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슈퍼리그 201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중국 슈퍼리그는 2017년에 개최된 중국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6개 팀이 참가했다. 톈진 취안젠과 구이저우 헝펑 즈청이 승격했으며, 항저우 그린타운과 스자좡 융창이 강등되었다.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에란 자하비가 27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파비오 칸나바로가 올해의 감독으로 선정되었으며, 리그 순위는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상하이 상강, 톈진 취안젠 순으로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 축구 리그 - J2리그 2017
J2리그 2017은 22개 팀이 참가한 일본 프로 축구 2부 리그로, 쇼난 벨마레와 V-파렌 나가사키가 1, 2위를 차지하여 J1리그로 승격하고 나고야 그램퍼스가 승격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승격했으며, 더스파구사쓰 군마는 최하위를 기록하며 J3리그로 강등되었다. - 2017 축구 리그 - J3리그 2017
J3리그 2017은 17개 팀이 참가한 일본 프로 축구 리그 J3리그의 시즌으로, 블라우블리츠 아키타가 우승하고 도치기 SC가 2위를 차지하여 J2리그로 승격했다. - 중국 슈퍼리그 시즌 - 중국 슈퍼리그 2007
중국 슈퍼리그 2007은 중국 프로축구 리그의 4번째 시즌으로, 허난 젠예와 저장 뤼청이 승격하여 참가했고 창춘 야타이가 우승했으며, 시즌 중 상하이 선화와 상하이 롄청의 합병, 리진위의 득점왕, 두전위의 올해의 선수상 수상 등이 있었다. - 중국 슈퍼리그 시즌 - 중국 슈퍼리그 2009
베이징 궈안이 우승하고 창춘 야타이, 허난 젠예, 산둥 루넝이 AFC 챔피언스리그 2010 진출 자격을 얻었으며 청두 셰페이롄과 광저우 이야오는 승부 조작으로 강등된 시즌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축구에 관한 - 중국 슈퍼리그
중국 슈퍼리그는 중국 축구 협회가 창설한 프로 축구 리그로,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리그의 위상을 높였으나 현재는 규제와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 축구에 관한 - 상하이 선화
상하이 선화는 상하이시를 연고로 하는 중국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93년 창단되어 중국 슈퍼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갑급 A리그 우승, 상하이 롄청 인수 합병, 뤼디그룹 인수 등의 역사를 거쳐 상하이 선화 FC로 명칭을 변경했다.
| 중국 슈퍼리그 2017 | |
|---|---|
| 기본 정보 | |
![]() | |
| 대회 | 중국 슈퍼리그 |
| 시즌 | 2017 |
| 기간 | 2017년 3월 3일 – 2017년 11월 4일 |
| 우승팀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7번째 우승) |
| 강등팀 | 옌볜 푸더 랴오닝 FC |
| 총 경기 수 | 240 |
| 총 득점 | 732 |
| 평균 관중 수 | 23,766 |
| 이전 시즌 | 2016 |
| 다음 시즌 | 2018 |
|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 |
| 대회 | AFC 챔피언스리그 |
| 진출팀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상하이 그린랜드 선화 상하이 SIPG 톈진 취안젠 |
| 개인 기록 | |
| 득점왕 | 에란 자하비 (27골) |
| 경기 기록 | |
| 최다 점수차 홈 승리 | 상하이 그린랜드 선화 8–1 랴오닝 FC (2017년 6월 30일) |
|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 옌볜 푸더 0–4 충칭 당다이 리판 (2017년 7월 8일) 옌볜 푸더 0–4 장쑤 쑤닝 (2017년 8월 19일) 톈진 테다 1–5 창춘 야타이 (2017년 9월 15일) |
| 최다 득점 경기 | 상하이 그린랜드 선화 8–1 랴오닝 FC (2017년 6월 30일) 산둥 루넝 타이산 5–4 허베이 화샤 싱푸 (2017년 11월 3일) |
| 최다 연승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10경기) |
| 최다 무패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12경기) |
| 최다 무승 | 랴오닝 FC (11경기) |
| 최다 연패 | 랴오닝 FC (7경기) |
| 최고 관중 | 베이징 시노보 궈안 2–0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54,018명, 2017년 7월 8일) |
| 최소 관중 | 구이저우 헝펑 즈청 1–1 랴오닝 FC (0명, 2017년 3월 3일) |
2. 팀 변경
2017 시즌에는 다음과 같이 구단 명칭 변경이 있었다.
