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는 카자흐스탄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1936년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에서 시작되어, 1992년 카자흐스탄 독립 이후 현재의 프리미어리그가 출범했다. 리그는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FC 아스타나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역대 최다 득점자는 누르볼 주마스칼리예프이며, 매 시즌 우승팀, 준우승팀, 3위 팀, 득점왕, 최우수 선수를 배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J1리그
J1리그는 1965년 일본 사커 리그로 시작하여 1993년 프로 리그로 출범한 일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2024년 기준 20개 팀이 참가하고, 상위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하위 팀은 J2리그로 강등된다. - 유럽의 축구 1부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유럽의 축구 1부 리그 - 라리가
라리가는 스페인의 프로축구 1부 리그로, 20개 구단이 더블 리그 방식으로 총 38경기를 치르며, 상위 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에 진출하고, 하위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된다.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
---|---|
기본 정보 | |
국가 | 카자흐스탄 |
대륙 | UEFA (유럽) |
창립 연도 | 1992년 |
참가 팀 수 | 13 |
강등 | 퍼스트디비전 |
리그 등급 | 1 |
국내 컵 | 카자흐스탄 컵 카자흐스탄 슈퍼컵 |
대륙 컵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 |
최근 우승 팀 | 카이라트 (4번째 우승) |
최근 시즌 | 2024 |
최다 우승 팀 | 아스타나 (7회 우승) |
웹사이트 | qfl.kz |
현재 시즌 | 2025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
미디어 | |
국내 방송 | Qazsport |
국제 방송 | Eleven Sports OneFootball |
명칭 | |
일본어 | プレミアリーグ |
러시아어 | Премьер-лига |
2. 역사
2. 1. 소련 시절
1936년부터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에서 스포츠 협회 및 기관 간의 축구 대회가 열렸다.[4][5][6][7][8][9][10] 1980년부터는 소련 2부 리그에 참가하는 "마스터 팀"(프로 팀)에게도 카자흐스탄 챔피언 타이틀이 수여되었다. FC 카이라트는 소련 톱 리그에서 활약한 유일한 카자흐스탄 클럽이었다.카자흐 SSR 챔피언 목록:
연도 | 팀명 | 비고 |
---|---|---|
1936 | 알마아티 시 | |
1937 | 디나모 알마아타 | |
1938 | 디나모 알마아타 | |
1939–45 | 선수권 없음 | |
1946 | 디나모 알마아타 | |
1947 | 로코모티프 잠불 | |
1948 | 트루도비에 레제르비 알마아타 | |
1949 | 디나모 카라간다 | |
1950 | 알마아티 시 | |
1951 | 멜리오라토르 침켄트 | |
1952 | 멜리오라토르 침켄트 | |
1953 | 멜리오라토르 침켄트 | |
1954 | 디나모 알마아타 | |
1955 | 디나모 알마아타 | |
1956 | 알마아티 시 | |
1957 | 스트로이텔 알마아타 | |
1958 | 스파르타크 알마아타 | |
1959 | 스파르타크 알마아타 | |
1960 | 옌베크 구리예프 | |
1961 | 아방가르드 페트로파블롭스크 | |
1962 | ADK 알마아타 | |
1963 | 첼리니크 세미팔라틴스크 | |
