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라일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라일 전투는 1863년 7월 1일, 남북 전쟁 중 펜실베이니아주 칼라일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남부 연합군 기병대 지휘관 젭 스튜어트는 보급품 확보와 북부 연합군 부대 위치 파악을 위해 칼라일을 공격했으나, 수적으로 열세인 북군 민병대의 저항에 직면했다. 스튜어트는 마을 점령에 실패하고 칼라일 병영에 불을 지른 후 게티즈버그 전투에 합류하기 위해 철수했다. 전투로 인해 제재소와 가스 공장이 파괴되었으며, 양측의 사상자는 미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3년 7월 - 매너서스 갭 전투
    매너서스 갭 전투는 1863년 7월 23일, 겟티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한 남부군을 차단하려는 북군의 시도로 벌어졌으나, 결정적인 승패 없이 종료되어 남부군이 셰넌도어 계곡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게 된 전투이다.
  • 1863년 7월 - 게티즈버그 전역
    게티즈버그 전역은 1863년 6월부터 7월까지 남북 전쟁 중 로버트 E. 리 장군이 이끄는 남부 연합군이 북부를 침공하여 벌어진 일련의 군사 작전으로,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북군이 승리하며 남군의 북부 침공을 저지하고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 1863년 전투 - 매너서스 갭 전투
    매너서스 갭 전투는 1863년 7월 23일, 겟티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한 남부군을 차단하려는 북군의 시도로 벌어졌으나, 결정적인 승패 없이 종료되어 남부군이 셰넌도어 계곡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게 된 전투이다.
  • 1863년 전투 - 빅스버그 전투
    빅스버그 전투는 1863년 미시시피 강변의 빅스버그를 점령하기 위한 남북 전쟁의 주요 전투이며, 북군의 승리로 끝나 미시시피 강을 장악하고 남부 연합을 분단시켰으며 남북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 게티즈버그 전역 - 매너서스 갭 전투
    매너서스 갭 전투는 1863년 7월 23일, 겟티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한 남부군을 차단하려는 북군의 시도로 벌어졌으나, 결정적인 승패 없이 종료되어 남부군이 셰넌도어 계곡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게 된 전투이다.
  • 게티즈버그 전역 - 게티즈버그 연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게티즈버그 국립묘지 헌정식에서 남북전쟁의 의미를 되짚고 국가의 미래를 다짐하며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라는 명구절을 남긴 짧지만 강렬한 연설이 게티즈버그 연설이다.
칼라일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명칭칼라일 전투 (Battle of Carlisle)
부분전게티즈버그 전역
날짜1863년 7월 1일
장소펜실베이니아주 칼라일
결과불분명
좌표40.2011, -77.1845
교전 세력
교전국 1북부연방
교전국 2남부동맹
지휘관
북부연방 지휘관윌리엄 F. 스미스
남부동맹 지휘관젭 스튜어트
병력 규모
북부연방 병력펜실베이니아 및 뉴욕 주 민병대 (약 1,000명)
남부동맹 병력3개 기병 여단 (예: 피츠휴 리 여단)
피해 규모
북부연방 피해사망 1명, 부상 12명
남부동맹 피해사상자 8명

2. 배경

펜실베이니아주 컴버랜드 계곡에 위치한 칼라일은 주도인 해리스버그와 가까운 곳에 자리 잡고 있다. 1751년에 정착촌이 형성되었으며, 프렌치 인디언 전쟁 중이던 1757년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칼라일 막사가 세워졌다. 이후 1838년에는 미국 육군 기병 학교가 이곳에 설립되면서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남북 전쟁 발발 후인 1861년 5월 6일, 스토니먼 대위가 이끄는 부대가 호너의 제분소에 야영지를 설치하기도 했다.[1] 하지만 1863년 6월경, 칼라일 막사에 주둔하던 미국 육군 기병대는 해리스버그로 철수한 상태였다.[2]

