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4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4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는 2010년 3월 12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었다. 결승전에서 광주제일고등학교가 장충고등학교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개인상 수상자로는 최우수선수 유창식, 우수투수 이정호, 감투 윤영삼 등이 있으며, 허일은 타격상, 최다안타, 최다홈런을 수상했다.
2. 경기 결과
2. 1. 1회전
2. 1. 1. 1일째 (3월 12일)
김해고등학교와의 1경기에서 원주고등학교는 김창섭의 호투에 힘입어 6-2로 승리했다. 광주진흥고등학교는 광주동성고등학교와의 경기에서 연장 10회 접전 끝에 양승철의 활약으로 7-5 승리를 거두었다. 야탑고등학교는 부경고등학교를 상대로 신유원의 호투와 타선의 집중력을 앞세워 8-1로 크게 이겼다. 동산고등학교는 청주고등학교와의 경기에서 박병우가 2피안타 3사사구 완봉승을 거두며 1-0으로 승리했다. 특히 박병우의 완봉승은 팀을 승리로 이끈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2. 1. 2. 2일째 (3월 13일)
강릉고등학교가 부천고등학교를 상대로 2-1로 승리하였다. 강릉고의 양동운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부천고의 김하늘은 완투에도 불구하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공주고등학교가 배명고등학교를 상대로 10-3으로 승리하였다. 공주고의 이관규는 완투승을 거두었고, 우상필은 5회에 2점 홈런을 기록하였다. 경기는 8회 콜드 게임으로 종료되었다.
휘문고등학교가 유신고등학교를 상대로 9-2, 7회 콜드 게임 승리를 거두었다. 휘문고의 임찬규가 승리 투수가 되었다.
덕수고등학교가 안산공업고등학교를 상대로 11-1, 6회 콜드 게임 승리를 거두었다. 덕수고의 김진영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서민영은 5회에 2점 홈런을 기록하였다.
2. 1. 3. 3일째 (3월 14일)
{{야구 라인스코어
|날짜= 3월 14일
|팀1= 대구고
|1-1= 0|1-2= 1|1-3= 0|1-4= 0|1-5= 0|1-6= 0|1-7= 0|1-8= 1|1-9= 0|1-R= 2|1-H= 6|1-E= 2
|팀2= '''서울고'''
|2-1= 0|2-2= 3|2-3= 0|2-4= 0|2-5= 0|2-6= 0|2-7= 2|2-8= 0|2-9= X|2-R= 5|2-H= 3|2-E= 1
|승리투수= 문재현|패전투수= 박종윤|세이브투수= |홈런=
}}
{{야구 라인스코어
|날짜= 3월 14일
|팀1= 선린인터넷고
|1-1= 0|1-2= 0|1-3= 0|1-4= 0|1-5= 0|1-6= 0|1-7= 1|1-8= 0|1-9= 0|1-R= 1|1-H= 5|1-E= 0
|팀2= '''신일고'''
|2-1= 1|2-2= 3|2-3= 0|2-4= 1|2-5= 1|2-6= 0|2-7= 0|2-8= 0|2-9= X|2-R= 6|2-H= 9|2-E= 1
|승리투수= 최동현|패전투수= 김대윤|세이브투수= |홈런=
}}
{{야구 라인스코어
|날짜= 3월 14일
|팀1= '''장충고'''
