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파 MX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파 MX는 멕시코의 축구 컵 대회로, 1907년 코파 타워로 시작하여 코파 엘리미나토리아, 코파 멕시코를 거쳐 2012년 부활했다. 1907년부터 1943년까지 아마추어 시대에는 아스투리아스 FC가 8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차지했으며, 1943년 프로 시대로 전환된 후에는 클루브 아메리카가 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가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코파 MX | |
---|---|
기본 정보 | |
![]() | |
창설 | 1942년, 코파 멕시코로 시작 |
국가 | 멕시코 |
참가 팀 수 | 24 |
국내 컵 | 수페르코파 MX |
최근 우승팀 | 몬테레이 (3회 우승) |
최다 우승팀 | 아메리카 (6회 우승) |
웹사이트 | 코파 MX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이전 명칭 | 코파 멕시코 |
재개 시점 | 15년 만에 재개 (2012년) |
방송사 | |
기타 | |
폐지 | 2020년 |
2. 역사
코파 MX는 1907년 초대 영국 대사 레지날드 타워가 트로피를 기증하면서 시작된 코파 타워 대회가 그 기원이다. 초기에는 멕시코시티와 그 주변 지역 클럽들만 참가했으며, CF 파추카가 초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13] 레알 클럽 에스파냐는 1916-17 시즌부터 1918-19 시즌까지 3연패를 달성하여 트로피를 영구 소유하기도 했다. 코파 타워는 1919년까지 총 11회 개최되었으며, 레알 클럽 에스파냐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1920년에는 코파 엘리미나토리아라는 이름으로 대회가 이어졌다. 1926년까지 총 6번의 대회가 열렸고, RC 에스파냐가 3번 우승하며 이 시기 최다 우승팀이 되었다.[14]
1927년 멕시코 축구 연맹이 설립된 후, 1932년에 코파 멕시코라는 이름으로 컵 대회가 부활하여 라사로 카르데나스 대통령의 공식적인 지원을 받았다.[12] 1932-33 시즌 첫 대회에서는 클루브 네칵사가 우승했지만, 아마추어 시대(1932-1943) 최다 우승 클럽은 아스투리아스 FC로 5회 우승을 기록했다.
1942-43 시즌부터 코파 MX는 프로 시대로 전환되었으며, 1997년까지 대회가 이어졌다. 초기에는 리가 MX 팀들만 참가했지만, 1950년부터는 세군다 디비시온 데 멕시코 팀들도 일부 시즌을 제외하고 참가했다.
1997년 중단되었던 코파 MX는 2012년에 부활하여 1년에 두 번,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대회가 열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리가 MX와 아센소 MX 팀들이 참가했으며, 2019-20 시즌에는 시즌 전체를 아우르는 단일 토너먼트로 변경되기도 했다. 그러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0년에 대회가 중단되었다.
