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6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6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는 고교 야구 대회로, 대구고등학교가 북일고등학교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는 1회전, 2회전, 3회전을 거쳐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으며, 대구고등학교의 서상호가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제41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1996년에 열린 제41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는 군산상업고등학교가 마산고등학교를 꺾고 우승했으며, 조현명이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하고 박재석, 김기운, 김재호, 한지수, 이도윤 등이 개인 기록상을 받았다.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제49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2023년 제49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는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주최로 덕수고등학교가 유신고등학교를 꺾고 우승했으며, 주정환(최우수선수), 임정훈, 이종호(이상 우수투수), 정윤진, 이성열(이상 감독상) 등 다양한 개인 시상이 있었다. - 2018년 야구 - 201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201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은 3월 29일에 시작하여 보스턴 레드삭스가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경기 시간 단축을 위한 규정 도입과 다양한 유니폼 및 기념 행사가 진행되었다. - 2018년 야구 - 2018년 KBO 리그
2018년 KBO 리그는 3월부터 9월까지 정규 리그가 진행되었고 아시안 게임으로 리그가 중단되기도 했으며, 여러 운영 변화 속에 SK 와이번스가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고, 여러 선수들이 개인 기록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 대한민국의 야구에 관한 - 청주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는 1924년 청주고등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명 변경과 이전을 거쳐 1950년 청주고등학교가 되었으며, 과학중점학교 및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96회 졸업식을 통해 34,860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청주시의 공립 고등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야구에 관한 - 용인 빠따형야구단
용인 빠따형야구단은 2020년 창단되어 2022년 해체된 대한민국의 독립 야구단으로, 한국의 여러 독립 야구단과 같이 프로 진출을 희망하는 선수들에게 기회를 제공했다.
| 제46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
| 대회 개요 | |
| 명칭 | 제46회 봉황대기 전국 고교 야구 대회 |
![]() | |
| 대회 기간 | 2018년 8월 15일 - 9월 4일 |
| 개최지 | 서울특별시 |
| 경기장 | 목동 야구장, 신월야구장 |
| 주관 | 대한 야구 협회 |
| 대회 성적 | |
| 최다 우승팀 | 북일고등학교 5회 |
| 최근 대회 우승팀 | 야탑고등학교 |
2. 대회 개요
wikitable3. 참가 학교
4. 경기 방식
5. 경기 결과
1회전 (76강) 부전승 승리 패배 물금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장충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광명공업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 김해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 원주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 유신고등학교, 율곡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순천효천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성지고등학교, 포항제철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부경고등학교, 전주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 광천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동산고등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 경주고등학교, 강원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진흥고등학교, 신흥고등학교, 영선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화순고등학교, 장안고등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 군산상업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도개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 경동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강릉고등학교, 백송고등학교, 개성고등학교, 대구상원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 부천고등학교, 충훈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라온고등학교 글로벌선진학교, 청담고등학교, 진영고등학교, 인상고등학교, 상우고등학교, 대전제일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 배명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소래고등학교, 신일고등학교, 영문고등학교
2회전에서는 총 64개 학교가 경기를 치렀다.승리 패배 경남고등학교, 김해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동산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경주고등학교, 율곡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전주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신흥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 개성고등학교, 강릉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 충훈고등학교, 부천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 대구상원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 화순고등학교, 장안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효천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장충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원주고등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성지고등학교, 부경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 강원고등학교, 영선고등학교, 도개고등학교, 경동고등학교, 광명공업고등학교, 물금고등학교, 백송고등학교, 광천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유신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 라온고등학교, 진흥고등학교, 군산상업고등학교 승리 패배 동산고등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개성고등학교, 대구상원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충훈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경주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김해고등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율곡고등학교, 강릉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 전주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 신흥고등학교, 부천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제46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16강전은 8월 28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대구고등학교가 개성고등학교를 7회 콜드게임으로 11:4로 이겼고, 경남고등학교는 중앙고등학교와의 10회 승부치기 끝에 9:8로 승리했다. 