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미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드미러는 2007년 초에 처음 개발된 웹 기반 코드 편집기이다. 브라우저의 `contentEditable` 기능을 기반으로 한 초기 버전은 2007년 5월에 출시되었다. 2010년에는 Ace 프로젝트의 영향을 받아 성능 향상을 위해 `contentEditable`에 의존하지 않는 버전 2가 출시되었다. 2022년에는 라이브러리를 패키지 모음으로 분할하고 핵심 패키지를 독립적으로 출시한 버전 6이 공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 구글 웹 툴킷
구글 웹 툴킷(GWT)은 자바 코드를 자바스크립트로 변환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도구로, 개발자가 자바 언어로 Ajax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GWT 컴파일러를 통해 최적화된 자바스크립트 파일로 변환할 수 있게 한다. -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 AngularJS
AngularJS는 동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계된 오픈 소스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로, MVC 패턴 적용, 의존성 주입, HTML 확장 디렉티브 제공,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 등의 특징을 가지며, 장기 지원은 종료되었지만 웹 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MIT 라이선스 소프트웨어 - MS-DOS
MS-DOS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개인용 컴퓨터용 디스크 운영 체제로, IBM PC의 표준 운영 체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단일 작업 환경과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 MIT 라이선스 소프트웨어 - Zcash
Zcash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된 익명성 강화 암호화폐로, zk-SNARK 영지식 증명을 통해 거래 당사자의 익명성을 보장하지만, 범죄 악용 우려와 규제 대상 가능성이 존재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코드미러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자바스크립트 컴포넌트 |
용도 | 웹 브라우저 내 코드 편집기 제공 |
개발자 | Marijn Haverbeke |
저장소 | GitHub 저장소 |
프로그래밍 언어 | 자바스크립트 |
플랫폼 | 웹 |
장르 | 소스 코드 편집기 |
라이선스 | MIT |
웹사이트 | CodeMirror 공식 웹사이트 |
최신 버전 | 6.0.1 |
최신 릴리스 날짜 | 2022년 6월 30일 |
2. 역사
코드미러는 2007년 처음 출시된 이후 여러 차례의 주요 업데이트를 거쳤다. 초기 버전은 웹 브라우저의 `contentEditable` 기능을 활용했으나,[2] 2010년 출시된 버전 2에서는 에이스(Ace) 편집기의 영향을 받아 성능을 크게 개선했다.[3] 가장 최신 주요 버전인 버전 6은 2022년에 출시되었으며, 라이브러리 구조가 모듈화된 패키지 형태로 변경되었다.[4][5][6][7]
2. 1. 초기 버전 (2007년)
편집기의 첫 번째 버전은 2007년 초에 Eloquent JavaScript 웹사이트의 콘솔용으로 만들어졌다. 이 코드는 2007년 5월에 코드미러(CodeMirror)라는 이름으로 처음 패키징되어 출시되었다. 이 초기 버전은 브라우저의 contentEditable 기능을 기반으로 작동했다.[2]2. 2. 버전 2 (2010년)
2010년 말,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다른 코드 편집기인 에이스(Ace) 프로젝트가 새로운 구현 기술을 선보였다. 이 기술은 자바스크립트 환경에서도 수천 줄에 달하는 대용량 문서를 성능 저하 없이 처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에이스의 성과는 코드미러 개발에 영향을 주어,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코드를 재작성하는 계기가 되었다.[3] 그 결과, 기존의 웹 브라우저 기능인 `contentEditable`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성능을 크게 개선한 버전 2가 출시되었다.2. 3. 버전 6 (2022년)
2022년에 버전 6이 출시되었다.[4][5] 이 버전에서는 라이브러리가 여러 패키지로 나뉘었으며,[6][7] 핵심 기능들은 각각 독립적인 패키지로 배포된다.참조
[1]
웹사이트
CodeMirror Changelog
https://codemirror.n[...]
2023-06-30
[2]
웹사이트
Implementing a Syntax-Highlighting JavaScript Editor—in JavaScript
https://codemirror.n[...]
2007-05-24
[3]
웹사이트
CodeMirror 2 has entered beta
https://groups.googl[...]
2011-02-08
[4]
웹사이트
CodeMirror 6.0 has been released
https://discuss.code[...]
2022-06-08
[5]
웹사이트
CodeMirror 6.0
https://marijnhaverb[...]
2022-06-08
[6]
웹사이트
CodeMirror 5 to 6 Migration Guide
https://codemirror.n[...]
2023-06-30
[7]
웹사이트
CodeMirror System Guide
https://codemirror.n[...]
2023-06-30
[8]
웹인용
CodeMirror: Release History
https://codemirror.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