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항공여단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항공여단은 베트남 전쟁 중인 1965년 임시 항공여단으로 창설되었다. 이후 제1항공여단은 각 미국 여단 및 한국 여단에 공격 헬기 중대 1개씩을 배치하여 운용되었으며, 1970년 6월에는 4개의 전투 항공단, 16개의 전투 항공대대, 83개의 중대로 구성되어 최대 규모에 달했다. 1973년 앨라배마주 포트 러커로 복귀하여 해체되었다가, 1977년 훈련 부대로 재편성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현재는 미래 항공 전투 지휘자를 훈련하고 양성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2011년 훈련교리사령부로 전속되어 군용 헬리콥터 및 무인 항공기에 관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199보병여단
    제199보병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육군의 보병 여단으로, 기병 부대로도 활동했으며, 현재는 조지아주 포트 무어에서 훈련 부대로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미래의 군 지휘관과 전투원을 양성하고 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1통신여단 (미국)
    제1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 여단으로,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 전역의 통신망 운영을 담당했고, 이후 대한민국에 배치되어 주한미군의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부대를 운영하고 있다.
  • 미국 육군의 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제2전투항공여단은 1957년 창설되어 2005년 통합 재편된 미 육군 제2보병사단 예하 전투항공여단으로, UH-60 블랙호크와 AH-64 아파치 헬기를 운용하며 다양한 작전 임무를 수행해왔고, 2013년 육군 우수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 미국 육군의 항공여단 - 제17항공여단 (미국)
    제17항공여단은 1965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고, 1975년 대한민국에서 재소집되어 주한 미군 등을 지원하다가 2005년 해산된 미국 육군의 항공 부대이다.
  • 앨라배마주의 부대 - 육군계약사령부
    육군계약사령부(MICC)는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 본부를 두고 육군 전체에 계약 지원을 제공하는 미국 육군의 준장급 사령부로서, 3개의 계약 지원 여단과 1개의 야전 국, 그리고 미국 본토와 푸에르토리코에 걸쳐 33개의 야전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 앨라배마주의 부대 - 육군물자사령부 (미국)
    육군물자사령부(미국)는 1962년 창설된 미국 육군의 주요 야전 사령부로, 전 세계 육군 부대에 대한 군수 지원, 장비 유지 보수, 기술 지원, 계약 관리 등을 수행하며 본부는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조병창에 있다.
제1항공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1항공여단 휘장
국가미국
종류항공여단
소속미국 육군 항공 센터
규모여단
주둔지앨라배마주 포트 노보셀
별명황금 매 (Golden Hawks)
활동 기간1966년-1973년, 1977년-현재
지휘관
현재 지휘관리처드 P. 터커 대령 (Richard P. Tucker)
역사
참전베트남 전쟁

2. 역사

베트남 전쟁 중인 1965년에 임시 항공여단(Aviation Brigade (Provisional)영어)으로 창설되었다. 당시 제13항공대대, 제14항공대대, 제52항공대대, 제145항공대대가 편성되었는데, 이 대대들은 그해 8월에 창설된 제12항공단에 예속되었고, 1966년 3월에 "제1항공여단"으로 개편되었다.

베트남 공화국에 전개하여 전쟁 전력으로 활약한 제1항공여단은 1970년 6월에 고정익회전익기 1,900대와 23,000명의 병력을 보유하며 최대 규모가 되었다.

1973년 3월 24일, 인원 500명과 장비 420대로 감축되었고, 전쟁에서 철수한 뒤 앨라배마주 포트 러커에 배치되었다가 다음 달 4월 6일에 해산하였다. 예속 부대인 제11, 12항공단은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로, 제17, 164항공단은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육군 터미널로 건너가 해산하였다.

1977년 1월 18일, 포트 러커에서 훈련부대로 재편성되어 다시 활동을 시작하였고, 2011년 2월 2일에 훈련교리사령부로 전속하여 미국 육군 항공 Coe에서 군용 헬리콥터와 무인 항공기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2. 1. 창설과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 중인 1965년에 임시 항공여단(Aviation Brigade (Provisional)영어)으로 창설되었다. 당시 제13항공대대, 제14항공대대, 제52항공대대, 제145항공대대가 편성되었는데, 이 대대들은 그 해 8월에 창설된 제12항공단에 예속되었다. 임시 항공여단은 이듬해 1966년 3월에 "제1항공여단"으로 정식 개편되었다.[2]

조지 P. 세네프 주니어 준장이 베트남 군사지원사령부의 참모 항공 장교로서 여단장이 되었다. 남베트남 각 지역의 다양한 요구 사항 때문에, 여단은 각 미국 여단 및 한국 여단에 공격 헬기 중대 1개씩을 배치하고자 했다.[2] 베트남 공화국군 부대를 지원하는 중대는 최상의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중앙 집중식으로 배치되었다. 여단은 각 보병 사단을 직접 지원하기 위해 전투 항공대대 본부 1개를 배정했으며, 이 대대 본부는 특정 임무에 배정되는 중대 수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해당 사단과 함께 작전했다.