2. 1. 코파 타워 (1907-1919)
1907년, 초대 영국 대사 레지날드 타워가 트로피를 기증하면서 코파 타워 대회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멕시코시티와 그 주변 지역 클럽들만 참가했다.[13] CF 파추카가 결승에서 CF 레포르마를 꺾고 초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레알 클럽 에스파냐는 1916-17 시즌부터 1918-19 시즌까지 3연패를 달성하여 트로피를 영구 소유하게 되었다. 코파 타워는 1919년까지 총 11회 개최되었으며, 레알 클럽 에스파냐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시즌 | 우승 | 스코어 | 준우승 |
---|---|---|---|
1907–08 | 파추카 AC | 4–0 | 레포르마 |
1908–09 | 레포르마 | 3–2 | 멕시코 FC |
1909–10 | 레포르마 | 3–1 | 아스투리아스 |
1910–11 | 브리티쉬 FC | 2–1 | 에스파냐 |
1911–12 | 파추카 AC | 4–0 | 레포르마 |
1912–13 | 개최되지 않음[13] | ||
1913–14 | 멕시코 FC | 3–0 | 아스투리아스 |
1914–15 | 에스파냐 | 4–2 | 아스투리아스 |
1915–16 | 로버스 FC | 3–1 | 에스파냐 |
1916–17 | 에스파냐 | 5–1 | 멕시코 FC |
1917–18 | 에스파냐 | 3–1 | 파추카 AC |
1918–19 | 에스파냐 | 3–0 | 아스투리아스 |
2. 2. 코파 엘리미나토리아 (1919-1926)
이 토너먼트는 1920년에 처음 개최되었다. 코파 엘리미나토리아는 1920년부터 1926년까지 총 6번의 대회가 열렸다. RC 에스파냐는 이 기간 동안 총 3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세웠다.[14] 1926-27 시즌에는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회차 | 우승팀 | 결과 | 준우승팀 |
---|---|---|---|
1920–21 | RC 에스파냐 | 2–1 | Luz y Fuerza |
1921–22 | RC 에스파냐 | 3–1 | Luz y Fuerza |
1922–23 | 아스투리아스 | 2–1 | 게르마니아 |
1923–24 | 아스투리아스 | 3–0 | RC 에스파냐 |
1924–25 | 넥사카 | 1–0 | 아메리카 |
1925–26 | 넥사카 | 3–2 | 아스투리아스 |
2. 3. 코파 멕시코 (1932-1997)
1920년에 코파 엘리미나토리아(Copa Eliminatoria)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최되었다. 1920년부터 1928년까지 7번의 대회가 열렸으며, RC 에스파냐가 총 3번 우승하여 이 기간 동안 최다 우승팀이 되었다.회차 | 우승팀 | 결과 | 준우승팀 |
---|---|---|---|
1920–21 | RC 에스파냐 | 2–1 | Luz y Fuerza |
1921–22 | RC 에스파냐 | 3–1 | Luz y Fuerza |
1922–23 | 아스투리아스 | 2–1 | 게르마니아 |
1923–24 | 아스투리아스 | 3–0 | RC 에스파냐 |
1924–25 | 넥사카 | 1–0 | 아메리카 |
1925–26 | 넥사카 | 3–2 | 아스투리아스 |
1926–27 | 대회가 열리지 않음 | ||
1927–28 | RC 에스파냐 | 3–1 | 아스투리아스 |
2. 3. 1. 아마추어 시대 (1932-1943)
1927년 멕시코 축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1926년부터 1932년까지는 대회 자체가 개최되지 않았지만, 1932년에 코파 메히코라는 이름으로 컵 대회가 부활하여 라사로 카르데나스 대통령의 공식적인 지원을 받았다.[12] 1932-33 시즌 첫 대회에서는 클루브 네칵사가 우승했지만, 아마추어 시대 최다 우승 클럽은 아스투리아스 FC로 5회 우승을 기록했다.[12]2. 3. 2. 프로 시대 (1942-1997)
1942–43년도 대회에서 코파 MX의 프로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이 시기는 1997년 대회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처음에는 현재의 리가 MX인 ''리가 마요르''의 팀들 간에 경기가 치러졌다. 1950년부터는 세군다 디비시온 데 멕시코의 팀들도 1956-57년도, 1963-64년도, 1994-95년도 및 1995-96년도 대회를 제외하고 이 대회에 참가했다.2. 4. 코파 MX (2012-2020)