- 베이징 중허 궈안 (2017년 1월) [109]
- 충칭 당다이 리판 (2017년 1월) [110]
2. 1. 중국 슈퍼리그로 승격된 팀
2016년 중국 갑급 리그에서 다음 두 구단이 승격되었다.- 톈진 취안젠
- 구이저우 헝펑 즈청
톈진 취안젠과 구이저우 헝펑 즈청은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 슈퍼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2. 2. 중국 갑급 리그로 강등된 팀
- 항저우 그린타운
- 스자좡 융창
항저우 그린타운은 10년간 중국 최상위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강등되었고, 스자좡 융창은 2시즌 동안 중국 슈퍼 리그에서 활동한 후 중국 갑급 리그로 강등되었다.
3. 중국 슈퍼리그 참가 팀
2017 시즌 중국 슈퍼리그에는 16개 팀이 참가한다.[10] 각 팀의 연고지, 경기장, 감독 등은 다음과 같다.
| 팀 | 감독 |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2016 시즌 |
|---|---|---|---|---|---|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 루이스 펠리페 스콜라리 | 광저우 | 톈허 스타디움 | 58,500 | 1위 |
| 장쑤 쑤닝 | 파비오 카펠로 | 난징 |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61,443 | 2위 |
| 상하이 SIPG |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 상하이 | 상하이 스타디움 | 56,842 | 3위 |
| 상하이 선화 | 우징구이 | 상하이 | 훙커우 축구 경기장 | 33,060 | 4위 |
| 베이징 궈안 | 로거 슈미트 | 베이징 | 공인 경기장 | 66,161 | 5위 |
| 광저우 푸리 |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 광저우 | 위에시우산 스타디움 | 18,000 | 6위 |
| 허베이 화샤 싱푸 | 마누엘 페예그리니 | 친황다오 | 친황다오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33,572 | 7위 |
| 충칭 당다이 리판 | 장외룡 | 충칭 | 충칭 올림픽 스포츠 센터 | 58,680 | 8위 |
| 옌볜 푸더 | 박태하 | 옌지 | 옌지 전국 피트니스 센터 스타디움 | 30,000 | 9위 |
| 랴오닝 훙윈 | 자오쥔저 | 선양 | 선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 60,000 | 10위 |
| 톈진 테다 | 울리 슈틸리케 | 톈진 | 톈진 퇀보 축구 경기장 | 22,320 | 11위 |
| 창춘 야타이 | 천징강 | 창춘 | 개발구 스타디움 | 25,000 | 12위 |
| 허난 젠예 | 궈광치 | 정저우 | 정저우 항하이 스타디움 | 29,860 | 13위 |
| 산둥 루넝 타이산 | 펠릭스 마가트 | 지난 | 지난 올림픽 스포츠 루넝 스타디움 | 56,808 | 14위 |
| 톈진 취안젠 P | 파비오 칸나바로 | 톈진 | 하이허 교육 축구 경기장 | 30,000 | CL1, 1위 |
| 구이저우 헝펑 즈청 P | 그레고리오 만사노 | 구이양 | 구이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 51,636 | CL1, 2위 |
- 광저우 푸리는 원래 홈구장인 위에시우산 스타디움이 개축 중이어서 2017년 4월까지 광둥성 인민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11] 랴오닝 훙윈은 선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다른 행사를 개최하여 시즌 나머지 기간 동안 톄시 신구 스포츠 센터에서 경기를 치렀다.[12] 톈진 테다는 톈진 올림픽 스포츠 센터가 2017년 중화인민공화국 전국 운동회를 위해 개축 중이어서 톈진 퇀보 축구 경기장으로 홈구장을 변경했다가, 전국 운동회가 종료된 후 다시 복귀했다.[13][14]