여단 본부는 1966년 5월부터 1967년 8월까지 사이공에 주둔했다. 이후 롱빈 우체국으로 이동하여 1972년 초 가을 롱빈이 폐쇄될 때까지 주둔했다. 그 후 떤선녓의 MACV 구역으로 이동하여 철수할 때까지 주둔했다.

당시 제52항공대대는 제4보병사단을 중부 고원에서 지원했고, 제10항공대대는 제101공수사단과 대한민국 사단을 지원했으며, 제11전투항공대대는 제1보병사단을, 제214대대는 제9보병사단을, 제269항공대대는 제25보병사단을 지원했다. 이후 정규 여단으로 발전할 제13대대는 메콩 삼각주에 주둔했다. 제17여단과 제12여단은 각각 제2군단과 제3군단 작전 구역의 항공 자산을 감독했다. 항공단장은 미 육군 야전군 사령관의 항공 장교를 겸임했다.

제1항공여단은 베트남 공화국에 전개하여 전쟁 전력으로 활약하였으며, 1970년 6월에는 고정익회전익기 1,900대와 23,000명의 병력을 보유하며 최대 규모에 도달했다.

1973년 3월 24일, 여단은 인원 500명과 장비 420대로 감축되었고, 전쟁에서 철수한 뒤에는 앨라배마주 포트 러커에 배치되었다. 이후 1973년 4월 6일에 해산하였다. 예속 부대였던 제11, 12항공단은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포트 브래그로, 제17, 164항공단은 캘리포니아주의 오클랜드 육군 터미널로 이동하여 해산하였다.

2. 2. 훈련 부대로 재편

1977년 1월 18일 포트 러커에서 훈련부대로 재편성되어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6] 2011년 2월 2일 훈련교리사령부로 전속되어 미국 육군 항공 Coe에서 군용 헬리콥터와 무인 항공기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존 바흐센은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에 제1항공여단을 지휘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였다.[7]

제1항공여단의 주요 임무는 미래 항공 전투 지휘자를 훈련하고 양성하는 것이다. 배치된 부대에서 얻은 교훈을 포함하여 강사와 학생들은 여단 이하 항공 부대를 위한 육군 항공 합동 전술 교리를 작성, 검토 및 조정한다.

강의 과정은 다양한 전문 군사 교육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합동 전술 훈련 통합을 강조한다. 전술 훈련은 최첨단 시뮬레이션을 통해 더욱 강화되어, 학생들이 광범위한 전술 시나리오에서 시뮬레이션된 전투를 벌이는 동안 모든 지휘 계통에서 다양한 지휘 및 참모 직책을 맡을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항공 병과 신병에게 가르치는 기초 훈련(IET)이다. IET는 미 육군 요원이 항공 부대에서 직업 전문성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술을 가르친다.[8]

3. 편성

베트남 전쟁 당시 제1항공여단은 다양한 부대로 구성되어 광범위한 작전을 수행했다. 1965년 4월, 남베트남에 주둔하던 13항공대대(13th), 14항공대대(14th), 제52항공연대(52nd), 제145항공대대(145th)를 예하 부대로 미국 육군 항공여단(임시)이 창설되었다. 1965년 8월 제12전투항공여단(12th Aviation Group)으로 개편되었으며, 1966년 3월에는 규모가 두 배로 확장되어 제1항공여단으로 창설되었다.[2]

조지 P. 세네프 주니어(George P. Seneff Jr.) 준장이 베트남 군사지원사령부(MACV) 참모 항공 장교로서 여단장이 되었다. 여단은 각 미국 여단 및 한국 여단에 공격 헬기 중대 1개씩을 배치하고, 베트남 공화국군 부대를 지원하는 중대는 중앙 집중식으로 배치하여 최상의 지원을 제공하고자 했다. 또한, 각 보병 사단을 직접 지원하기 위해 전투 항공대대 본부 1개를 배정했다.[2] 여단 본부 및 본부 중대는 1966년 5월부터 1967년 8월까지 사이공에 주둔했으며, 이후 롱빈 우체국(Long Binh)을 거쳐 떤선녓의 MACV 구역으로 이동하여 철수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당시 제52항공대대는 제4보병사단을, 제10항공대대는 제101공수사단(101st Airborne Division)과 대한민국 사단을, 제11전투항공대대는 제1보병사단을, 제214대대는 제9보병사단을, 제269항공대대(269th Aviation Battalion)는 제25보병사단을 지원했다. 메콩 삼각주에는 제13대대가 주둔했다. 제17여단과 제12여단은 각각 제2군단과 제3군단 작전 구역의 항공 자산을 감독했다.

