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도 (광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도(Illuminance)는 물체의 표면 또는 공간 내의 미소 면적에 입사하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측광량이다. 이는 면적당 광속으로 정의되며, 광원, 피조사면 사이의 거리, 빛의 입사각 등에 따라 달라진다. 조도는 광원과 피조사면의 관계, 휘도와의 관계를 통해 다른 측광량과 연관되며, 책상 위나 방의 밝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조도는 럭스(lux) 단위를 사용하며, 햇빛, 흐린 날, 밤하늘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조도 수준을 나타내는 표가 존재한다. 천문학에서는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겉보기 등급과 럭스 간의 변환 공식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산업 표준(KS)에서도 조도와 관련된 규격이 존재한다.

2. 정의

물체의 표면 또는 공간 내의 미소 단면 dΣ를 고려하고, 미소 면적 dΣ에 입사하는 광속을 Φtgt라고 할 때, 조도는

:E =\frac{d\varPhi_\text{tgt}}{d\varSigma}

로 정의된다.[1]

3. 다른 측광량과의 관계

광원과 피조사면 사이에서 흡광이나 산란에 의한 빛의 감쇠를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광도 ''I''의 점 광원에서 위치 '''''r'''''에 있는 미소 단면적 ''dΣ''에서의 조도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 ''E'' =(''I''cosθinc)/''r''2

휘도 ''L''의 확산을 갖는 광원에 의한 조도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 ''E'' =∫ (cosθinc/''r''2) ''L'' cosθ d''S''

4. 특징

조도는 대상 물체를 얼마나 "비추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책상 위나 방 등의 밝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조도
조도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비춰지는 물체가 광선에 대해 수직이 아닌 비스듬한 경우, 조사되는 물체가 어두워지므로 법선 벡터 '''n'''을 곱하여 이를 고려한다. 조도와 광속의 차이는, 조사하고 있는 물체의 면적을 고려하는지 여부이다. 예를 들어, 같은 광속을 내는 전등이라도 가까이 있는 책보다, 떨어진 장소에 있는 책이 더 어두워진다. 이것을 조도가 낮다고 부른다. 광원이 되는 전등이 단위 칸델라로 표시되는 데 반해, 책상 위가 얼마나 비춰지고 있는지를 나타낼 때 럭스가 사용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눈으로 느끼는 물체의 단위 시면적당 밝기는 거리에 의존하지 않고, 물체의 조도에 정비례한다. 그러나 물체의 시면적이 매우 작은 경우에는, 같은 면적과 조도의 물체라도, 눈으로 느끼는 단위 시면적당 밝기는 거리의 증가에 따라 감쇠해 간다.

5. 휘도와의 관계

반사 표면의 휘도는 표면이 받는 조도와 관련이 있다.

\int_{\Omega_\Sigma} L_\mathrm{v} \mathrm{d}\Omega_\Sigma \cos \theta_\Sigma = M_\mathrm{v} = E_\mathrm{v} R

여기서 적분은 모든 방출 방향을 포함하며,


  • Mv는 표면의 광원 발산도
  • Ev는 수신된 조도이며,
  • R은 반사율이다.


완벽한 확산 반사체 (또는 람베르트 반사체)의 경우, 휘도는 람베르트 코사인 법칙에 따라 등방적이다. 그러면 관계는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L_\mathrm{v} = \frac{E_\mathrm{v} R}{\pi}

6. 일반적인 조도 수준

일반적인 조도 수준[6]
조명 상태풋 캔들럭스
햇빛10,000100,000
맑은 날의 그늘1,00010,000
흐린 날1001,000
매우 어두운 날10100
황혼110
깊은 황혼0.11
보름달0.010.1
상현달0.0010.01
별빛0.00010.001
흐린 밤0.000010.0001


7. 천문학

천문학에서, 별이 지구 대기에 드리우는 조도는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단위는 가시광선 대역에서의 겉보기 등급이다.[7] V등급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럭스로 변환할 수 있다.[8]

:''E''v = 10(-14.18-''m''v)/2.5

여기서 ''E''v는 럭스 단위의 조도이고, ''m''v는 겉보기 등급이다. 역변환은 다음과 같다.

:''m''v = -14.18 - 2.5 log(''E''v)

8. 한국산업표준(KS)

원본 소스에는 한국산업표준(KS)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간행물 Illuminance, 17-21-060 https://cie.co.at/ei[...] CIE -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2023-04-20
[2] 간행물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Vocabulary. https://www.electrop[...]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3] 문서 Luminous exitance http://www.drdrbill.[...] Drdrbill.com
[4] 간행물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Vocabulary. https://www.electrop[...]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5] 웹사이트 One phot http://www.unitconve[...] unitconversion.org
[6] 웹사이트 Illuminance - Recommended Light Level https://www.engineer[...] The Engineering ToolBox 2022-07-07
[7] 웹사이트 Radiometry and photometry in astronomy FAQ, section 7 http://stjarnhimlen.[...]
[8] 웹사이트 Formulae for converting to and from astronomy-relevant units https://web.archive.[...] 2013-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