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대한민국국제청소년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회 대한민국국제청소년영화제는 역대 영화제에서 상영된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그 발자취를 확인할 수 있다. 연출, 연기, 기획, 편집, 촬영, 음악, 각본 등 다양한 부문에서 개인 및 단체에 대한 시상이 이루어졌다.
2. 영화제 소개
2. 1. 영화제의 역사
2. 2. 영화제의 목적 및 특징
2. 3. 역대 주요 수상작 및 수상자
3. 수상 부문
3. 1. 단체상
단체상은 다음과 같다.3. 2. 개인상
제9회 대한민국국제청소년영화제에서는 연출, 연기, 기획, 편집, 촬영, 음악, 각본 등 다양한 부문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인 개인에게 상을 수여했다.3. 3. 특별상
드라이브 - 심명훈, 멤버쉽 트레이닝 - 최신춘, 21세기 명랑 여고생활 지침서 - 이슬비, 에소프레소 - 임호성, My glory days, 영화와 나의 날 - 김회종, 가자, 여행 - 오세인, Destruciton of Humanity - 구동완, 스케치북-새로운 세상을 그리다 - 최미현, 엄마 - 허예나, 뒤돌아 보지마 - 강정원, 엘리베이터 - 황나영 외2명, 생리통 - 한송아, 매미껍데기 울다 - 엄홍식, 오늘만 - 정다원, 문자시대 - 조경민이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3. 4. 기타 부문
3. 5. 제1회 ~ 제10회
제9회 대한민국국제청소년영화제는 이전 영화제들에서 상영된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그 발자취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에는 청소년들의 시각을 담은 참신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회를 거듭하면서 작품의 주제와 형식이 다양해졌다.
초기 영화제에서는 〈청춘예찬〉(박인희), 〈내 인생의 일할〉(이무현), 〈멤버쉽 트레이닝〉(최신춘)과 같은 작품들이 상영되었다. 이후 〈고시원 체류기〉(김정우), 〈그늘 아래〉(조현열), 〈세바뀌(세상이 바뀌면 언어도 바뀌는 법)〉(유민호) 등 사회 현상에 대한 청소년들의 고민을 담은 작품들이 등장했다.
또한, 〈조금 특별한 그녀〉(하현주), 〈훌〉(양기원), 〈21세기 명랑 여고생활 지침서〉(이슬비)와 같이 청소년들의 일상과 문화를 다룬 작품들도 상영되었다. 〈빨간촛불의 거짓말〉(김완), 〈토마토를 주세요!〉(정지연), 〈왼손을 위한 연습〉(주혜리) 등은 사회적 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비판적 시각을 보여주었다.
〈박쥐〉(박준규), 〈하늘아래〉(안평욱), 〈마지막 귀갓길〉(김준성) 등의 작품은 가족과 개인의 삶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으며, 〈투게더〉(권준영), 〈들꽃〉(김건우), 〈그녀에게 말하다〉(정소영)는 우정과 사랑을 주제로 다루었다.
〈My glory days, 영화와 나의 날〉(김회종), 〈드라이브〉(심명훈)와 같이 영화에 대한 열정을 담은 작품도 있었다. 〈놈놈놈 in the club〉(한서욱), 〈그 놈과 그 분〉(강성주 외1명), 〈귀머거리와 벙어리〉(차연주 외2명) 등은 실험적인 형식을 시도한 작품들이다.
〈그들에게 자유란〉(문해진 외4명), 〈why me〉(서지영), 〈새벽을 여는 사람들〉(이지연) 등은 사회 참여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이며, 〈빨간괴물〉(허승범), 〈엠은엠〉(한동헌), 〈미행토끼〉(변성빈) 등은 독특한 상상력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이외에도 〈저녁식사〉(김지산), 〈Happy, And〉(전이랑), 〈뽀뽀고양이〉(황지혜 외2명), 〈쌍둥이 남매〉(이정길), 〈올 스탠바이〉(임지은), 〈엘리베이터〉(황나영 외2명), 아버지(박성호), 〈엄마〉(허예나), 〈가장_ _ _한 공식〉(이하니), 〈도(桃)〉(이수진 외3명), 〈창문이 없는 집엔 아이가 없다〉(정휘빈 외3명), 〈뒤돌아 보지마〉(강정원), 〈몽골'그곳에 희망을 심다'〉(채재강), 〈피아노 치기 좋은날〉(김혜인), 〈생리통〉(한송아), 〈closed〉(정다애 외3명), 〈TEENAGER〉(김별 외1명), 〈Destruciton of Humanity〉(구동완), 〈당신은 행복합니까?〉(주영진), 〈스케치북-새로운 세상을 그리다〉(최미현), 오르골(정다영 외2명), 〈요술체중계의 비밀〉(황수헌), 〈식지마, 닭꼬치〉(공소라), 〈Sky Is Blue〉(김미수 외2명), 〈고등학교 바른생활〉(김동민), 〈The Winner〉(이은지), 〈가자, 여행〉(오세인), 〈변비탈출〉(안종민), 〈책먹는아이〉(이원도), 〈독도와 오바아짱〉(경북 봉화초등학교 / 김묘선), 〈나의 가장 오래된 친구〉(강민건), 〈너에게로 가는 길〉(박지훈), 〈오늘만〉(정다원), 〈문자시대〉(조경민), 〈검정 크레파스〉(윤혜원), 〈마법의 손길〉(이민정), 〈우리 왕쌤이 달라졌어요〉(김다인), 〈잃어버린 지갑을 찾아서…〉(김민교), 〈스틸링 조커〉(강민건), 〈죽어도 살래요〉(김민준), 〈내 친구는 일본인〉(거제 고현초등학교 / 전혜원), 〈외계인 친구 길들이기〉(거제 고현초등학교 / 김민지), 〈모습 없는 친구〉(거제 고현초등학교 / 김민지), 〈보물찾기〉(강세연 외1명), 〈천만원 대소동〉(제주 대륜지역아동센터 / 권세윤), 〈보물섬에서 온 아이〉(신승연), 〈No-1cm Yes+1cm, 내 친구 혜린이 이야기〉(신승연) 등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작품들이 상영되었다.
3. 6. 제11회 ~ 제20회
3. 7. 제21회 ~ 현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