1997년 중단되었던 코파 MX는 2012년에 부활하여 새로운 형식으로 다시 시작되었다. 국내 리그전과 마찬가지로 1년에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번의 대회가 열렸으며, 리가 MX와 아센소 MX 팀들이 참가했다.연도 | 우승 | 스코어 | 준우승 | 우승 감독 |
---|---|---|---|---|
아페르투라 2012 | 도라도스 | 2–2 (5–4)1 | 콜레카미노스 | 파코 라미레스|라미레스es |
클라우수라 2013 | 크루스 아술 | 0-0 (4–2)1 | 아틀란테 | 기예르모 바스케스|바스케스es |
아페르투라 2013 | 모렐리아 | 3–3 (3–1)1 | 아틀라스 | 카를로스 부스토스|부스토스es |
클라우수라 2014 | UANL | 3-0 | 알레브리헤스 | 리카르도 페레티|페레티pt |
아페르투라 2014 | 산토스 라구나 | 2-2 (4–2)1 | 푸에블라 | 페드로 카이시냐pt |
클라우수라 2015 | 푸에블라 | 4-2 | CD 과달라하라 | 호세 과달루페 크루스es |
아페르투라 2015 | CD 과달라하라 | 1-0 | 클럽 레온 | 마티아스 알메이다|알메이다es |
클라우수라 2016 | 베라크루스 | 4-1 | 클루브 네칵사 | 카를로스 레이노소es |
아페르투라 2016 | 케레타로 FC | 0-0 (3–2)1 | CD 과달라하라 | 빅토르 마누엘 부세티치|부세티치es |
클라우수라 2017 | CD 과달라하라 | 0-0 (3–1)1 | 모나르카스 모렐리아 | 마티아스 알메이다|알메이다es |
아페르투라 2017 | CF 몬테레이 | 1-0 | CF 파추카 | 안토니오 모하메드|모하메드es |
클라우수라 2018 | 클루브 네칵사 | 1-0 | 톨루카 FC | 이그나시오 암브리즈es |
아페르투라 2018 | 크루스 아술 | 2-0 | CF 몬테레이 | 페드로 카이시냐pt |
클라우수라 2019 | 클럽 아메리카 | 1-0 | FC 후아레스 | 미겔 에레라|에레라es |
2019-20 | CF 몬테레이 | 2-1 | 클럽 티후아나 | 안토니오 모하메드|모하메드es |
'''1''': 승부차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0년에 대회가 중단되었다.
2. 4. 1. 대회 형식 (2012-2020)
2012년 코파 MX가 부활하면서 새로운 대회 형식이 도입되었다. 국내 리그전과 마찬가지로 1년 동안 아페르투라(Apertura)와 클라우수라(Clausura) 두 번의 대회가 열렸다.; 아페르투라 (추계 토너먼트)
아페르투라에는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하지 않는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14개 클럽과 리가 데 아센소의 14개 클럽(전년도 상위 13개 클럽 +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강등된 1개 클럽)이 참가했다. 28개 클럽은 4개 클럽씩 7개 그룹으로 나뉘어 리그전을 치렀으며, 각 그룹 1위 클럽과 2위 클럽 중 최상위 클럽, 총 8개 클럽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그룹 배정 시 프리메라 디비시온 클럽은 포트 A, 리가 데 아센소 클럽은 포트 B로 배정하여 그룹 간 격차를 최소화했다. 그룹 리그는 1회 총력전 3경기제로, 홈 경기 개최 클럽 등은 추첨으로 결정되었으며, 각 클럽은 1경기 또는 2경기를 홈에서 치렀다. 결승 토너먼트는 8개 클럽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라운드는 단판 승부였다.
; 클라우수라 (춘계 토너먼트)
클라우수라에는 국제 대회에 출전하지 않는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11개 클럽과 리가 데 아센소의 13개 클럽이 참가했다. 24개 클럽은 4개 클럽씩 6개 그룹으로 나뉘어 리그전을 치렀으며, 각 그룹 1위와 2위 클럽 중 최상위 클럽, 총 8개 클럽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그룹 배정 시 프리메라 디비시온 클럽과 리가 데 아센소 승점 상위 1개 클럽은 포트 A, 나머지 클럽은 포트 B로 배정하여 그룹 간 격차를 최소화했다. 그룹 리그는 1회 총력전 3경기제로, 홈 경기 개최 클럽 등은 추첨으로 결정되었으며, 각 클럽은 1경기 또는 2경기를 홈에서 치렀다. 결승 토너먼트는 8개 클럽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라운드는 단판 승부였다.