3. 1. 팀 연고지와 경기장
| 클럽팀 | 감독 | 주장 | 연고도시 | 경기장 | 관중수용규모 | 2016 시즌 |
|---|---|---|---|---|---|---|
| 광저우 헝다 | Luiz Felipe Scolari|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pt | 郑智|정즈중국어 | 광저우 | 톈허 체육장 | 58,500 | 우승 |
| 장쑤 쑤닝 | Fabio Capello|파비오 카펠로it | 吴曦|우시중국어 | 난징 |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61,443 | 2위 |
| 상하이 상강 | André Villas-Boas|안드레 빌라스보아스pt | 王燊超|왕선차오중국어 | 상하이 | 상하이 체육장 | 56,842 | 3위 |
| 상하이 선화 | Gustavo Poyet|구스타보 포예트es | Giovanni Moreno|히오바니 모레노es | 상하이 | 훙커우 경기장 | 33,000 | 4위 |
| 베이징 궈안 | Roger Schmidt|로거 슈미트de | 杨智|양즈중국어 | 베이징 | 노동자 경기장 | 66,161 | 5위 |
| 광저우 푸리 | Драган Стојковић|드라간 스토이코비치sr | 姜至鹏|쟝즈펑중국어 | 광저우 | 웨시우산체육장 | 18,000 | 6위 |
| 허베이 화샤 | Manuel Pellegrini|마누엘 펠레그리니es | 杜威|두웨이중국어 | 친황다오 | 친황다오 올림픽 스포츠 센터 | 33,572 | 7위 |
| 충칭 리판 | 장외룡 | 吴庆|우칭중국어 | 충칭 | 충칭 올림픽 스포츠 센터 | 58,680 | 8위 |
| 옌볜 푸더 FC | 박태하 | 尹光|인광중국어 | 옌지 | 옌지 신 체육장 | 30,000 | 9위 |
| 랴오닝 훙윈 | 마린 | 제임스 차망가 | 판진 | 선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 60,000 | 10위 |
| 톈진 터다 | 울리 슈틸리케 | 王栋|왕둥중국어 | 톈진 | 톈진 올림픽 스포츠 센터 | 54,696 | 11위 |
| 창춘 야타이 | 천진강 | 오디온 주드 이갈로 | 창춘 | 창춘 경제개발구 스타디움 | 25,000 | 12위 |
| 허난 지엔예 | Ясен Петров|야센 페트로프bg | 에디 고메스 | 정저우 | 정저우 항하이 체육장 | 29,860 | 13위 |
| 산둥 루넝 | Felix Magath|펠릭스 마가트de | 蒿俊闵|하오쥔민중국어 | 지난 |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 | 56,808 | 14위 |
| 톈진 취안젠 | Fabio Cannavaro|파비오 칸나바로it | 张鹭|장루중국어 | 톈진 | 하이허 교육 축구구장 | 30,000 | 승격팀 |
| 구이저우 즈청 | Gregorio Manzano|그레고리오 만사노es | 페스터스 베이즈 | 구이양 | 구이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 51,636 | 승격팀 |
- 다음은 2017 시즌 중 경기장 변경 현황이다.
| 팀 | 감독 |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2016 시즌 |
|---|---|---|---|---|---|
| 광저우 푸리 | Драган Стојковић|드라간 스토이코비치sr | 광저우 | 광둥성 인민 경기장 | 9,000 | 6위 |
| 광저우 푸리 | Драган Стојковић|드라간 스토이코비치sr | 광저우 | 위에시우산 스타디움 | 18,000 | |
| 랴오닝 훙윈 | 肇俊哲|자오쥔저중국어 | 선양 | 선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 60,000 | 10위 |
| 톄시 신구 스포츠 센터 | 30,000 | ||||
| 톈진 테다 | 울리 슈틸리케 | 톈진 | 톈진 퇀보 축구 경기장 | 22,320 | 11위 |
| 톈진 올림픽 스포츠 센터 | 54,696 |
3. 2. 감독 변화