|1-1= 0|1-2= 1|1-3= 0|1-4= 0|1-5= 0|1-6= 0|1-7= 0|1-8= 0|1-9= 0|1-R= 1|1-H= 5|1-E= 2
|팀2= 개성고
|2-1= 0|2-2= 0|2-3= 0|2-4= 0|2-5= 0|2-6= 0|2-7= 0|2-8= 0|2-9= 0|2-R= 0|2-H= 2|2-E= 2
|승리투수= 윤영삼|패전투수= 박세준|세이브투수= |홈런=
}}
{{야구 라인스코어
|날짜= 3월 14일
|팀1= '''세광고'''
|1-1= 0|1-2= 0|1-3= 0|1-4= 0|1-5= 0|1-6= 1|1-7= 0|1-8= 0|1-9= 2|1-R= 3|1-H= 3|1-E= 2
|팀2= 인창고
|2-1= 0|2-2= 0|2-3= 0|2-4= 0|2-5= 0|2-6= 0|2-7= 0|2-8= 0|2-9= 1|2-R= 1|2-H= 2|2-E= 1
|승리투수= 박건우|패전투수= 이정담|세이브투수= |홈런=
}}2. 1. 4. 5일째 (3월 16일)
'''제1경기''' (10:00)
{{라인스코어
|원정팀 = '''광주제일고등학교'''|원정팀약자 = 광주일고
|1회초 = 0|2회초 = 0|3회초 = 5|4회초 = 2|5회초 = 5|6회초 = ·|7회초 = ·|8회초 = ·|9회초 = ·|원정팀득점 = 12|원정팀안타 = 15|원정팀에러 = 0
|홈팀 = 설악고등학교|홈팀약자 = 설악고
|1회말 = 0|2회말 = 0|3회말 = 0|4회말 = 0|5회말 = 2|6회말 = ·|7회말 = ·|8회말 = ·|9회말 = ·|홈팀득점 = 2|홈팀안타 = 2|홈팀에러 = 2
|승리투수 = 이정호|패전투수 = 정대웅|세이브투수 =
|원정팀홈런 = 김요셉(5회 2점)|홈팀홈런 = |홈런없음 =
|}}
:* 5회 콜드 게임
'''제2경기''' (12:30)
{{라인스코어
|원정팀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원정팀약자 = 포철공고
|1회초 = 0|2회초 = 0|3회초 = 2|4회초 = 0|5회초 = 0|6회초 = 0|7회초 = 0|8회초 = 0|9회초 = 0|원정팀득점 = 2|원정팀안타 = 2|원정팀에러 = 1
|홈팀 = '''대전고등학교'''|홈팀약자 = 대전고
|1회말 = 2|2회말 = 0|3회말 = 0|4회말 = 2|5회말 = 0|6회말 = 0|7회말 = 0|8회말 = 0|9회말 = X|홈팀득점 = 4|홈팀안타 = 9|홈팀에러 = 1
|승리투수 = 황인준|패전투수 = 이재도|세이브투수 =
|원정팀홈런 = |홈팀홈런 = |홈런없음 =
|}}
'''제3경기''' (15:30)
{{라인스코어
|원정팀 = 전주고등학교|원정팀약자 = 전주고
|1회초 = 0|2회초 = 0|3회초 = 0|4회초 = 0|5회초 = 0|6회초 = ·|7회초 = ·|8회초 = ·|9회초 = ·|원정팀득점 = 0|원정팀안타 = 1|원정팀에러 = 4
|홈팀 = '''부산고등학교'''|홈팀약자 = 부산고
|1회말 = 2|2회말 = 3|3회말 = 8|4회말 = 1|5회말 = X|6회말 = ·|7회말 = ·|8회말 = ·|9회말 = ·|홈팀득점 = 14|홈팀안타 = 10|홈팀에러 = 1
|승리투수 = 이민호|패전투수 = 강성민|세이브투수 =
|원정팀홈런 = |홈팀홈런 = |홈런없음 =
|}}
:* 부산고 이민호, 5이닝 1피안타 1피사사구 2탈삼진 완봉승
:* 5회 콜드 게임
'''제4경기''' (18:00)
{{라인스코어
|원정팀 = 인천고등학교|원정팀약자 = 인천고
|1회초 = 0|2회초 = 0|3회초 = 0|4회초 = 2|5회초 = 0|6회초 = 0|7회초 = 0|8회초 = 1|9회초 = 0|원정팀득점 = 3|원정팀안타 = 7|원정팀에러 = 4
|홈팀 = '''군산상업고등학교'''|홈팀약자 = 군산상고