1964 | ADK 알마아타 | |
1965 | ADK 알마아타 | |
1966 | 악튜빈에츠 악튜빈스크 | |
1967 | 토르페도 코크체타프 | |
1968 | 고르냐크 제즈카간 | |
1969 | 샤흐트요르 사라니 | |
1970 | 스트로이텔 테미르타우 | |
1971 | 옌베크 제즈카간 | |
1972 | 트락토르 파블로다르 | |
1973 | 옌베크 제즈카간 | |
1974 | 고르냐크 니콜스키 | |
1975 | 멜리오라토르 침켄트 | |
1976 | 키미크 스테프노고르스크 | |
1977 | 키미크 스테프노고르스크 | |
1978 | 트루드 셰브첸코 | |
1979 | 키미크 스테프노고르스크 | |
1980 | 멜리오라토르 침켄트 | |
1981 | 부레베스니크 쿠스타나이 악튜빈에츠 악튜빈스크 | 3부 리그 7구역 3부 리그 |
1982 | 샤흐테르 카라간다 | 3부 리그 8구역 |
1983 | 샤흐테르 카라간다 | 3부 리그 8구역 |
1984 | 첼리니크 첼리노그라드 | 3부 리그 8구역 |
1985 | 멜리오라토르 침켄트 | 3부 리그 8구역 |
1986 | 멜리오라토르 침켄트 | 3부 리그 8구역 |
1987 | 멜리오라토르 침켄트 | 3부 리그 8구역 |
1988 | 트락토르 파블로다르 | 3부 리그 8구역 |
1989 | 트락토르 파블로다르 | 3부 리그 8구역 |
1990 | 보스토크 우스트카메노고르스크 | 4부 리그 8구역 |
1991 | 악튜빈에츠 악튜빈스크 | 4부 리그 8구역 |
2. 2. 독립 이후
1992년 카자흐스탄 독립 이후,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가 설립되었다. 리그는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1992년부터 2001년까지는 ''톱 디비전'', 2002년부터 2007년까지는 ''슈퍼 리그'', 2008년부터 현재까지는 '''프리미어 리그'''로 불리고 있다.초창기 리그는 이르티쉬, 엘리마이, 타라즈 등이 주도했다. 이르티쉬는 1993년, 1997년, 1999년, 2002년, 2003년에 우승하며 초반 강세를 보였고, 엘리마이는 1994년, 1995년, 1998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타라즈는 1996년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악토베, 아스타나, 카이라트 등이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다. 악토베는 2005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3년에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를 대표하는 강팀으로 자리매김했고, 아스타나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6년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며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 역사상 가장 강력한 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카이라트는 1992년, 2004년, 그리고 2020년에 우승을 차지하며 꾸준한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
3. 리그 구성
3. 1. 2024 시즌 참가 클럽
2024 시즌에는 14개 클럽이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고 있다.팀 | 연고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악토베 | 악토베 | 악토베 중앙 경기장 또는 ODSYUSHOR №8 | 14,500 |
아스타나 | 아스타나 | 아스타나 아레나 | 30,244 |
아티라 | 아티라 | 무나이쉬 경기장 | 8,690 |
제니스 | 아스타나 | 아스타나 아레나 | 30,244 |
카이라트 | 알마티 | 알마티 중앙 경기장 | 23,804 |
막타아랄 | 막타아랄 | 알파미스 바티르 경기장 | 4,229 |