1970년 6월, 제1항공여단은 4개 전투 항공단, 16개 전투 항공대대, 83개 중대로 구성되어 4,000대 이상의 항공기와 27,000명의 병력을 보유하며 최대 규모에 달했다.[3] 1971년 11월에는 제34일반지원단(항공 정비 및 보급)이 여단의 통제를 받았다. 파리 평화 협정 체결 당시 여단은 4개 전투 항공단으로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5,000명의 병력과 420대의 항공기를 보유했다.[4] 여단은 1973년 3월 24일 앨라배마주 포트 러커로 복귀하여 1973년 4월 6일 해체되었다.

셸비 스탠턴의 《베트남 작전 명령》에 따르면, 제1항공여단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11여단, 제12여단, 제16여단, 제17여단, 제160여단, 제165항공단
  • 제164항공단 (1968년 제4군단 작전 구역의 임시 항공단 자산으로 창설, 껀터에 위치)
  • 제10연대, 제11대대, 제13대대, 제14대대, 제52연대, 제58대대, 제145대대, 제210연대, 제212대대, 제214연대, 제222연대, 제223대대, 제268대대, 제269대대,[5] 제307대대, 제308항공대대
  • PHANTOM, DELTA, CAPITAL, I Corps, BUFFALO 항공대대(임시)
  • 제1기병연대 제7기병대대 (제12, 제164항공단); 제9기병연대 제1기병대대 (1973년 4월 10일 이후, 제1기병사단이 베트남에서 철수한 이후); 제17기병연대 제3기병대대 (제12항공단 소속); 제17기병연대 제7기병대대 (제17항공단 배속)

3. 1. 현재


  • 제13항공연대 1대대
  • 제13항공연대 2대대
  • 제145항공연대 1대대
  • 제98군악대 "실버 윙스(Silver Wings영어)"

무인항공기 체계훈련대대

3. 2. 베트남 전쟁

1968년 8월 1일 전투서열


1968년 8월 1일, 제1항공여단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2]

부대예하 부대
제11항공단
제16항공단
제17항공단
제12항공단
제164항공단
제165항공단
기타


4. 기록

제1항공여단은 1965년에 주월 미국 육군에 소속되었다가, 2011년 2월 2일부터 현재까지 훈련교리사령부에 소속되어 있다.[1] 1966년 4월 25일, 제1항공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가 정규군에 배정되었다.[1]

베트남 전쟁


제1항공여단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다음과 같은 전역에서 활약했다.

참전 내역



제1항공여단은 다음과 같은 스트리머를 수여받았다.

공로부대표창
육군 공로부대표창
용맹십자장과 종려잎
용맹십자장과 종려잎
민간 행동 명예 훈장 1급
민간 행동 명예 훈장 1급
베트남, 1971년 2월 1일 ~ 1972년 12월 31일 (육군부 1974년 일반명령 제6호)


4. 1. 소속

4. 2. 계보

4. 3. 전역



참전 내역


4. 4. 스트리머

공로부대표창
용맹십자장과 종려잎
민간 행동 명예 훈장 1급
베트남, 1971년 2월 1일 ~ 1972년 12월 31일 (육군부 1974년 일반명령 제6호)


5. 대중 문화


  • 1983년부터 1987년까지 방영된 TV 시리즈 A 특공대에서, 가상의 인물인 육군 대위 하울링 매드 머독은 "A Nice Place to Visit" 에피소드에서 제1항공여단 부대 마크를 착용한다.
  • 2017년 영화 콩: 스컬 아일랜드에서, 과학 연구팀을 지원하기 위해 배정된 미 육군 항공 부대는 정글 복장과 비행복에 제1항공여단 패치를 착용한다.

참조

[1] 문서 September 24th, 1963 brought to a close the 45th Transportation Battalion and gave birth to the 145th Combat Aviation Battalion.
[2] 웹사이트 Portal - 1st Aviation Brigade - U.S. Army, Vietnam http://www.1stavnbde[...] 2019-05-12
[3] 문서 Constituted 25 April 1966 in the Regular Army as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222d Aviation Battalion. Activated 25 May 1966 in Vietnam.
[4] 웹사이트 Memorial, Jack V. Mackmull USMA Class of 1950 2011
[5] 문서 Note the 187 Aslt Hel Co served with this battalion March 1967-Apr 1971,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11th Avn Bn., with which it served Apr 1971-14 Feb 72, inactivated that day. Stanton, Vietnam Order of Battalion, 113, 119.
[6] 서적 A History of Army Aviation iUniverse 2005-09
[7] 간행물 United States Army Aviation Digest https://books.google[...] U.S. Army Aviation Center 1980
[8] 웹사이트 U.S. Army Aviation Center of Excellence and Fort Rucker: The Home of Army Aviation http://www.rucker.ar[...] 2010-03-12
[9] 웹인용 General Orders No. 32 https://armypubs.arm[...] Departmet of The Army 2019-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