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0군단지휘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0군단지휘부는 중화민국 육군 부대로, 1942년 신편 제38사단을 기반으로 창설된 신1군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제80군, 대만 남부방수구사령부, 제2야전군단사령부, 제5군단사령부를 거쳐 1976년 8월 16일 육군총사령부 산하 제10군단사령부로 개편되었으며, 2006년 3월 1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지휘부는 지휘관, 부지휘관, 참모장 등으로 구성되며, 본부중대, 헌병중대, 보병대대, 화학병, 공병, 포병 부대 등을 직할 부대로 두고 있다. 예하 부대로는 보병, 기계화보병, 장갑 여단과 예비군 부대가 있으며, 배치 부대로는 제5지구지원지휘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서구 - 921 대지진
    1999년 9월 21일 대만에서 발생한 921 대지진은 모멘트 규모 7.7, 리히터 규모 7.3의 강진으로 난터우현 지지 근처를 진앙으로 하여 대만 전역에 심각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으며 처룽푸 단층의 지표 파열로 지형 변화를 초래하여 국제적인 지원을 받았다.
  • 중화민국의 군단 - 제8군단지휘부
    제8군단지휘부는 중화민국 육군의 군단급 부대로, 1979년 육군 제8군단사령부로 개편되어 가오슝시, 타이난시, 핑둥현 일대의 방어를 담당한다.
  • 중화민국의 군단 - 제6군단지휘부
    제6군단지휘부는 중화민국 육군 군단급 부대로, 타이완 북부방수구사령부로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1976년 육군 제6군단사령부로, 200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중화민국 육군 - 마쭈 방위지휘부
    마쭈 방위지휘부는 위키백과 등재 기준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상세 내용 작성이 현재 불가능합니다.
  • 중화민국 육군 - 둥인 지구지휘부
    둥인 지구지휘부는 위키백과 페이지 제목이나 현재 내용이 없어 해당 지휘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페이지 작성을 위해서는 각 섹션별 요약 및 원본 소스가 필요합니다.
제10군단지휘부
개요
이름육군 제10군단지휘부
원어 이름陸軍第十軍團指揮部
로마자 표기Lùjūn Dì Shí Jūntuán Zhǐhuībù
약칭제10군단
별칭곤륜부대 (崑崙部隊, Kūnlún bùduì)
활동 기간1954년 ~ 현재
종류지휘부대
규모군단
명령 체계국방부 육군사령부
본부타이중시 신서구 화풍가 137-1호 싱중 영구(興中營區)
기념일1954년 6월 1일
부대표장(隊徽)
부대표장

2. 역사

제10군단의 책임지역


제10군단의 역사는 중일전쟁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42년 신편 제38사단을 국민혁명군 신편 제1군(이후 제80군)으로 개편하면서 시작되었다. 1950년 육군 제80군은 대만 남부방수구사령부로, 1954년 5월 대만 중부방수구사령부가 가오슝시 펑산에서 제2야전군단사령부로 개편되었다. 1972년 타이중시 신서로 이전하였으며, 1976년 1월 제5군단사령부, 1976년 8월 16일 육군총사령부 산하 제10군단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006년 3월 1일 국방부 조직법 정진안에 따라 육군 제10군단 지휘부로 지위가 변경되었다.

2. 1. 창설 및 초기 역사 (1942년 ~ 1950년)

1942년, 신편 제38사단을 기반으로 국민혁명군 신편 제1군(이후 제80군으로 개편)이 창설되었다.

1950년, 육군 제80군은 대만 남부방수구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 2. 대만 주둔 및 개편 (1954년 ~ 현재)

1954년 5월, 대만 중부방수구사령부가 가오슝시 펑산에서 제2야전군단사령부로 개편되었다.[1] 1972년, 타이중시 신서로 이전하였다.[1] 1976년 1월, 제5군단사령부로 개편되었고,[1] 같은 해 8월 16일, 육군총사령부 산하 제10군단사령부로 개편되었다.[1] 2006년 3월 1일, 국방부 조직법 정진안에 따라 육군 제10군단 지휘부로 지위가 변경되었다.[1]

3. 구조

제10군단은 지휘부, 직할부대, 그리고 예하부대로 구성된다. 지휘부는 중장을 지휘관으로 하여 소장급 부지휘관 및 참모장, 상교급 부참모장 2명 등으로 구성된다. 직할부대로는 본부중대, 헌병중대, 보병대대, 화학병 제36군, 공병 제52군, 포병 제58지휘부 등이 있다.[1]

예하 부대는 정규군과 예비군으로 나뉜다. 정규군에는 제101보병여단, 제104보병여단, 제234기계화보병여단, 제257보병여단, 제302보병여단, 제586장갑여단이 있다.[2] 예비군에는 타이중시, 장화현, 난터우현, 윈린현, 자이현 후비여단이 있다.

3. 1. 지휘부

직책계급비고
지휘관중장
부지휘관소장
참모장소장
부참모장상교2명
정치작전주임소장
부정치작전주임상교
군단 사관독도장1등사관장


3. 2. 직할부대


  • 본부중대
  • 헌병중대
  • 보병대대 - 타이중시 우르구 청궁링 영구: 2021년 1월 간부훈련반(幹訓班)을 개편[1]
  • 화학병 제36군 - 타이중시 다야구
  • 공병 제52군 "光隆部隊" - 타이중시 타이핑구
  • 포병 제58지휘부 "虎鋒部隊" - 타이중시 선강구

3. 3. 예하부대

제10군단지휘부의 예하 부대는 정규군과 예비군으로 나뉜다.

정규군



예비군


3. 3. 1. 정규군


  • 보병 제101여단 "堅實部隊" - 자이현 우르구
  • 보병 제104여단 "常山部隊" - 타이중시 다리구
  • 기계화보병 제234여단 "長城部隊" - 타이중시 다리구[2]
  • 보병 제257여단 "軍魂部隊" - 자이현 다린구
  • 보병 제302여단 "虎威部隊" - 타이중시 우르구
  • 장갑 제586여단 "鍾山部隊" - 타이중시 허우리구

3. 3. 2. 예비군

3. 4. 배치부대


  • 타이중 신서구 제5지구지원지휘부 "견의부대"
  • 중부지구후비지휘부

참조

[1] 보도자료 強化防衛實力 國軍新編步兵營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1-03-21
[2] 웹사이트 陸軍二〇〇旅今更 銜番號 官兵歡慶成軍八十四週年 http://mna.gpwb.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