카이사르 | 키질로르다 | 가니 무라트바예프 경기장 | 7,500 |
키질자르 | 페트로파블 | 카라사이 경기장 | 11,000 |
오르다바시 | 심켄트 | 카짐칸 무나이트파소프 경기장 | 25,000 |
샤흐테르 | 카라간다 | 샤흐테르 경기장 (카라간다) | 19,000 |
엘리마이 | 세메이 | 스파르타크 경기장 | 8,000 |
토볼 | 코스타나이 | 코스타나이 중앙 경기장 | 10,500 |
투란 | 투르키스탄 | 투르키스탄 아레나 | 7,000 |
제티수 | 탈디코르간 | 제티수 경기장 | 4,500 |
4. 역대 기록
; 2022 시즌 종료 시점
# | 클럽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0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1위 | 2위 | 3위 | 컵 | SC | FD | 합계 |
---|---|---|---|---|---|---|---|---|---|---|---|---|---|---|---|---|---|---|---|---|---|---|---|---|---|---|---|---|---|---|---|---|---|---|---|---|---|---|---|
1 | 아스타나 | colspan="17"| | 2 | 4 | 4 | 5 | 2 | 1 | 1 | 1 | 1 | 1 | 1 | 1 | 3 | 2 | 1 | 7 | 3 | 1 | 3 | 3 | 17 | ||||||||||||||||
2 | 이르티시 | 3 | 1 | 2 | 7 | 2 | 1 | 3 | 1 | 3 | 4 | 1 | 1 | 2 | 5 | 6 | 4 | 3 | 9 | 3 | 5 | 2 | 6 | 10 | 6 | 3 | 4 | 10 | 8 | 12 | colspan="2"| | 5 | 4 | 6 | 1 | 16 | |||
3 | 악토베 | 12 | 9 | 4 | 14 | 10 | 11 | colspan="3"| | 8 | 5 | 5 | 4 | 1 | 2 | 1 | 1 | 1 | 2 | 3 | 3 | 1 | 2 | 3 | 6 | 9 | 7 | 12 | 7 | 2 | 5 | 3 | 4 | 1 | 3 | 1 | 17 | |||
4 | 카이라트 | 1 | 11 | 11 | 9 | 6 | 3 | 3 | 4 | 5 | 7 | 7 | 1 | 3 | 7 | 13 | 10 | 10 | 11 | 10 | 3 | 3 | 2 | 2 | 2 | 2 | 2 | 1 | 3 | 4 | 3 | 5 | 6 | 9 | 1 | 1 | 25 | ||
5 | FC 아스타나-1964 | 9 | 12 | 14 | 10 | 13 | 9 | 6 | 4 | 1 | 1 | 4 | 3 | 10 | 8 | 1 | 8 | 11 | colspan="14"| | 3 | 1 | 3 | 7 | ||||||||||||||||
6 | 세메이 | 14 | 17 | 1 | 1 | 3 | 7 | 1 | 9 | 8 | 7 | 8 | 9 | 19 | colspan="9"| | 12 | colspan="8"| | 3 | 1 | 1 | 5 | ||||||||||||||||||
7 | 토볼 | 13 | 8 | 10 | 12 | 11 | colspan="2"| | 8 | 7 | 6 | 3 | 2 | 3 | 2 | 3 | 2 | 2 | 4 | 1 | 7 | 6 | 7 | 7 | 7 | 7 | 5 | 3 | 4 | 2 | 1 | 3 | 2 | 5 | 5 | 1 | 13 | |||
8 | 샤흐툐르 | 7 | 6 | 6 | 3 | 8 | 4 | 9 | 10 | 5 | 12 | 6 | 10 | 9 | 4 | 4 | 3 | 7 | 3 | 6 | 1 | 1 | 4 | 6 | 10 | 9 | 7 | 8 | 9 | 4 | 6 | 7 | 2 | 3 | 1 | 1 | 7 | ||
9 | 타라즈 | 5 | 14 | 8 | 2 | 1 | 2 | 10 | 14 | 11 | 15 | 12 | 7 | 11 | 10 | 16 | 8 | 9 | 9 | 4 | 10 | 11 | 9 | 11 | 11 | 10 | 8 | 10 | 12 | 1 | 2 | 1 | 4 | ||||||
10 | 키질자르 | 19 | colspan="6"| | 2 | 2 | 3 | 9 | 11 | 6 | 7 | 12 | 11 | 13 | 14 | colspan="8"| | 11 | 9 | 4 | 10 | 2 | 1 | 1 | 4 | ||||||||||||||||