대구상원고등학교는 공주고등학교에 3:1로 이겼으며, 제물포고등학교는 마산고등학교를 11회 승부치기에서 6:5로 꺾었다. 충훈고등학교는 청원고등학교를 7:5로 이겼고, 북일고등학교는 동산고등학교를 5:2로, 인천고등학교는 광주동성고등학교를 8:4로, 덕수고등학교는 야탑고등학교를 6:5로 각각 물리치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대구고등학교가 경남고등학교를 7:3으로, 대구상원고등학교가 제물포고등학교를 8회 콜드게임으로 8:0으로, 북일고등학교가 충훈고등학교를 7회 콜드게임으로 10:3으로, 덕수고등학교가 인천고등학교를 5:3으로 이기면서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대구고등학교가 대구상원고등학교를 7:3으로, 북일고등학교가 덕수고등학교를 12:1로 이기면서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대구고등학교가 북일고등학교를 9: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상세한 라인 스코어는 다음과 같다.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득점 |안타 |에러 대구고등학교 |0 |0 |4 |0 |0 |3 |1 |0 |1 |9 |12 |0 북일고등학교 |0 |0 |0 |0 |0 |2 |0 |0 |0 |2 |4 |0 패전투수 = 신지후
5. 1. 1회전 (76강)
| 부전승 | 승리 | 패배 |
|---|---|---|
| 물금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장충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광명공업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 김해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 원주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 유신고등학교, 율곡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순천효천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성지고등학교, 포항제철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부경고등학교, 전주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 광천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동산고등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 경주고등학교, 강원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진흥고등학교, 신흥고등학교, 영선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화순고등학교, 장안고등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 군산상업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도개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 경동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 강릉고등학교, 백송고등학교, 개성고등학교, 대구상원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 부천고등학교, 충훈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라온고등학교 | 글로벌선진학교, 청담고등학교, 진영고등학교, 인상고등학교, 상우고등학교, 대전제일고등학교, 인창고등학교, 배명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소래고등학교, 신일고등학교, 영문고등학교 |
5. 2. 2회전 (64강)
2회전에서는 총 64개 학교가 경기를 치렀다.| 승리 | 패배 |
|---|---|
| 경남고등학교 · 김해고등학교 · 광주제일고등학교 · 광주동성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 마산용마고등학교 · 동산고등학교 · 대구고등학교 · 안산공업고등학교 · 중앙고등학교 · 경주고등학교 · 율곡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전주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마산고등학교 · 신흥고등학교 · 비봉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 개성고등학교 · 강릉고등학교 · 경북고등학교 · 충훈고등학교 · 부천고등학교 · 세광고등학교 · 제물포고등학교 · 대구상원고등학교 · 성남고등학교 · 야탑고등학교 · 인천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충암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 화순고등학교 · 장안고등학교 · 경기고등학교 · 효천고등학교 · 부산공업고등학교 · 장충고등학교 · 서울디자인고등학교 · 원주고등학교 · 울산공업고등학교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성지고등학교 · 부경고등학교 · 청주고등학교 · 강원고등학교 · 영선고등학교 · 도개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 광명공업고등학교 · 물금고등학교 · 백송고등학교 · 광천고등학교 · 부산정보고등학교 · 설악고등학교 · 대전고등학교 · 유신고등학교 · 부산고등학교 · 라온고등학교 · 진흥고등학교 · 군산상업고등학교 |
5. 3. 3회전 (32강)
wikitable| 3회전 (32강) | ||
|---|---|---|
| 승리 | 패배 | |
| 동산고등학교 · 광주동성고등학교 · 경남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 중앙고등학교 · 개성고등학교 · 대구상원고등학교 · 대구고등학교 · 제물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마산고등학교 · 충훈고등학교 · 야탑고등학교 · 인천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경주고등학교 · 광주제일고등학교 · 김해고등학교 · 마산용마고등학교 · 경북고등학교 · 안산공업고등학교 · 율곡고등학교 · 강릉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세광고등학교 · 성남고등학교 · 전주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 신흥고등학교 · 부천고등학교 · 비봉고등학교 | |
5. 4. 16강전 ~ 결승전
제46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16강전은 8월 28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대구고등학교가 개성고등학교를 7회 콜드게임으로 11:4로 이겼고, 경남고등학교는 중앙고등학교와의 10회 승부치기 끝에 9:8로 승리했다. 대구상원고등학교는 공주고등학교에 3:1로 이겼으며, 제물포고등학교는 마산고등학교를 11회 승부치기에서 6:5로 꺾었다. 충훈고등학교는 청원고등학교를 7:5로 이겼고, 북일고등학교는 동산고등학교를 5:2로, 인천고등학교는 광주동성고등학교를 8:4로, 덕수고등학교는 야탑고등학교를 6:5로 각각 물리치고 8강에 진출했다.8강전에서는 대구고등학교가 경남고등학교를 7:3으로, 대구상원고등학교가 제물포고등학교를 8회 콜드게임으로 8:0으로, 북일고등학교가 충훈고등학교를 7회 콜드게임으로 10:3으로, 덕수고등학교가 인천고등학교를 5:3으로 이기면서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대구고등학교가 대구상원고등학교를 7:3으로, 북일고등학교가 덕수고등학교를 12:1로 이기면서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대구고등학교가 북일고등학교를 9: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상세한 라인 스코어는 다음과 같다.