1863년 6월 27일, 남부 연합군의 리처드 S. 이월 중장이 이끄는 북버지니아군 제2군단이 해리스버그로 진격하던 중 칼라일을 점령했다. 과거 미국 육군 시절 칼라일 막사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던 이월은 지역 주민들로부터 보급품과 마초, 식량을 징발했다. 그는 앨버트 G. 젠킨스 준장의 기병 여단을 서스퀘해나 강과 해리스버그 방면으로 먼저 보낸 뒤, 나머지 병력과 함께 칼라일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다음 날 아침, 이월은 주도 점령을 목표로 북쪽으로 이동했다.

리 장군의 명령에 따라 남군이 게티즈버그 방면으로 이동하자, 칼라일은 다시 북군에게 넘어갔다. 서스퀘해나 군관구 사령관 대리어스 N. 카우치 소장의 지시에 따라 밸디 스미스가 이끄는 뉴욕주펜실베이니아주 민병대가 칼라일을 재점령했다. 스미스 부대는 제32 및 제33 펜실베이니아 민병대, 랜디스의 필라델피아 민병 포병대, 제1 뉴욕 기병대의 1개 중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3. 젭 스튜어트의 기습

7월 1일 초저녁, 젭 스튜어트 소장이 이끄는 남군 기병 2개 여단은 메릴랜드주펜실베이니아주에서의 기습 작전을 마치고 보급품 확보와 이월 부대의 위치 파악을 위해 칼라일로 향했다.[3] 웨이드 햄프턴 휘하의 세 번째 여단은 요크 군에 남아 연방 보급 수레를 지키고 있었다. 칼라일에 도착한 스튜어트 부대는 이월 대신 윌리엄 F. "밸디" 스미스가 지휘하는 북군 민병대와 마주쳤다.

스튜어트의 기병대는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한 달간의 작전으로 지쳐 있었고 처음에는 상대가 포토맥군의 정규군일 것을 우려했다. 그러나 스미스의 부대가 민병대임을 확인한 스튜어트는 피츠휴 리 소장에게 백기를 들고 가 스미스에게 마을을 비우거나 여자와 아이들을 대피시키라고 요구하도록 지시했다. 스미스는 여자와 아이들은 이미 대피시켰다고 답하며 항복을 거부했다.

이에 스튜어트는 제임스 브레드 대위가 이끄는 기마 포병대에 포격을 명령했다. 몇 시간 동안 칼라일을 포격하던 중, 스튜어트는 남서쪽 게티즈버그에서 주력 부대 간의 전투가 벌어졌다는 소식을 받았다. 무력으로 마을을 점령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스튜어트는 전투를 중단시키고 부하들에게 칼라일 병영에 불을 지르도록 명령한 뒤 철수하여 게티즈버그로 향했다. 이 과정에서 제재소와 마을 가스 공장도 파괴되었다.

3. 1. 전투의 결과

칼라일 전투로 인한 양측의 피해는 미미했다. 남군은 8명의 부상자를 냈고, 북군은 1명이 사망하고 12명이 부상당하는 데 그쳤다. 스튜어트는 게티즈버그에서 주력 부대 간의 전투가 벌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무력으로 마을을 점령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전투를 중단시켰다. 그는 부하들에게 칼라일 병영에 불을 지르라고 지시한 뒤, 게티즈버그로 방향을 돌렸다. 칼라일에서의 지연은 스튜어트가 의 주력 부대와 합류하는 데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게티즈버그 전투의 향방에 중요한 변수가 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Cumberland and Adams Counties, Pennsylvania: Part III, History of Adams County http://files.usgwarc[...] Warner, Beers & Co. 2011-04-28
[2] 웹사이트 Confederate Occupation of Carlisle, Pennsylvania http://h2g2.com/dna/[...] 2011-11-28
[3] 서적 Plenty of Blame to Go Around: Jeb Stuart's Controversial Ride to Gettysburg Savas Beati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