11 | 아티라우 | colspan="9"| | 2 | 2 | 4 | 5 | 10 | 14 | 14 | 15 | 6 | 5 | 10 | 11 | 8 | 9 | 5 | 8 | 8 | 9 | 11 | 11 | 11 | 2 | 1 | 3 | |||||||||||||
12 | 에키바스투제츠 | 4 | 2 | 9 | 11 | 5 | 6 | 2 | 11 | 16 | 13 | 15 | 8 | 12 | 8 | 12 | colspan="13"| | 2 | 1 | 3 | |||||||||||||||||||
13 | 오르다바시 | 2 | 4 | 3 | 4 | 14 | 10 | 11 | 6 | 13 | 16 | 6 | 14 | 6 | 13 | 9 | 12 | 7 | 8 | 6 | 7 | 5 | 14 | 4 | 4 | 3 | 4 | 3 | 5 | 5 | 5 | 1 | 3 | 1 | 1 | 2 | 8 | ||
14 | 제티수 | 21 | 25 | 6 | 9 | 15 | 13 | 14 | 8 | 13 | 15 | 5 | 6 | 5 | 7 | 2 | 12 | 9 | 8 | 11 | 12 | 6 | 5 | 6 | 14 | 1 | 2 | 3 | |||||||||||
15 | 고르냑 | 8 | 3 | 13 | 5 | colspan="25"| | 1 | 1 | |||||||||||||||||||||||||||||||
16 | 카이사르 | 10 | 21 | colspan="2"| | 7 | 8 | 4 | 5 | 6 | 11 | 10 | 13 | 16 | 15 | 10 | 4 | 13 | 8 | 9 | 5 | 12 | 6 | 5 | 6 | 7 | 13 | 2 | 4 | 6 | ||||||||||
17 | 보스토크 | 11 | 10 | 12 | 8 | 12 | 5 | 5 | 7 | 11 | 9 | 11 | 14 | 12 | 14 | 9 | 7 | 16 | 10 | 12 | 11 | colspan="7"| | 1 | 1 | 2 | ||||||||||||||
18 | 카스피이 | 15 | 20 | 16 | 4 | colspan="4"| | 17 | colspan="18"| | 10 | 8 | 9 | 1 | 1 | ||||||||||||||||||||||||||
19 | 옥제트페스 | 20 | colspan="3"| | 18 | 11 | 8 | 16 | 10 | 10 | 12 | 17 | 11 | 9 | 11 | 15 | 9 | 11 | 12 | 14 | colspan="2"| | 8 | 5 | 12 | 7 | 11 | 2 | 2 | ||||||||||||
20 | 악자이크 | 16 | 16 | 16 | colspan="3"| | 14 | colspan="4"| | 16 | 17 | colspan="5"| | 11 | 8 | 12 | colspan="3"| | 10 | 12 | colspan="2"| | 9 | 14 | 1 | 1 | ||||||||||||||||||
21 | 투란 | colspan="29"| | 12 | 13 | |||||||||||||||||||||||||||||||||||
22 | 악수 | colspan="30"| | 6 | ||||||||||||||||||||||||||||||||||||
23 | 막타아랄 | colspan="30"| | 8 |
== 우승 클럽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에서 최다 우승 클럽은 아스타나(7회)이다. FC 악토베와 이르티쉬가 각각 5회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카이라트 (4회), 엘리마이, 제니스 (각 3회), 토볼, 샤흐테르 (각 2회), 타라즈, 오르다바시 (각 1회)가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
아스타나 | 7 | 5 |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2 |
악토베 | 5 | 4 | 2005, 2007, 2008, 2009, 2013 |
이르티쉬 | 5 | 4 | 1993, 1997, 1999, 2002, 2003 |
카이라트 | 4 | 5 | 1992, 2004, 2020, 2024 |
엘리마이 | 3 | – | 1994, 1995, 1998 |