| 팀 | 떠나가는 감독 | 사임 날짜 | 새로 부임하는 감독 | 임명 날짜 |
|---|---|---|---|---|
| 상하이 SIPG | 스벤예란 에릭손 | 2016년 11월 4일[15] |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 2016년 11월 4일[16] |
| 상하이 선화 | 그레고리오 만사노 | 2016년 11월 9일[17] | 구스타보 포예 | 2016년 11월 29일[18] |
| 베이징 궈안 | 셰펑 (임시 감독) | 2016년 11월 23일 | 호세 곤잘레스 | 2016년 11월 23일[19] |
| 창춘 야타이 | 이장수 | 2017년 5월 4일 | 천징강 (임시 감독) | 2017년 5월 4일[20] |
| 구이저우 헝펑 | 리빙 | 2017년 5월 8일 | 그레고리오 만사노 | 2017년 5월 8일[21] |
| 톈진 테다 | 자이메 파체코 | 2017년 5월 30일 | 임상생 (임시 감독) | 2017년 5월 30일[22] |
| 장쑤 쑤닝 | 최용수 | 2017년 6월 1일 | 리진위 (임시 감독) | 2017년 6월 1일[23] |
| 베이징 궈안 | 호세 곤잘레스 | 2017년 6월 2일 | 셰펑 (임시 감독) | 2017년 6월 2일[24] |
| 허난 젠예 | 자슈안 | 2017년 6월 3일[25] | 야센 페트로프 | 2017년 6월 13일[26] |
| 장쑤 쑤닝 | 리진위 (임시 감독) | 2017년 6월 11일 | 파비오 카펠로 | 2017년 6월 11일[27] |
| 베이징 궈안 | 셰펑 (임시 감독) | 2017년 7월 1일 | 로저 슈미트 | 2017년 7월 1일[28] |
| 톈진 테다 | 임상생 (임시 감독) | 2017년 7월 7일 | 임상생 | 2017년 7월 7일[29] |
| 랴오닝 훙윈 | 마린 | 2017년 8월 1일[30] | 르네 로벨로 | 2017년 8월 1일[31] |
| 톈진 테다 | 임상생 | 2017년 8월 14일[32] | 치롱량 (임시 감독) | 2017년 8월 14일 |
| 톈진 테다 | 치롱량 (임시 감독) | 2017년 9월 9일 | 울리 슈틸리케 | 2017년 9월 9일[33] |
| 상하이 선화 | 구스타보 포예 | 2017년 9월 11일 | 우징구이 | 2017년 9월 11일[34] |
| 랴오닝 훙윈 | 르네 로벨로 | 2017년 9월 29일 | 자오준저 (임시 감독) | 2017년 9월 29일[35] |
| 허난 젠예 | 야센 페트로프 | 2017년 9월 30일 | 궈광치 | 2017년 9월 30일[36] |
3. 3. 외국인 선수
다음은 중국 슈퍼리그 2017 시즌 외국인 선수 명단이다.각 팀은 AFC 소속 국가 선수 1명을 포함하여 최대 5명의 외국인 선수를 등록할 수 있다. 경기 중에는 최대 3명의 외국인 선수가 동시에 출전할 수 있다.
| 구단 | 선수 1 | 선수 2 | 선수 3 | 선수 4 | 아시아 쿼터 | 시즌 중 이적 |
|---|---|---|---|---|---|---|
| 광저우 헝다 | Alan Carvalho|알랑 카르발류pt | Ricardo Goulart|히카르두 굴라르pt | Luiz Guilherme da Conceição Silva|무리키pt | 김영권|金英權한국어 | José Paulo Bezerra Maciel Júnior|파울리뉴pt[124], Jackson Martínez|작손 마르티네스es[125], 김형일|金亨鎰한국어[123] | |
| 광저우 푸리 | Renato Ribeiro Calixto|헤나치뉴pt[126] | Osmar de Almeida Júnior|주니오르 우르소pt[126] | Sölvi Ottesen|쇨비 오테센is[127] | ערן זהבי|에란 자하비he[126] | Apostolos Giannou|아포스톨로스 지아누영어[126] | 장현수|張賢秀한국어[128] |
| 구이저우 헝펑 | Nikica Jelavić|니키차 옐라비치hr[129] | Tjaronn Chery|티아론 체리nl[129] | Rubén Castro|루벤 카스트로es[130] | Mario Suárez|마리오 수아레스es[131] | Ryan McGowan|라이언 맥가원영어[132], علي غزال|알리 가잘ar[133], Michael Olunga|마이클 올룽가sw[134] | |
