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사우디아라비아에 설치된 대한민국 외교 공관이다. 1962년 10월 16일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외교 관계를 수립한 후, 1973년 7월 9일 지다에 대사관이 개관했다. 이후 1984년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권고에 따라 수도인 리야드로 이전하여 현재 리야드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젯다에는 대한민국 총영사관이 설치되었다. 역대 공관장으로는 윤경도, 유양수, 장예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사우디아라비아 관계 - 주한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
주한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은 대한민국 주재 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교 공관이며, 1962년 국교 수립 이후 2009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으로 청사를 이전했다. - 대한민국-사우디아라비아 관계 - 주젯다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젯다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 위치했던 대한민국 총영사관으로, 1984년 개관하여 1998년 폐쇄되었다가 2008년 재설립되었다. - 1973년 설립 - 김앤장 법률사무소
김앤장 법률사무소는 1973년 김영무 변호사가 설립하여 미국 로펌 시스템을 도입, 한국 법률 서비스의 국제화를 이끌었으며,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규제, 경영, 분쟁 해결 등 여러 분야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법률사무소이다. - 1973년 설립 - 마약단속국
미국 마약단속국(DEA)은 마약 밀매와 불법 약물 사용 방지를 위해 통제물질법을 집행하는 연방 기관으로, 등록 시스템 운영, 국제적 활동 전개, 그리고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있다.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현지어 이름 | سفارة جمهورية كوريا في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
설립일 | 1973년 7월 9일 |
관할 | 영사관할지역: * ** 리야드주** 자우프주** 하일주** 카심주** 나지란주** 동부주** 북부 변경주 |
소재지 | 리야드 11693 |
기관장 | 조병욱 |
기관장 이름 | 대사 |
상급 기관 | 외교부 |
웹사이트 |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 |
2. 역사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10월 16일에 사우디아라비아와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2][3] 1973년 3월 31일에는 《재외공관의 명칭·위치 및 관할 구역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6619호)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 대사관을 설립하기로 결정했고,[2][3] 1973년 7월 9일에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정식 개관했다.[1]
1984년 7월 28일에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자국 영내에 주재하는 모든 외국 대사관을 수도인 리야드로 이전할 것을 권고함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지다에 있던 대사관을 리야드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4] 1984년 9월에는 주젯다 대한민국 총영사관이 정식 개관했고,[5][6] 10월 15일에는 리야드에 새로 건립된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업무를 개시했다.[7]
2. 1. 외교 관계 수립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10월 16일에 사우디아라비아와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2][3] 1973년 7월 9일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정식 개관했다.[1]1984년 7월 28일에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자국 영내에 주재하는 모든 외국 대사관을 수도인 리야드로 이전할 것을 권고함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도 1984년 7월 19일에 열린 국무회의를 통해 지다에 위치한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을 리야드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4] 1984년 10월 15일에는 리야드에 새로 건립된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업무를 개시했다.[7]
2. 2. 대사관 개설 및 이전
1973년 3월 31일에 개정된 《재외공관의 명칭·위치 및 관할 구역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6619호)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 대사관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2][3] 1973년 7월 9일에 사우디아라비아 지다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이 정식 개관했다.[1]1984년 7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자국 영내에 주재하는 모든 외국 대사관을 수도인 리야드로 이전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도 1984년 7월 19일에 열린 국무회의를 통해 지다에 위치한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을 리야드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4] 1984년 7월 28일에 개정된 《재외공관의 명칭·위치 및 관할 구역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6619호)에 따라 주젯다 대한민국 총영사관이 1984년 9월에 정식 개관했다.[5][6] 1984년 10월 15일에는 리야드에 새로 건립된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업무를 개시했다.[7]
3. 역대 공관장
대수 | 성명[8] | 임명일 |
---|---|---|
제1대 | 윤경도(尹慶道) | 1973년 7월 17일 |
제2대 | 유양수(柳陽洙) | 1975년 9월 26일 |
제3대 | 장예준 | 1980년 3월 27일 |
제4대 | 최광수 | 1983년 2월 15일 |
제5대 | 최호중 | 1985년 12월 4일 |
제6대 | 주병국(朱炳國) | 1989년 3월 9일 |
제7대 | 나중배(羅重培) | 1992년 3월 28일 |
제8대 | 신효헌(申孝憲) | 1995년 3월 2일 |
제9대 | 김정기(金正琪) | 1998년 5월 28일 |
제10대 | 박명준(朴明濬) | 2000년 10월 29일 |
제11대 | 강광원(姜光遠) | 2003년 6월 24일 |
제12대 | 이재길(李栽吉) | 2006년 3월 30일 |
제13대 | 홍종기(洪宗崎) | 2008년 11월 2일 |
제14대 | 김종용(金鍾龍) | 2010년 9월 29일 |
제15대 | 김진수(金辰洙) | 2013년 8월 13일 |
제16대 | 권평오(權坪五) | 2015년 12월 1일 |
제17대 | 조병욱(趙炳煜) | 2018년 5월 10일 |
제18대 | 박준용 | 2021년 6월 7일 |
제19대 | 최병혁 | 2023년 12월 28일 |
제20대 | 공석 | 미정 |
참조
[1]
웹인용
공관 약사 및 관할 지역
https://overseas.mof[...]
2022-11-30
[2]
웹인용
재외공관의 명칭·위치 및 관할 구역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6619호)
https://www.law.go.k[...]
2022-12-01
[3]
뉴스
사우디아라비아에 常駐大使館(상주대사관)을設置(설치)
https://newslibrary.[...]
2022-12-01
[4]
뉴스
駐(주)사우디 韓國(한국)대사관 제다서 首都(수도)리야드로
https://newslibrary.[...]
2022-12-01
[5]
웹인용
재외공관의 명칭·위치 및 관할 구역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11477호)
https://www.law.go.k[...]
2022-12-01
[6]
웹인용
공관 연혁
https://overseas.mof[...]
2022-12-01
[7]
뉴스
駐(주) 사우디 韓國(한국)대사관 제다서 리야드로 移轉(이전)
https://newslibrary.[...]
2022-12-01
[8]
서적
한국 외교 60년
http://www.mofat.go.[...]
2015-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