2. 4. 2. 2019-20 시즌
2019-20 시즌은 시즌 전체를 아우르는 단일 토너먼트로 변경되었다. 리가 MX 15팀, 아센소 MX 12팀이 참가하여 3팀씩 9개 조로 편성되었다.3. 역대 대회 결과
코파 MX는 1907년 영국 대사 레히날도 타워가 창설한 코파 타워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멕시코시티와 그 주변 지역 클럽만 참가했다. CF 파추카가 첫 대회에서 우승했고, 레알 클루브 에스파냐는 1916-17 시즌부터 3연패를 달성해 트로피를 영구 소유했다. 1919년까지 총 11회 개최되었으며, 레알 클루브 에스파냐가 4회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이후 코파 엘리미나토리아로 대회명이 변경되어 1926년까지 매년 개최되었고, 아스투리아스 FC가 이 기간 동안 3연패를 포함해 최다 우승을 차지했다.
1927년 멕시코 축구 연맹 설립 후, 1932년 코파 멕시코로 부활하여 라사로 카르데나스 대통령의 지원을 받았다. 네칵사가 부활 후 첫 대회에서 우승했지만, 아마추어 시대 최다 우승 클럽은 아스투리아스 FC(5회)였다.
1943년 프로 시대가 시작된 이후, 1997년부터 한동안 중단되었다가 2012년 부활하여 현재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번의 대회로 나뉘어 진행된다.
3. 1. 아마추어 시대 (1907-1943)
1907년 영국 대사 레히날도 타워에 의해 컵 대회가 창설되어 코파 타워라고 불렸다. 초기에는 멕시코시티와 그 주변 지역에 본거지를 둔 클럽만이 참가했다. CF 파추카가 1907-08 시즌 결승에서 레포르마 AC를 꺾고 우승했으며, 레알 클루브 에스파냐는 1916-17 시즌부터 1918-19 시즌까지 3연패를 달성하여 트로피 영구 소유를 허가받았다. 코파 타워는 1919년까지 총 11회 개최되었으며, 레알 클루브 에스파냐가 최다 4회 우승을 차지했다. 1919년부터 1926년까지 대회는 코파 엘리미나토리아로 매년 개최되었다. 아스투리아스 FC는 1921-22 시즌부터 1923-24 시즌까지 3연패를 달성하며, 이 기간 동안 최다 우승을 자랑했다. 대회 형식은 지역 리그와는 달리 토너먼트 방식이나 결승전을 채택했다.1927년에는 멕시코 축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1926년부터 1932년까지는 대회 자체가 개최되지 않았지만, 1932년에 코파 멕시코로 컵 대회가 부활하여 공식적으로 라사로 카르데나스 대통령의 지원을 받았다. 제1회 대회가 된 1932-33 시즌은 네칵사가 우승했지만, 아마추어 시대의 최다 우승 클럽은 아스투리아스 FC(5회)였다.