| 랴오닝 훙윈 | Christian Bekamenga|크리스티앙 베카멩가프랑스어[142] | Olivier Boumal|올리비에 부말프랑스어[143] | Assani Lukimya-Mulongoti|아사니 루키미아물롱고티영어[144] | Anthony Ujah|앤서니 우자영어[144] | James Holland|제임스 홀랜드영어[145], Robbie Kruse|로비 크루즈영어[145], James Chamanga|제임스 차망가영어[146] | |
| 베이징 궈안 | Renato Augusto|헤나투 아우구스투pt[117] | Ralf de Souza Teles|하우프pt[117] | Jonathan Soriano|호나탄 소리아노es[117] | Egor Krimets|예고르 크리메츠uz[117] | Burak Yılmaz|부라크 이을마즈tr[118] | |
| 산둥 루넝 | Carlos Gilberto Nascimento Silva|지우pt[147] | Diego Tardelli Martins|지에구 타르델리pt[147] | Graziano Pellè|그라치아노 펠레it[147] | Papiss Cissé|파피스 시세프랑스어[147] | ||
| 상하이 상강 | Elkeson de Oliveira Cardoso|이우케종pt[149] | Givanildo Vieira de Sousa|헐크pt[149] | Oscar dos Santos Emboaba Júnior|오스카르pt[149] | Ricardo Carvalho|히카르두 카르발류pt[149] | Odil Ahmedov|오딜 아흐메도프uz[149] | |
| 상하이 선화 | Carlos Tevez|카를로스 테베스es[148] | Fredy Guarín|프레디 과린es[148] | Giovanni Moreno|히오바니 모레노es[148] | Obafemi Martins|오바페미 마틴스영어[148] | 김기희|金基熙한국어[148] | |
| 옌볜 푸더 | Valdet Rama|발데트 라마sq[157] | Bubacarr Trawally|부바카르 트라왈리영어[158] | Richárd Guzmics|구즈미치 리차르드hu[158] | Nikola Petković|니콜라 페트코비치sr[158] | 황일수|黃日秀한국어[157] | 김승대|金承大한국어[159], 윤빛가람|尹빛가람한국어[160] |
| 장쑤 쑤닝 | Ramires Santos do Nascimento|하미리스pt[139] | Alex Teixeira Santos|알레스 테이셰이라pt[139] | Benjamin Moukandjo|벵자맹 무칸조프랑스어[140] | Roger Martínez|로저 마르티네즈es[139] | Trent Sainsbury|트렌트 세인스버리영어[141] | 홍정호|洪正好한국어[141] |
| 창춘 야타이 | Marcos Sérgio Santos Costa|마리뉴pt[119] | Bruno Meneghel|브루노 메네겔pt[119] | Szabolcs Huszti|후스티 서볼치hu[119] | Odion Ighalo|오디온 이갈로영어[119] | Anzur Ismailov|안주르 이스마일로프uz[119] | |
| 충칭 리판 | Fernando Henrique da Conceição|페르난두 엔히키 다 콘세이상pt[120] | Hyuri|히우리pt[120] | Alan Kardec de Souza Pereira Júnior|알랑 카르덱pt[120] | Goran Milović|고란 밀로비치hr[120] | 정우영|鄭又榮한국어[120] | |
| 톈진 취안젠 | Axel Witsel|악셀 위첼nl[150] | Alexandre Rodrigues da Silva|알레샨드리 파투pt[150] | Anthony Modeste|앙토니 모데스트프랑스어[151] | 권경원|權敬原한국어[150] | Geuvânio Santos Silva|제우바니우pt[152], Allyson Chaves Ribeiro Moraes Júnior|주니오르 모라에스pt[153] | |