|1회말 = 3|2회말 = 0|3회말 = 4|4회말 = 0|5회말 = 0|6회말 = 0|7회말 = 0|8회말 = 0|9회말 = X|홈팀득점 = 7|홈팀안타 = 10|홈팀에러 = 3
|승리투수 = 이준영|패전투수 = 문경찬|세이브투수 =
|원정팀홈런 = |홈팀홈런 = |홈런없음 =
|}}
2. 1. 5. 6일째 (3월 17일)
'''제1경기''' (10:00)
- 7회 콜드 게임
- 승리 투수: 이재우 패전 투수: 김주한
'''제2경기''' (12:30)
- 청원고 김민수, 완투승
- 승리 투수: 김민수 패전 투수: 윤태용
'''제3경기''' (15:30)
- 경북고 임기영, 3피안타 1피사사구 10탈삼진 완봉승
- 승리 투수: 임기영 패전 투수: 선동현
'''제4경기''' (18:00)
| 용마고등학교 | 충암고등학교 | |
|---|---|---|
| 0 | 0-0-0-0-0-0-0-0-0 | 0-0-0-0-0-2-1-1-X |
| 0 | 0 | 6 |
| 2 | 2 | 0 |
- 충암고 최현진, 5피사사구 14탈삼진 노히트 노런 달성
- 폭설로 인해 다음날(18일) 10시 00분에 5회초 1아웃 상황부터 서스펜디드 경기로 속개됨.
- 승리 투수: 최현진 패전 투수: 배준빈
2. 2. 2회전
2. 2. 1. 7일째 (3월 18일)
'''제1경기''' (10:00)
'''제2경기''' (12:30)
- 진흥고 고재황, 5이닝 2피안타 2피사사구 3탈삼진 완봉승
- 5회 콜드 게임
'''제3경기''' (15:30)
'''제4경기''' (18:00)
2. 2. 2. 8일째 (3월 19일)
'''제1경기''' (10:00)상원고가 공주고를 상대로 8-4로 승리하였다. 상원고는 2회초 2점, 4회초 1점, 6회초 5점을 얻어 8점을 획득하였고, 공주고는 1회말에 4점을 얻었으나 이후 추가 득점에 실패하였다. 상원고의 조무근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공주고의 이관규가 패전 투수가 되었다. 상원고의 박지규는 6회에 2점 홈런을 기록하였다.
'''제2경기''' (12:30)
서울고가 부산공고를 8-4로 꺾었다. 부산공고는 1회초 2점, 2회초 1점, 8회초 1점을 얻어 총 4점을 획득하였고, 서울고는 1회말 1점, 5회말 2점, 6회말 5점을 얻어 총 8점을 획득하였다. 서울고의 신동훈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부산공고의 박휘성이 패전 투수가 되었다.
'''제3경기''' (15:30)
장충고가 원주고를 7-2로 이겼다. 원주고는 1회초와 2회초에 각각 1점을 얻어 총 2점을 획득하였고, 장충고는 1회말 3점, 6회말 2점, 8회말 2점을 얻어 총 7점을 획득하였다. 장충고의 최우석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원주고의 김창섭이 패전 투수가 되었다.
'''제4경기''' (18:00)
휘문고가 중앙고를 5-1로 승리하였다. 중앙고는 9회초에 1점을 얻었으나, 휘문고는 1회말 1점, 3회말 3점, 7회말 1점을 얻어 총 5점을 획득하였다. 휘문고의 박성민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중앙고의 박준표가 패전 투수가 되었다.
2. 2. 3. 9일째 (3월 20일)
'''제1경기''' (10:00)'''충암고등학교'''가 효천고등학교를 상대로 7회 콜드 게임승을 거두었다. 충암고는 1회초 1점을 시작으로 꾸준히 득점하며 7회까지 8점을 얻었다. 반면 효천고는 1회말 1점을 얻는 데 그쳤다. 충암고의 변진수가 승리 투수가 되었고, 효천고의 박정준이 패전 투수가 되었다.