|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득점 |안타 |에러 |
| 대구고등학교 |0 |0 |4 |0 |0 |3 |1 |0 |1 |9 |12 |0 |
| 북일고등학교 |0 |0 |0 |0 |0 |2 |0 |0 |0 |2 |4 |0 |
| 패전투수 = 신지후 |
6. 개인상 수상자 명단
| 부문 | 수상자 | 소속고교 | 포지션 | 비고 |
|---|---|---|---|---|
| 최우수선수상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 |
| 우수투수상 | 백현수 / 이승민 | 대구고등학교 | 투수 | - |
| 감투상 | 김정원 | 북일고등학교 | 투수 | - |
| 수훈상 | 현원회 | 대구고등학교 | 포수 | - |
| 타격상 | 송경호 | 상원고등학교 | 유격수 | 18타수 11안타, 0.611 |
| 최다도루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9개 |
| 최다타점 | 변우혁 | 북일고등학교 | 3루수 | 11타점 |
| 최다홈런 | 변우혁 | 북일고등학교 | 3루수 | 4개 |
| 최다안타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14개 |
| 최다득점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10득점 |
| 감독상 | 송경호 / 이종호 | 대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감독 | - |
| 지도자상 | 배창식 / 모선택 | 대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부장 | - |
| 공로상 | 서재용 / 김선종 | 대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교장 | - |
| 모범심판상 | 김형주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 심판위원 | - |
7. 수상
wikitable
| 부문 | 수상자 | 소속고교 | 포지션 | 비고 |
|---|---|---|---|---|
| 최우수선수상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 |
| 우수투수상 | 백현수 / 이승민 | 대구고등학교 | 투수 | - |
| 감투상 | 김정원 | 북일고등학교 | 투수 | - |
| 수훈상 | 현원회 | 대구고등학교 | 포수 | - |
| 타격상 | 송경호 | 상원고등학교 | 유격수 | 18타수 11안타, 0.611 |
| 최다도루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9개 |
| 최다타점 | 변우혁 | 북일고등학교 | 3루수 | 11타점 |
| 최다홈런 | 변우혁 | 북일고등학교 | 3루수 | 4개 |
| 최다안타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14개 |
| 최다득점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10득점 |
| 감독상 | 송경호 / 이종호 | 대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감독 | - |
| 지도자상 | 배창식 / 모선택 | 대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부장 | - |
| 공로상 | 서재용 / 김선종 | 대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교장 | - |
| 모범심판상 | 김형주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 심판위원 | - |
7. 1. 개인 수상
wikitable| 부문 | 수상자 | 소속고교 | 포지션 | 비고 |
|---|---|---|---|---|
| 최우수선수상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 |
| 우수투수상 | 백현수 / 이승민 | 대구고등학교 | 투수 | - |
| 감투상 | 김정원 | 북일고등학교 | 투수 | - |
| 수훈상 | 현원회 | 대구고등학교 | 포수 | - |
| 타격상 | 송경호 | 상원고등학교 | 유격수 | 18타수 11안타, 0.611 |
| 최다도루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9개 |
| 최다타점 | 변우혁 | 북일고등학교 | 3루수 | 11타점 |
| 최다홈런 | 변우혁 | 북일고등학교 | 3루수 | 4개 |
| 최다안타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14개 |
| 최다득점 | 서상호 | 대구고등학교 | 중견수 | 10득점 |
| 감독상 | 송경호 / 이종호 | 대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감독 | - |
| 지도자상 | 배창식 / 모선택 | 대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부장 | - |
| 공로상 | 서재용 / 김선종 | 대구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교장 | - |
| 모범심판상 | 김형주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 심판위원 | - |
7. 1. 1. 최우수선수상(MVP)
서상호(대구고등학교, 중견수)가 최우수선수상(MVP)을 수상하였다.7. 1. 2. 우수투수상
| 부문 | 수상자 | 소속고교 | 포지션 | 비고 |
|---|---|---|---|---|
| 우수투수상 | 백현수 / 이승민 | 대구고등학교 | 투수 | - |
7. 2. 단체 수상
7. 2. 1. 감독상
감독상은 경북고등학교 야구부의 박태종 감독이 수상하였다.7. 2. 2. 지도자상
자료 없음7. 2. 3. 공로상
8. 기타
8. 1. 모범심판상
9. 논란 및 사건사고
10. 의의 및 영향
11. 미디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