| 톈진 테다 | Frank Acheampong|프랭크 아체암퐁영어[154] | John Obi Mikel|존 오비 미켈영어[155] | Mbaye Diagne|음바예 디아뉴프랑스어[155] | Nemanja Gudelj|네만야 구데이sr[155] | 황석호|黃錫鎬한국어[155] | Brown Ideye|브라운 이데예영어[156] |
| 허난 젠예 | Christian Bassogog|크리스티앙 바소고그프랑스어[137] | Bořek Dočkal|보르제크 도치칼cs[137] | Eddy Afonso Gomes|에디 고메스pt[137] | Ricardo Vaz Tê|히카르두 바스 테pt[138] | أحمد الصالح|아흐마드 알살레ar[137] | Javier Patiño|하비에르 파티뇨영어[138] |
| 허베이 화샤 싱푸 | Ezequiel Lavezzi|에세키엘 라베시es[135] | Aloísio dos Santos Gonçalves|알로이시우pt[135] | Stéphane Mbia|스테판 음비아프랑스어[135] | Gervinho|제르비뉴프랑스어[136] | 김주영|金周榮한국어[135] | Anderson Hernanes de Carvalho Andrade Lima|에르나니스pt[136] |
2016년 1월 1일 이전에 계약한 홍콩, 마카오, 대만 출신 선수들은 외국인 선수로 간주되지 않는다.[161]
| 구단 | 선수 1 | 선수 2 |
|---|---|---|
| 창춘 야타이 | 殷亞吉|인야지중국어 | Jack Sealy|잭 시릴리영어 |
| 구이저우 헝펑 | 歐陽耀冲|아우양 야오충중국어 | Festus Baise|페스투스 바이스영어 |
| 톈진 취안젠 | Jean-Jacques Kilama|장-자크 키라마프랑스어 |
4. 리그 순위
| 순위 | 구단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 1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 30 | 20 | 4 | 6 | 69 | 42 | +27 | 64 |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진출 |
| 2 | 상하이 상강 | 30 | 17 | 7 | 6 | 72 | 39 | +33 | 58 |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
| 3 | 톈진 취안젠 | 30 | 15 | 9 | 6 | 46 | 33 | +13 | 54 |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
| 4 | 허베이 화샤 싱푸 | 30 | 15 | 7 | 8 | 55 | 38 | +17 | 52 | |
| 5 | 광저우 푸리 | 30 | 15 | 7 | 8 | 59 | 46 | +13 | 52 | |
| 6 | 산둥 루넝 | 30 | 13 | 10 | 7 | 49 | 33 | +16 | 49 | |
| 7 | 창춘 야타이 | 30 | 12 | 8 | 10 | 46 | 41 | +5 | 44 | |
| 8 | 구이저우 헝펑 즈청 | 30 | 12 | 6 | 12 | 39 | 45 | -6 | 42 | |
| 9 | 베이징 궈안 | 30 | 11 | 7 | 12 | 42 | 42 | 0 | 40 | |
| 10 | 충칭 리판 | 30 | 9 | 9 | 12 | 37 | 40 | -3 | 36 | |
| 11 | 상하이 선화 | 30 | 9 | 8 | 13 | 52 | 55 | -3 | 35 |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진출[3] |
| 12 | 장쑤 쑤닝 | 30 | 7 | 11 | 12 | 40 | 45 | -5 | 32 | |
| 13 | 톈진 터다 | 30 | 8 | 7 | 15 | 30 | 49 | -19 | 31 | |
| 14 | 허난 젠예 | 30 | 7 | 9 | 14 | 34 | 46 | -12 | 30 | |
| 15 | 옌볜 푸더 | 30 | 5 | 7 | 18 | 32 | 64 | -32 | 22 | 중국 갑급리그로 강등 |
| 16 | 랴오닝 훙윈 | 30 | 4 | 6 | 20 | 30 | 74 | -44 | 18 | 중국 갑급리그로 강등 |
'''순위 결정 규칙''':
1. 승점
2. 두 팀 간 승점
3. 두 팀 간 골득실차