'''제2경기''' (12:30)
제주고등학교가 충훈고등학교를 상대로 10회 연장 접전 끝에 5:4로 승리했다. 제주고는 3회말 2점을 먼저 얻었으나, 충훈고는 6회초와 7회초에 각각 1점을 추가하며 끈질기게 추격했다. 6회말 제주고가 2점을 추가하며 달아났지만, 결국 10회초 충훈고에 1점을 내주고, 10회말 제주고가 극적인 1점을 얻으며 경기를 마무리했다. 제주고의 천상웅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충훈고의 권기헌이 패전 투수가 되었다.
'''제3경기''' (15:30)
'''경북고등학교'''가 세광고등학교를 상대로 5회 콜드 게임승을 거두었다. 경북고는 2회초 1점을 시작으로 4회초 3점, 5회초 7점을 몰아치며 압도적인 공격력을 보여주었다. 세광고는 4회말 1점을 만회했지만, 경북고의 막강한 화력을 따라잡지 못했다. 경북고의 임기영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세광고의 김태규가 패전 투수가 되었다.
'''제4경기''' (18:00)
'''제물포고등학교'''가 청원고등학교를 상대로 10회 연장 끝에 5:4로 승리했다. 1회초 청원고가 먼저 1점을 냈지만, 1회말 제물포고가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양 팀은 9회까지 득점 없이 팽팽하게 맞섰다. 10회초 청원고가 3점을 얻으며 승기를 잡는 듯했으나, 10회말 제물포고가 4점을 몰아치며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었다. 제물포고의 이현호가 승리 투수가 되었고, 청원고의 김민수는 완투패를 기록했다.
2. 2. 4. 10일째 (3월 21일)
'''제1경기''' (10:00)- 승리투수: 홍건희
- 패전투수: 김산
'''제2경기''' (12:30)
- 승리투수: 임규빈
- 패전투수: 양현
- 7회 콜드 게임
'''제3경기''' (15:30)
- 승리투수: 최동현
- 패전투수: 김성현
- 8회 콜드 게임
'''제4경기''' (18:00)
- 승리투수: 유창식
- 패전투수: 이민호
- ---
2. 3. 16강전
2. 3. 1. 11일째 (3월 22일)
'''제1경기''' (10:00)- 승리투수: 김우경
- 패전투수: 고재황
- 홈런: 없음
'''제2경기''' (12:30)
- 승리투수: 임정우
- 패전투수: 조무근
- 홈런: 없음
- 서울고 임정우, 3피안타 2피사사구 7탈삼진 완봉승
- 상원고 조무근, 완투패
- 이날 예정되었던 3,4경기는 폭설로 인해 일정이 순연됨.
