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원 웅천읍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원 웅천읍성은 경상남도 진해시 성내동에 위치한 평지성으로, 조선 세종 21년(1439)에 축조되었다. 1407년 일본과의 무역을 위해 항구를 개항했으나 일본인의 불법 이주가 증가하자 이를 막고 읍면을 보호하기 위해 읍성을 쌓았다. 문종 원년(1451)에는 왜구 침입에 대비해 수로를 확장했고, 중종 5년(1510) 삼포왜란으로 일시 함락, 임진왜란 때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주둔하기도 했다. 현재는 동·서벽, 동·서문터가 남아있고, 2011년 동문인 견룡루와 일부 성벽이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39년 완공된 건축물 - 스트라스부르 대성당
    스트라스부르 대성당은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고딕 양식의 대성당으로, 1176년 화재 이후 재건을 시작하여 1439년에 완공되었으며, 한때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고, 내부에는 다양한 예술 작품들이 보존되어 있다.
  • 창원시의 문화유산 -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은 약 1억 년 전 백악기 시대에 두 발로 걷는 초식 공룡 20여 마리가 남긴 400여 개의 발자국 화석으로, 공룡의 종류, 크기, 행동 양식, 사회적 행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지만 해수 침식과 훼손으로 보존 대책이 시급하다.
  • 창원시의 문화유산 - 창원 호계리 공룡발자국 화석
    창원 호계리 공룡발자국 화석은 경상남도 창원시 내서읍 중리에 있는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로, 내서분기점 옆 도로를 따라 샛길로 진입하여 고속도로 옆에서 관찰할 수 있다.
  • 대한민국의 읍성 - 기장읍성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위치한 기장읍성은 조선시대에 군사적, 행정적 기능 수행 및 주민 보호를 목적으로 축조된 읍성으로, 현재 장관청만 남아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8호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읍성 - 대구읍성
    대구읍성은 왜구 침략에 대비해 축성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파괴된 후 석성으로 재축성되었지만, 일본인들의 상권 확장과 도시 개발을 이유로 철거되었고, 이로 인해 대구의 상권이 일본인들에게 넘어가 조선인들의 상권이 쇠퇴했다.
창원 웅천읍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창원 웅천읍성
이름창원 웅천읍성
로마자 표기Changwon Ungcheon Eupseong
유형경상남도 기념물
지정 번호15
지정일1974년 12월 28일
주소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성내동
시대조선시대
소유자창원시
관리자창원시
수량일곽
꼬리표창원 성내동
문화재청 ID23,00150000,38

2. 역사

조선 세종 21년(1439)에 웅천읍성이 만들어졌다. 문종 원년(1451)에는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서·북에 수로를 만들어 성 일부를 확장하였다. 중종 5년(1510)에는 삼포왜란으로 일시 함락되기도 하였고, 임진왜란 때에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곳에 머물기도 했다.[1]

현재 성의 동벽과 서벽, 동문터, 서문터는 완전하게 남아 있으며, 동문터의 너비는 4m이다. 서벽과 남벽은 일부만 남아있고 북벽은 철거되었다. 성벽 기초 부분에는 네모진 돌을 쌓았으며, 그 위에 사각형 또는 삼각형 돌을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모양이 되게 쌓았다. 벽면은 땅과 수직으로 쌓았으며 큰 돌 사이사이에는 작은 돌을 끼웠다.[1]

2011년 동문인 견룡루와 동측 성벽, 남측 성벽 일부가 복원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총 길이는 500m이며, 동벽 북단의 남쪽 100m 쯤에 누각이 있던 자리도 남아 있다.[1]

2. 1. 축성 배경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하는 성을 말한다.

창원 웅천읍성은 경상남도 진해시 성내동에 있는 평지성으로, 조선 세종 21년(1439)년에 만들어졌다. 이곳은 1407년 일본과의 관계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항구를 열어 무역을 하던 곳인데, 일본인의 불법 이주가 많아지자 이를 막고 읍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읍성을 쌓았다.[1]

문종 원년(1451)에는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서·북에 수로를 만들어 성 일부를 확장하였다. 중종 5년(1510)에는 삼포왜란으로 일시 함락되기도 하였고, 임진왜란 때에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곳에 머물기도 했다.[1]

2. 2. 조선 전기

경상남도 진해시 성내동에 있는 평지성으로, 조선 세종 21년(1439)에 만들어졌다. 이곳은 1407년 일본과의 관계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항구를 열어 무역을 하던 곳인데, 일본인의 불법 이주가 많아지자 이를 막고 읍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읍성을 쌓았다.[1]