제니스 | 3 | – | 2000, 2001, 2006 |
토볼 | 2 | 5 | 2010, 2021 |
샤흐테르 | 2 | – | 2011, 2012 |
타라즈 | 1 | 2 | 1996 |
오르다바시 | 1 | 1 | 2023 |
에키바스투제츠 | align=center| | 2 | |
키질자르 | align=center| | 2 | |
아티라우 | align=center| | 2 | |
제티수 | align=center| | 1 | |
합계 | 32 | 32 | | |
== 역대 최다 득점자 ==
순위 | 선수 | 경기 | 골 |
---|---|---|---|
1 | 누르볼 주마스칼리예프 | 405 | 157 |
2 | 올레크 리트비넨코 | 311 | 147 |
3 | 누르켄 마즈바예프 | 400 | 142 |
4 | 무라트 틸레셰프 | 303 | 138 |
5 | 안드레이 미로시니첸코 | 242 | 115 |
6 | 울루그베크 바카예프/Ulugbek Bakayevuz | 183 | 109 |
7 | 안드레이 피논첸코 | 274 | 98 |
8 | 알렉산드르 샤츠키흐 | 275 | 96 |
9 | 루슬란 이만쿨로프 | 366 | 96 |
10 | 카이라트 아우바키로프 | 302 | 94 |
11 | 블라디미르 로기노프 | 339 | 87 |
12 | 빅토르 안토노프 | 207 | 86 |
13 | 루슬란 두즈맘베토프 | 230 | 86 |
2014 시즌 종료 기준. |
2014년 시즌 종료 기준으로, 누르볼 주마스칼리예프가 405경기 157골로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올레크 리트비넨코 (311경기 147골), 누르켄 마즈바예프 (400경기 142골)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외국인 선수 중에는 우즈베키스탄의 울루그베크 바카예프/Ulugbek Bakayevuz가 183경기 109골로 가장 많은 골을 기록했다.
== 역대 시즌별 결과 ==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의 역대 시즌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득점왕 !! 최우수 선수
|-
| 1992
|| 카이라트 || SKIF 오르다바시 || 이르티시
| 세르게이 코가이(카이사르) - 21
| 세르게이 보르긴(카이라트)
|-
| 1993
| 이르티시 || 에키바스투제츠 || 고르냑
| 알렉산드르 슈마리코프(타라즈) - 28
| 니콜라이 쿠르간스키(에키바스투제츠)
|-
| 1994
| rowspan="2" | 세메이 || 이르티시 || 오르다바시
| 올레그 리트비넨코(타라즈) - 20
| 카나트 무사타예프(SKIF 오르다바시)
|-
| 1995 || 타라즈 || 샤흐툐르
| 안드레이 미로슈니첸코(세메이) - 23
| 안드레이 미로슈니첸코(세메이)
|-
| 1996
| 타라즈 || 이르티시 || 세메이
| 빅토르 안토노프(이르티시) - 21
| rowspan="3" | 올레그 보스코이니코프(타라즈)
|-
| 1997 || 이르티시 || 타라즈 || 카이라트
| 누르켄 마즈바예프(타라즈) - 16
|-
| 1998
| 세메이 || 에키바스투제츠 || 이르티시
| 올레그 리트비넨코(세메이) - 14
|-
| 1999 || 이르티시 || rowspan="2" | 키질자르 || 카이라트
| 라제프무라트 아가바예프(카이라트) - 24
| rowspan="2" | 이고리 아브데예프(키질자르)
|-
| 2000
| rowspan="2" | 아스타나-1964
(제니스) || 이르티시
| 니우톤 페레이라 멘데스(이르티시) - 21
|-
| 2001 || rowspan="2" | 아티라우 || 키질자르
| 아르센 트레호프(아스타나) - 30
| 아르센 트레호프(아스타나)
|-
| 2002 || rowspan="2" | 이르티시 || 토볼
| 예브게니 루네프(샤흐툐르) - 16
| 예브게니 로프체프(아스타나)
|-
| 2003 || 토볼 || 아스타나
| 안드레이 피논첸코(샤흐툐르) - 18
| 누르볼 즈마스칼리에프(토볼)
|-
| 2004
| 카이라트 || 이르티시 || 토볼
| 우르그베크 바카예프(토볼) - 22 아르센 트레호프(카이라트) - 22
| 사마트 스마코프(카이라트)
|-
