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정 1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정 1호는 중화인민공화국이 1965년 둥펑 4호(DF-4)를 기반으로 개발한 3단 로켓이다. 1970년 4월 24일 둥팡훙 1호를 탑재하여 최초 발사에 성공하며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사례를 기록했다.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운용되었으며, 창정 1호D는 창정 1호의 개량형으로 1995년 첫 발사에 성공했으나 2002년 세 번째 발사는 실패했다.
1965년 1월, 중화인민공화국 제7기계공업부가 DF-4를 기반으로 3단 로켓 개발 과제를 제시하면서 개발이 시작되었다.[6]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둥팡훙 1호를 탑재한 창정 1호 로켓은 1970년 4월 24일에 최초로 발사되었으며, 이는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성공 사례이다.[6] 1971년 3월 3일, 스젠 1호를 탑재한 창정 1호의 두 번째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창정 1호는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운용되었다.[6] 왕시지가 창정 1호 로켓의 수석 설계자였다.[6]
[6][7]
2. 역사
DF-4는 2단 액체연료 미사일이며, 창정 1호는 여기에 3단 고체연료 로켓을 추가한 것이다.
3. 제원
구분 창정 1호 창정 1호D 단수 3 3 전장 29.86m 28.22m 직경 2.25m 2.25m 날개폭 - 3.81m 총 중량 (발사 시) 81570kg 81075kg 추력 1020000N 1101.2 kN 추력 대 질량비 - 13.6 N/kg 탑재량 (LEO) 300kg * 930kg (회전) * 750kg (비회전)(300 km 원 궤도, 경사각 57 도) 궤도 진입 정확도 - * 이심률 0.001 - 0.005 * 궤도 경사각 편차 < 0.3 도 (300〜1000 km 원 궤도) 구분 제1단 제2단 제3단 제1단 제2단 제3단 전장 17.835m 7.486m 4.565m 19.735m 6.037m 1.696m 직경 - - - - - 2.054m 중량 65250kg 13550kg 2200kg 65040kg 13490kg 1315kg 구조물 - - - 4080kg 1100kg 523kg 연료 중량 61070kg 11210kg 1800kg 60860kg 12380kg 792kg (액체 147kg, 고체 645kg) 엔진 - - - YF-2A YF-40 (2기) 고체 엔진 FG-36 연료 - - - HNO3-27S/UDMH N2O4/UDMH - 이륙 추력 (해면) - - - 1101.2kN - - 진공 추력 - - - - 100.86kN - 비추력 (N·s/kg) - - - 2378 2981.2 - 연소 시간 (s) - - - ~132 360 -
창정 1호와 창정 1호D의 제원은 위 표와 같다. 창정 1호는 3단 로켓으로, 전장 29.86m, 직경 2.25m, 총 중량 81570kg, 추력 1020000N이며, 저궤도에 300kg의 탑재체를 올릴 수 있다. 창정 1호D는 창정 1호를 개량한 것으로, 전장 28.22m, 직경은 동일, 날개폭 3.81m, 총 중량 81075kg, 추력 1101.2kN, 추력 대 질량비 13.6N/kg이다. 창정 1호D는 회전 시 930kg, 비회전 시 750kg의 탑재체를 300km 원 궤도(경사각 57도)에 올릴 수 있으며, 궤도 진입 정확도는 이심률 0.001 - 0.005, 궤도 경사각 편차 0.3도 미만(300~1000km 원 궤도)이다. 각 단의 세부 제원은 표에 상세히 나와있다.
3. 1. 창정 1호
1965년 1월 개발을 시작했다. 1970년 4월 24일,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무게 173kg의 동방홍 1호 인공위성을 싣고 최초 발사되었다. 중국 최초의 자력발사 인공위성이다.[1]
무게 81톤, 1단 UDMH/질산 추력 110톤, 2단 UDMH/질산 추력 30톤, 3단 고체연료 추력 13톤을 사용하는데, 무게와 1, 2, 3단의 구성이 대포동 2호와 매우 유사하다.[2]
YF-1 엔진은 UDMH/질산 추력 30톤 엔진인데, 이것을 4개 묶어서 YF-2 엔진이라고 부른다. 대포동 2호도 UDMH/질산 추력 30톤 엔진 4개를 묶어서 1단으로 사용한다.[3]
DF-4 ICBM은 2단 액체연료 미사일인데, 여기에 3단 고체연료 로켓을 추가한 것이다. DF-4 ICBM은 중국 최초의 ICBM이며, 2.19톤 3.3 메가톤 열핵탄두, 사거리 5,500km이다. 1981년에 실전 배치를 시작했으며, 모두 10발이 생산되었다.[4]
1965년에 연구가 시작되었다. 둥펑 4호형 IRBM을 기반으로 하여, 제3단용 고체 로켓 모터를 새롭게 개발했다. 1970년 4월 24일,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둥팡훙 1호를 발사했다. 1971년에 2번째 발사를 실시한 후 사용되지 않았다.[5]구분 내용 단수 3 전장 29.86 m 직경 2.250 m 총 중량 (발사 시) 81,570 kg 추력 1,020,000 N 탑재량 (LEO) 300 kg 구분 제1단 제2단 제3단 전장 17.835 m 7.486 m 4.565 m 중량 65,250 kg 13,550 kg 2,200 kg 연료 중량 61,070 kg 11,210 kg 1,800 kg 3. 2. 창정 1호D
1995년 5월에 첫 발사가 성공했다. 1997년에 두 번째 발사에 성공했으며, 2002년의 세 번째 발사는 실패하여[7], 이후 사용되지 않았다.
창정 1호D는 창정 1호의 단을 개량한 형으로, 중국 우주 기구의 우주선 발사에 사용된다. 주로 1단 엔진을 1020kN에서 1101.2kN으로 변경하고, 2단과 3단도 성능을 개선했다. 이 개량된 창정 1호D는 다양한 저궤도 위성을 발사할 수 있으며, 위성의 자세를 회전 또는 비회전 상태로 할 수 있다.
| 구분 | 1단 | 2단 | 3단 |
|---|---|---|---|
| 전장 (m) | 19.735m | 6.037m | 1.696m |
| 직경 (m) | 2.25m | 2.25m | 2.054m |
| 단 질량 (kg) | 65040kg | 13490kg | 1315kg |
| 구조물 (kg) | 4080kg | 1100kg | 523kg |
| 연료 (kg) | 60860kg | 12380kg | 792kg (액체 147kg, 고체 645kg) |
| 엔진 | YF-2A | YF-40 (2기) | 고체 엔진 FG-36 |
| 연료 | HNO3-27S/UDMH | N2O4/UDMH | - |
| 이륙 추력 (해면) | 1101.2kN | - | - |
| 진공 추력 | - | 100.86kN | - |
| 비추력 (N·s/kg) | 2378 | 2981.2 | - |
| 연소 시간 (s) | ~132 | 360 | - |
- 단 수: 3
- 전장: 28.22m
- 날개 폭: 3.81m
- 이륙 시 질량: 81075kg
- 이륙 시 추력: 1101.2kN
- 추력 대 질량비: 13.6 N/kg
- 탑재량
- 930kg (회전)
- 750kg (비회전)(300 km 원 궤도, 경사각 57 도)
- 궤도 진입 정확도
- 이심률 0.001 - 0.005
- 궤도 경사각 편차 < 0.3 도 (300〜1000 km 원 궤도)
4. 발사 기록
13:35
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