코파 엘리미나토리아
회차 | 우승팀 | 결과 | 준우승팀 |
---|---|---|---|
1920–21 | RC 에스파냐 | 2–1 | Luz y Fuerza |
1921–22 | RC 에스파냐 | 3–1 | Luz y Fuerza |
1922–23 | 아스투리아스 | 2–1 | 게르마니아 |
1923–24 | 아스투리아스 | 3–0 | RC 에스파냐 |
1924–25 | 넥사카 | 1–0 | 아메리카 |
1925–26 | 넥사카 | 3–2 | 아스투리아스 |
1927–28 | RC 에스파냐 | 3–1 | 아스투리아스 |
코파 타워, 코파 멕시코
시즌 | 우승 | 스코어 | 준우승 |
---|---|---|---|
1907–08 | 파추카 AC | 4–0 | 레포르마 |
1908–09 | 레포르마 | 3–2 | 멕시코 FC |
1909–10 | 레포르마 | 3–1 | 아스투리아스 |
1910–11 | 브리티쉬 FC | 2–1 | 에스파냐 |
1911–12 | 파추카 AC | 4–0 | 레포르마 |
1913–14 | 멕시코 FC | 3–0 | 아스투리아스 |
1914–15 | 에스파냐 | 4–2 | 아스투리아스 |
1915–16 | 로버스 FC | 3–1 | 에스파냐 |
1916–17 | 에스파냐 | 5–1 | 멕시코 FC |
1917–18 | 에스파냐 | 3–1 | 파추카 AC |
1918–19 | 에스파냐 | 3–0 | 아스투리아스 |
1920–21 | 멕시코 FC | 4–2 | 파추카 |
1921–22 | 아스투리아스 | 4–1 | 에스파냐 |
1922–23 | 아스투리아스 | 3–0 | 에스파냐 |
1923–24 | 아스투리아스 | 5–3 | 레포르마 |
1924–25 | 네칵사 | 3–2 | 아스투리아스 |
1925–26 | 네칵사 | 4–2 | 에스파냐 |
1932–33 | 네칵사 | 3–1 | 헤르마니아 |
1933–34 | 아스투리아스 | 4–1 | 아메리카 |
1935–36 | 네칵사 | 2–1 | 아스투리아스 |
1936–37 | 아스투리아스 | 5–3 | 아메리카 |
1937–38 | 아메리카 | 3–1 | 에스파냐 |
1938–39 | 아스투리아스 | 4–3 | 에스파냐 |
1939–40 | 아스투리아스 | 1–0 | 네칵사 |
1940–41 | 아스투리아스 | 4–2 | 네칵사 |
1941–42 | 아틀란테 | 3–0 | 아스투리아스 |
1942–43 | 모크테수마 | 3–1 | 아메리카 |
아마추어 시대 클럽별 우승 및 준우승 횟수
클럽 | 우승 | 준우승 |
---|---|---|
아스투리아스 FC | 8 | 6 |
레알 클루브 에스파냐 | 4 | 6 |
클루브 네칵사 | 4 | 2 |
CF 파추카 | 2 | 2 |
레포르마 AC | 2 | 3 |
메히코 FC | 2 | 2 |
클루브 아메리카 | 1 | 3 |
브리티시 FC | 1 | 0 |
로버즈 FC 멕시코 | 1 | 0 |
CF 아틀란테 | 1 | 0 |
모크테수마 데 오리사바 | 1 | 0 |
3. 2. 프로 시대 (1943-현재)
1943-현재es1997년부터 코파 MX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지만, 2012년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델리코 데 마리아 회장이 대회의 부활을 선언했다. 새로운 형식이 도입되어 대회가 부활했으며, 국내 리그전과 마찬가지로 가을부터 봄까지 1년 동안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의 두 번의 대회가 열린다.
; 아페르투라 (추계 토너먼트)
아페르투라에는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하지 않는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14개 클럽과 리가 데 아센소(2부 리그)의 14개 클럽이 참가한다. 리가 데 아센소의 클럽은 전년도 상위 13개 클럽에 더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강등된 1개 클럽이 참가한다. 총 28개 클럽이 4개 클럽씩 7개 그룹으로 나뉘어 리그전을 치르며, 7개 그룹의 1위 클럽과 2위 클럽 중 최상위 클럽의 총 8개 클럽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그룹 배정 시,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클럽은 포트 A, 리가 데 아센소의 클럽은 포트 B가 되어, 그룹 간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룹 리그는 1회 총력전의 3경기제로, 홈 개최 클럽 등은 추첨으로 결정되며, 어느 클럽도 1경기 또는 2경기를 홈에서 치른다. 결승 토너먼트는 8개 클럽으로 진행되며, 모든 라운드는 1경기제이다.
