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참취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취족은 국화과의 한 족으로, 2024년 10월 기준 36개의 아족으로 분류된다. 주요 아족으로는 그랑게아아족, 데이지아족, 라게노포라아족 등이 있으며, 한국에는 참취속, 개망초속, 미국쑥부쟁이속, 미역취속 등이 자생한다. 참취족은 국화아과에 속하며, 2002년 파네로와 펑크의 연구에 기초하여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취족 - 데이지 (식물)
    데이지는 유럽 서부 원산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한국에서는 봄을 장식하는 대표적인 초화류이며, 꽃은 흰색, 분홍색, 홍색 등으로 피고 식용 및 약용으로도 활용된다.
  • 1819년 기재된 식물 - 길뚝개꽃족
    길뚝개꽃족은 국화과의 하위 분류군으로 왜떡쑥족과 함께 참취족과 자매 관계이며, 국화아과 내에서 특정한 계통학적 위치를 차지하는 다양한 아족과 속을 포함한다.
  • 1819년 기재된 식물 - 해바라기족
    해바라기족은 국화과의 큰 족으로, 해바라기, 돼지감자, 금계국, 코스모스 등 다양한 식물들을 포함하며 돼지풀과 같은 문제성 잡초도 속해 있고, 분류학적 연구가 진행 중이다.
참취족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Erigeron glaucus''
에리게론 글라우쿠스
학명Astereae Cass.
동의어Bellideae D.Don [인정되지 않음]
분류
상위 분류국화아과
본문 참조

2. 하위 분류

참취족은 여러 아족과 속으로 분류된다. 일부 속은 아직 특정 아족에 속하지 않고 분류가 불확실한 상태(incertae sedis)이다. 다음은 분류가 불확실한 속들의 목록이다.[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

속명명명자
AfroasterJ.C.Manning & Goldblatt
AllittiaP.S.Short
ApodocephalaBaker
AylacophoraCabrera
DoellingeriaNees
EricameriaNutt.
EucephalusNutt.
Eurybia(Cass.) Cass.
FormaniaW.W.Sm. & J.Small
HesperodoriaGreene
HeteroplexisC.C.Chang
HeterothalamusLess.
HullsiaP.S.Short
IonactisGreene
MadagasterG.L.Nesom
MairiaNees
NannoglottisMaxim.
NeobrachyactisBrouillet
NotopappusKlingenb.
OclemenaGreene
OreostemmaGreene
PembertoniaP.S.Short
PseudobaccharisCabrera
RhynchospermumReinw.
RoebuckiellaP.S.Short
SarcanthemumCass.
TalamancasterPruski
ToiyabeaR.P.Roberts, Urbatsch & Neubig
TonestusA.Nelson
TurczaninoviaDC.
VancleveaGreene
VernoniopsisDusén


2. 1. 주요 아족

2024년 10월 기준, 참취족은 36개의 인정된 아족으로 나뉜다.[3]

width="33%" |width="33%" |width="34%" |


2. 2. 한국 자생 주요 속


  • 개망초속 (''Erigeron'')
  • 미역취속 (''Solidago'')
  • 미역취아재비속 (''Euthamia'')
  • 과꽃속 (''Callistephus'')
  • 참취속 (''Aster'')
  • 갯개미취속 (''Tripolium'')

3.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32]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33][34][35] 국화아과 내에서 참취족은 길뚝개꽃족과 가장 가까운 유연 관계를 가지며, 이 두 족은 왜떡쑥족과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 이 분기군은 다시 금잔화족과 자매군 관계에 있다. 이 네 족을 포함하는 더 큰 분기군은 도로니쿰족과 금방망이족으로 이루어진 분기군과 자매 관계를 형성한다.

참조

[1] 간행물 Astereae null 2008-06-12
[2] 논문 ITS sequence data support a single origin for North American Astereae (Asteraceae) and reflect deep geographic divisions in Aster s.l. null
[3] 웹사이트 Astereae Cass. https://www.composit[...] 2024-10-13
[4] 웹사이트 Details for: Astereae http://ww2.bgbm.org/[...] Freie Universität Berlin 2008-06-12
[5] 웹사이트 null 2008-06-12
[6] 웹사이트 Genus ''Kippistia'' http://plantnet.rbgs[...] Royal Botanic Gardens, Sydney 2008-06-12
[7] 웹사이트 "''Polyarrhena'' Cass." http://www.ville-ge.[...] South African National Biodiversity Institute, the Conservatoire et Jardin botaniques de la Ville de Genève 2008-06-13
[8] 논문 187k. Asteraceae Martinov tribe Astereae Cassini http://www.efloras.o[...]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6-12
[9] 논문 ITS sequence data support a single origin for North American Astereae (Asteraceae) and reflect deep geographic divisions in Aster s.l. http://www.amjbot.or[...]
[10] 웹사이트 Details for: Astereae http://ww2.bgbm.org/[...] Freie Universität Berlin 2008-06-12
[11] 웹사이트 Genus ''Kippistia'' http://plantnet.rbgs[...] Royal Botanic Gardens, Sydney 2008-06-12
[12] 웹사이트 "''Polyarrhena'' Cass." http://www.ville-ge.[...] South African National Biodiversity Institute, the Conservatoire et Jardin botaniques de la Ville de Genève 2008-06-13
[13] 문서 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 88: 195–196 1819
[14] 문서 Genera Plantarum 2(1): 166, 176 1873
[15] 문서 Prodromus Florae Hispanicae 2: 30 1870
[16] 문서 Phytologia 76(3): 207 1994
[17] 문서 Phytologia 76(3): 208 1994
[18] 문서 Histoire Naturelle des Îles Canaries 3(2.2): 217 1844
[19] 문서 Phytologia 76(3): 211 1994
[20] 문서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4(5): 144, 145 1890
[21] 문서 Linnaea 5: 145 1830
[22] 문서 Sida 19(2): 266 2000
[23] 문서 Phytologia 76(3): 203 1994
[24] 문서 Sida 19(2): 265 2000
[25] 문서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66 1827
[26] 문서 Sida 19(2): 264 2000
[27] 문서 Phytologia 76(3): 203 1994
[28] 문서 Sida 19(2): 264–265 2000
[29] 문서 Phytologia 76(3): 209–210 1994
[30] 문서 Genera Plantarum 2(1): 165, 174 1873
[31] 문서 Webbia 24: 5 1969
[32] 저널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https://www.biodiver[...]
[33] 저널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03
[34] 저널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23
[35] 서적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https://botany.si.e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16-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