 17 | 정친왕(鄭親王) | 각(恪) | 개태(凱泰) | 경지의 아들 | 1878년 ~ 1900년 | |
| 18 | 정친왕(鄭親王) | 조후(照煦) | 개태의 아들 | 1902년 ~ 1945년 |
4. 정친왕 가계도
| 이름 | 작위 | 재위 기간 | 비고 |
|---|---|---|---|
| 제르갈랑 | 정헌친왕 | 1636년 ~ 1655년 | 수르하치의 여섯째 아들 |
| 지도 | 간순친왕 | 1657년 ~ 1660년 | 제르갈랑의 둘째 아들 |
| 더사이 | 간혜친왕 | 1661년 ~ 1670년 | 지도의 셋째 아들 |
| 라부 | 간친왕 | 1670년 ~ 1681년 | 지도의 둘째 아들, 작위 박탈 |
| 야부 | 간수친왕 | 1683년 ~ 1701년 | 지도의 다섯째 아들 |
| 야얼장아 | 간친왕 | 1703년 ~ 1726년 | 야부의 장남, 작위 박탈 |
| 선바오주 | 간친왕 | 1726년 ~ 1748년 | 야부의 14남, 작위 박탈 |
| 더페이 | 간의친왕 | 1748년 ~ 1752년 | 푸춘의 아들 |
| 치퉁아 | 간근친왕 | 1752년 ~ 1763년 | 바사이의 아들 |
| 펑너헝 | 간각친왕 | 1763년 ~ 1775년 | 치퉁아의 아들 |
| 지하나 | 정공친왕 | 1776년 ~ 1794년 | 펑너헝의 아들 |
| 울궁가 | 정신친왕 | 1794년 ~ 1846년 | 지하나의 아들 |
| 단화 | 정친왕 | 1846년 ~ 1861년 | 울궁가의 셋째 아들, 작위 박탈 |
| 유링 | 부루 바펜 푸구 공 | 1862년 ~ 1864년 | 유양의 아들이자 바오이의 양자 |
| 청즈 | 정친왕 | 1864년 ~ 1871년 | 시랑아의 아들, 작위 박탈 |
| 칭즈 | 정순친왕 | 1871년 ~ 1878년 | 아이런의 아들이자 송더의 양자 |
| 카이타이 | 정각친왕 | 1878년 ~ 1900년 | 칭즈의 아들 |
| 자오쉬 | 정친왕 | 1902년 ~ 1912년 | 카이타이의 아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