2. 3. 2. 12일째 (3월 23일)
- '''제1경기''' (12:30)
- 경북고 임기영, 6피안타 4피사사구 5탈삼진 완봉승
- '''제2경기''' (15:30)
- '''제3경기''' (18:00)
2. 3. 3. 13일째 (3월 24일)
'''제1경기''' (12:30)북일고등학교는 광주제일고등학교와의 경기에서 2-3으로 패배했다.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득점 | 안타 | 에러 | |
|---|---|---|---|---|---|---|---|---|---|---|---|---|---|
| 북일고등학교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7 | 1 | ||||||||||||
| 광주제일고등학교 | 0 | 0 | 0 | 0 | 0 | 1 | 0 | 1 | 1 | 3 | 8 | 2 |
- 승리투수: 유창식
- 패전투수: 이영재
'''제2경기''' (15:30)
제물포고등학교는 충암고등학교를 10-3으로 8회 콜드 게임으로 이겼다.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득점 | 안타 | 에러 | |
|---|---|---|---|---|---|---|---|---|---|---|---|---|
| 충암고등학교 | 0 | 2 | 0 | 0 | 0 | 0 | 1 | · | 3 | 3 | 4 | |||||||||||
| 제물포고등학교 | 0 | 1 | 0 | 4 | 1 | 0 | 3 | · | 10 | 7 | 1 |
- 승리투수: 이현호
- 패전투수: 최현진
'''제3경기''' (18:00)
신일고등학교는 화순고등학교를 2-1로 이겼다.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득점 | 안타 | 에러 | |
|---|---|---|---|---|---|---|---|---|---|---|---|---|
| 신일고등학교 | 0 | 0 | 1 | 0 | 0 | 0 | 0 | 0 | 2 | 6 | 0 | |||||||||||
| 화순고등학교 | 0 | 0 | 0 | 0 | 0 | 0 | 0 | 0 | 1 | 8 | 0 |
- 승리투수: 최동현
- 패전투수: 김태호
2. 4. 8강전
2. 4. 1. 14일째 (3월 25일)
'''제1경기''' (12:30)- 승리투수: 윤영삼
- 패전투수: 신동훈
'''제2경기''' (18:30)
- 승리투수: 한현희
- 패전투수: 고지원
- 경남고 한현희, 완투승
2. 4. 2. 15일째 (3월 26일)
'''제1경기''' (15:30)
'''제2경기''' (18:30)
- 경북고 임기영, 8이닝 완투승
- 8회 콜드 게임
- ---
2. 5. 준결승전
2. 5. 1. 16일째 (3월 27일)
- '''제1경기''' (12:00)
장충고등학교가 경남고등학교를 상대로 연장 10회말 1-0으로 승리하였다.
승리투수: 윤영삼 패전투수: 심창민
- 경남고 심창민은 완투패를 기록하였다.
- '''제2경기''' (15:00)
광주제일고등학교가 경북고등학교를 상대로 10-6으로 승리하였다.
승리투수: 이정호 패전투수: 임기영
- 홈런: 허일(8회 2점, 광주일고)
- ---
2. 6. 결승전
2. 6. 1. 18일째 (3월 29일)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제64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전에서 광주제일고등학교(광주일고)가 장충고등학교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광주일고는 3회초에 1점을 득점한 후, 선발 투수 유창식의 호투를 바탕으로 장충고를 3안타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유창식은 3피안타 3피사사구 10탈삼진 완봉승을 거두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고, 장충고의 선발 투수 정다흰은 패전 투수가 되었다.3. 개인상 수상자 명단
wikitable
| 부문 | 수상자 | 소속고교 | 포지션 | 비고 |
|---|---|---|---|---|
| 최우수선수 | 유창식 | 광주일고 | 투수 | - |
| 우수투수 | 이정호 | 광주일고 | 투수 | - |
| 감투 | 윤영삼 | 장충고 | 투수 | - |
| 수훈 | 이현동 | 광주일고 | 우익수 | - |
| 타격상 | 허일 | 광주일고 | 3루수 | 1위 : 24타수 12안타(.500) |
| 전형근 | 경북고 | 지명타자 | 2위 : 18타수 9안타(.500) | |
| 이현동 | 광주일고 | 우익수 | 3위 : 14타수 7안타(.500) | |
| 최다타점 | 이현동 | 광주일고 | 우익수 | 7타점 |
| 최다안타 | 허일 | 광주일고 | 3루수 | 12안타 |
| 최다득점 | 백세웅 | 광주일고 | 유격수 | 7득점 |
| 최다홈런 | 허일 | 광주일고 | 3루수 | 1홈런 |
| 최다도루 | 김도현 | 진흥고 | 1루수 | 5도루 |
| 감독 | 허세환 | 광주일고 | - | - |
| 특별 | 최현진 | 충암고 | 투수 | 노히트 노런 기록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