| 2005
| 악토베 || 토볼 || 카이라트
| 무라트 트레셰프(이르티시) - 20
| 누르볼 즈마스칼리에프(토볼)
|-
| 2006
| 아스타나-1964
(아스타나) || 악토베 || 토볼
| 자파르 이리스메토프(알마 아타) - 17
| 다비드 로리아(아스타나)
|-
| 2007 || rowspan="3" | 악토베 || rowspan="2" | 토볼 || 샤흐툐르
| 자파르 이리스메토프(알마 아타) - 17
| rowspan="3" | 사마트 스마코프(악토베)
|-
| 2008 || 이르티시 || 무라트 트레셰프(이르티시) - 13
|-
| 2009 || 로코모티프 || 샤흐툐르
| 무라트 트레셰프(악토베) - 18 블라디미르 바이라모프(토볼) - 18
|-
| 2010 || 토볼 || 악토베 || 이르티시
| 우르그베크 바카예프(토볼) - 16
| 누르볼 즈마스칼리에프(토볼)
|-
| 2011 || rowspan="2" | 샤흐툐르 || 제티수 || rowspan="2" | 악토베
| 우르그베크 바카예프(제티수) - 18
| 울란 코니스바예프(샤흐툐르)
|-
| 2012 || 이르티시
| 우르그베크 바카예프(이르티시) - 18
| 우르그베크 바카예프(
4. 1. 우승 클럽
카자흐스탄 프리미어리그에서 최다 우승 클럽은 아스타나(7회)이다. FC 악토베와 이르티쉬가 각각 5회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카이라트 (4회), 엘리마이, 제니스 (각 3회), 토볼, 샤흐테르 (각 2회), 타라즈, 오르다바시 (각 1회)가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
아스타나 | 7 | 5 |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2 |
악토베 | 5 | 4 | 2005, 2007, 2008, 2009, 2013 |
이르티쉬 | 5 | 4 | 1993, 1997, 1999, 2002, 2003 |
카이라트 | 4 | 5 | 1992, 2004, 2020, 2024 |
엘리마이 | 3 | – | 1994, 1995, 1998 |
제니스 | 3 | – | 2000, 2001, 2006 |
토볼 | 2 | 5 | 2010, 2021 |
샤흐테르 | 2 | – | 2011, 2012 |
타라즈 | 1 | 2 | 1996 |
오르다바시 | 1 | 1 | 2023 |
에키바스투제츠 | align=center| | 2 | |
키질자르 | align=center| | 2 | |
아티라우 | align=center| | 2 | |
제티수 | align=center| | 1 | |
합계 | 32 | 32 | | |
4. 2. 역대 최다 득점자
순위 | 선수 | 경기 | 골 |
---|---|---|---|
1 | 누르볼 주마스칼리예프 | 405 | 157 |
2 | 올레크 리트비넨코 | 311 | 147 |
3 | 누르켄 마즈바예프 | 400 | 142 |
4 | 무라트 틸레셰프 | 303 | 138 |
5 | 안드레이 미로시니첸코 | 242 | 115 |
6 | 울루그베크 바카예프/Ulugbek Bakayevuz | 183 | 109 |
7 | 안드레이 피논첸코 | 274 | 98 |
8 | 알렉산드르 샤츠키흐 | 275 | 96 |
9 | 루슬란 이만쿨로프 | 366 | 96 |
10 | 카이라트 아우바키로프 | 302 | 94 |
11 | 블라디미르 로기노프 | 339 | 87 |
12 | 빅토르 안토노프 | 207 | 86 |
13 | 루슬란 두즈맘베토프 | 230 | 86 |
2014 시즌 종료 기준. |
2014년 시즌 종료 기준으로, 누르볼 주마스칼리예프가 405경기 157골로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올레크 리트비넨코 (311경기 147골), 누르켄 마즈바예프 (400경기 142골)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외국인 선수 중에는 우즈베키스탄의 울루그베크 바카예프/Ulugbek Bakayevuz가 183경기 109골로 가장 많은 골을 기록했다.
4. 3. 역대 시즌별 결과
(제니스)(아스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