문종 원년(1451)에는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서·북에 수로를 만들어 성 일부를 확장하였다. 중종 5년(1510)에는 삼포왜란으로 일시 함락되기도 하였고, 임진왜란 때에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곳에 머물기도 했다.[1]

2. 3. 임진왜란과 그 이후

조선 중종 5년(1510) 삼포왜란으로 웅천읍성이 일시 함락되기도 하였고, 임진왜란 때에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곳에 머물기도 했다.[1]

3. 구조

읍성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하는 성을 말한다. 창원 웅천읍성은 이러한 읍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축조되었다.

3. 1. 성벽 및 성문

경상남도 진해시 성내동에 있는 평지성으로, 조선 세종 21년(1439)년에 만들어졌다. 이곳은 1407년 일본과의 관계 유지를 위해 항구를 열어 무역을 하던 곳인데, 일본인의 불법 이주가 많아지자 이를 막고 읍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읍성을 쌓았다.[1]

문종 원년(1451)에는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서·북에 수로를 만들어 성 일부를 확장하였다. 중종 5년(1510)에는 삼포왜란으로 일시 함락되기도 하였고, 임진왜란 때에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곳에 머물기도 했다.[1]

현재 성의 동벽과 서벽만, 동문터, 서문터와 함께 완전하게 남아 있으며, 동문터의 너비는 4m이다. 서벽과 남벽은 그 일부가 남아있고 북벽은 철거되었다. 성벽의 기초가 되는 부분에는 네모진 돌을 쌓았으며, 그 위에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돌을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모양이 되게 쌓았다. 벽면은 땅과 수직으로 쌓았으며 큰 돌 사이사이에는 작은 돌을 끼웠다.[1]

2011년 동문인 견룡루와 동측 성벽, 남측 성벽 일부가 복원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총 길이는 500m이고, 동벽 북단의 남쪽 100m 쯤에 누각이 있던 자리도 남아 있다.[1]

3. 2. 잔존 규모

현재 성의 동벽과 서벽은 동문 터, 서문 터와 함께 완전하게 남아 있으며, 동문 터의 너비는 4m이다. 서벽과 남벽은 그 일부가 남아 있고, 북벽은 철거되었다. 성벽의 기초 부분에는 네모진 돌을 쌓았으며, 그 위에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돌을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모양이 되게 쌓았다. 벽면은 땅과 수직으로 쌓았으며, 큰 돌 사이사이에 작은 돌을 끼웠다.

2011년 동문인 견룡루와 동측 성벽, 남측 성벽 일부가 복원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총 길이는 500m이며, 동벽 북단의 남쪽 100m 지점에 누각이 있던 자리도 남아 있다.

4. 현황

경상남도 진해시 성내동에 있는 평지성으로, 조선 세종 21년(1439)년에 만들어졌다.[1] 1407년 일본과의 관계 유지를 위해 항구를 열어 무역을 하던 곳인데, 일본인의 불법 이주가 많아지자 이를 막고 읍면을 보호하기 위해 읍성을 쌓았다.[1]

문종 원년(1451)에는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서·북에 수로를 만들어 성 일부를 확장하였다.[1] 중종 5년(1510) 삼포왜란으로 일시 함락되기도 하였고, 임진왜란고니시 유키나가가 이곳에 머물기도 했다.[1]

현재 동벽과 서벽, 동문터, 서문터만 완전하게 남아 있으며, 동문터의 너비는 4m이다.[1] 서벽과 남벽은 일부만 남아있고 북벽은 철거되었다.[1] 성벽 기초 부분에는 네모진 돌을 쌓았으며, 그 위에 사각형 또는 삼각형 돌을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모양이 되게 쌓았다.[1] 벽면은 땅과 수직으로 쌓았으며 큰 돌 사이사이에 작은 돌을 끼웠다.[1]

2011년 동문인 견룡루와 동측 성벽, 남측 성벽 일부가 복원되었다.[1] 현재 남아 있는 총 길이는 500m이며, 동벽 북단에서 남쪽으로 100m 쯤에 누각이 있던 자리도 남아 있다.[1]

참조

[1] 보고서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 1185번지 일원 내 梁山 架山里遺蹟 Ⅴ. 고찰 https://www.cha.go.k[...] 문화재청 2015-09-01
[1] 보고서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양산석산지구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http://www.feaci.or.[...]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