4. 두 팀 간 다득점(원정 경기 득점 규칙 적용)
5. 2군 리그 승점
6. 전체 골득실차
7. 전체 다득점
8. 벌점[31]
- 상하이 선화는 중국 FA컵에서 우승하여 AFC 챔피언스 리그 2018 조별 리그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3]
5. 경기 결과
| width="200" | | 광저우 헝다 | 광저우 푸리 | 구이저우 헝펑 | 랴오닝 훙윈 | 베이징 궈안 | 산둥 루넝 | 상하이 선화 | 상하이 상강 | 옌볜 푸더 | 장쑤 쑤닝 | 창춘 야타이 | 충칭 리판 | 톈진 취안젠 | 톈진 터다 | 허난 젠예 | 허베이 화샤 |
|---|---|---|---|---|---|---|---|---|---|---|---|---|---|---|---|---|
| 광저우 헝다 | 2-2 | 5-1 | 2-1 | 2-1 | 2-1 | 3-2 | 3-2 | 4-3 | 2-1 | 3-1 | 2-0 | 3-0 | 1-2 | 2-1 | 2-0 | |
| 광저우 푸리 | 4-2 | 1-3 | 4-1 | 2-1 | 1-1 | 0-0 | 1-1 | 6-2 | 4-2 | 1-0 | 3-4 | 3-2 | 2-0 | 3-2 | 1-1 | |
| 구이저우 헝펑 | 0-2 | 2-0 | 1-1 | 1-1 | 3-0 | 0-2 | 2-1 | 1-2 | 2-2 | 2-3 | 1-0 | 0-0 | 2-1 | 2-1 | 4-3 | |
| 랴오닝 훙윈 | 0-3 | 1-4 | 0-1 | 2-4 | 1-4 | 3-3 | 3-1 | 3-1 | 1-0 | 2-1 | 1-1 | 1-2 | 1-2 | 1-2 | - | |
| 베이징 궈안 | 2-0 | 2-2 | 2-0 | 4-0 | 2-2 | 2-1 | 0-1 | 4-4 | 0-0 | 1-2 | 1-0 | 2-0 | 1-1 | 1-0 | 1-4 | |
| 산둥 루넝 | 2-1 | 3-0 | 2-2 | 3-1 | 1-0 | 5-0 | 2-1 | 1-1 | 0-0 | 3-2 | 1-1 | 2-0 | 1-2 | 3-2 | 5-4 | |
| 상하이 선화 | 0-3 | 3-1 | 0-3 | 8-1 | 1-2 | 0-0 | 1-3 | 5-1 | 4-0 | 1-1 | 2-2 | 1-2 | 1-1 | 1-2 | 3-2 | |
| 상하이 상강 | 2-2 | 1-2 | 3-0 | 4-1 | 5-1 | 2-1 | 6-1 | 2-0 | 2-3 | 5-1 | 3-2 | 3-1 | 0-0 | 3-1 | 3-0 | |
| 옌볜 푸더 | 1-3 | 0-1 | 3-0 | 1-0 | 1-2 | 1-1 | 0-2 | 1-3 | 0-4 | 1-0 | 0-4 | 3-1 | 0-2 | 1-2 | 1-1 | |
| 장쑤 쑤닝 | 2-2 | 1-2 | 0-1 | 4-0 | 1-0 | 2-1 | 2-2 | 0-1 | 1-1 | 0-1 | 1-2 | 0-0 | 1-0 | 2-2 | 1-2 | |
| 창춘 야타이 | 0-1 | 3-2 | 1-1 | 1-1 | 2-1 | 0-2 | 2-3 | 4-2 | 1-1 | 3-1 | 3-1 | 1-1 | 1-1 | 1-0 | 0-0 | |
| 충칭 리판 | 2-2 | 1-2 | 2-1 | 2-0 | 1-0 | 1-0 | 1-1 | 1-1 | 0-0 | 1-2 | 1-1 | 2-1 | 0-1 | 2-3 | 1-1 | |
| 톈진 취안젠 | 4-3 | 2-1 | 3-1 | 4-0 | 2-2 | 0-0 | 3-0 | 1-1 | 1-0 | 2-2 | 1-3 | 2-1 | 3-0 | 1-0 | 2-1 | |
| 톈진 터다 | 0-3 | 1-2 | 3-1 | 1-1 | 2-0 | 0-2 | 2-1 | 0-1 | 3-1 | 1-1 | 1-5 | 2-0 | 4-1 | 1-0 | 0-2 | |
| 허난 젠예 | 2-4 | 1-1 | 0-1 | 1-1 | 0-2 | 2-1 | 0-0 | 2-4 | 3-1 | 1-1 | 0-2 | 0-0 | 0-0 | 1-1 | 0-0 | |
| 허베이 화샤 | 3-0 | 2-1 | 1-0 | 2-0 | 2-0 | 0-0 | 4-2 | 2-2 | 3-0 | 3-2 | 2-1 | 1-2 | 4-0 | 1-0 | 2-3 |
6. 라운드별 순위
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