; 클라우수라 (춘계 토너먼트)
클라우수라에는 국제 대회에 출전하지 않는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11개 클럽과 리가 데 아센소의 13개 클럽이 참가한다. 총 24개 클럽이 4개 클럽씩 6개 그룹으로 나뉘어 리그전을 치르며, 6개 그룹의 1위와 2위 클럽 중 최상위 클럽의 총 8개 클럽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그룹 배정 시,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클럽과 리가 데 아센소의 승점 상위 1개 클럽은 포트 A, 그 외의 클럽은 포트 B가 되어, 그룹 간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룹 리그는 1회 총력전의 3경기제로, 홈 개최 클럽 등은 추첨으로 결정되며, 어느 클럽도 1경기 또는 2경기를 홈에서 치른다. 결승 토너먼트는 8개 클럽으로 진행되며, 모든 라운드는 1경기제이다.
시즌 | 우승 | 스코어 | 준우승 | 우승 감독 |
---|---|---|---|---|
1943-44 | 에스파냐 | 6–2 | 아틀란테 | 무뇨스es |
1944–45 | 푸에블라 | 6–4 | 클럽 아메리카 | 모리야es |
1945-46 | 아틀라스 | 5–4 | 아틀란테 | 발다티es |
1946–47 | 모크테수마 | 4–3 | 오로 | 카이세르es |
1947–48 | 베라크루스 | 3–1 | 치바스 | 우르키아가es |
1948–49 | 레온 | 3–0 | 아틀란테 | 카수요es |
1949–50 | 아틀라스 | 3–1 | 베라크루스 | 발다티es |
1950–51 | 아틀란테 | 1–0 | 치바스 | 비알es |
1951–52 | 아틀란테 | 2–0 | 푸에블라 | 블라스코es |
1952–53 | 푸에블라 | 4–1 | 레온 | 랑가라es |
1953–54 | 클럽 아메리카 | 1–1 (3–2)1 | 치바스 | 비알es |
1954–55 | 클럽 아메리카 | 1–0 | 치바스 | 비알es |
1955–56 | 톨루카 | 2–1 | 이라푸아토 | 마르코스es |
1956–57 | 사카테펙 | 2–1 | 레온 | 토레예스es |
1957–58 | 레온 | 5–2 | 사카테펙 | 에란스es |
1958–59 | 사카테펙 | 2–1 | 레온 | 토레예스es |
1959–60 | 네칵사 | 2–2 (승부차기 10–9) | 탐피코 | 로스es |
1960–61 | 탐피코 | 1–0 | 톨루카 | 팔마es |
1961–62 | 아틀라스 | 3–3 1–0 | 탐피코 | 바우어es |
1962–63 | 치바스 | 2–1 | 아틀란테 | J. 데 라 토레es |
1963–64 | 클럽 아메리카 | 1–1 (승부차기 5–4) | 몬테레이 | 스코페리es |
1964–65 | 클럽 아메리카 | 4–0 | 모렐리아 | 스코페리es |
1965–66 | 네칵사 | 3–3 1–0 | 레온 | 마린es |
1966–67 | 레온 | 2–1 | 치바스 | 그리유es |
1967–68 | 아틀라스 | 2–1 | 베라크루스 | 노베히오es |
시즌 | 우승 | 스코어 | 준우승 | 우승 감독 |
---|---|---|---|---|
1968–69 | 크루스 아술 | 2–1 | 몬테레이 | 카르데나스es |
1969–70 | 치바스 | 3–2 2–1 | 토레온 | J. 데 라 토레es |
1970–71 | 레온 | 0–0 (승부차기 10–9) | 사카테펙 | 카르바할es |
1971–72 | 레온 | 리그전1 | 푸에블라 | 카르바할es |
1973–74 | 클럽 아메리카 | 2–1 1–1 | 크루스 아술 | 로카es |
1974–75 | UNAM | 리그전1 | CU 과달라하라 | Feketehu |
1975–76 | UANL | 2–0 1–2 | 클럽 아메리카 | 로스타나우es |
1987–88 | 푸에블라 | 0–0 1–12 | 크루스 아술 | 페르난데스es |
1988–89 | 톨루카 | 2–0 1–1 | CU 과달라하라 | 사나브리아es |
1989–90 | 푸에블라 | 4–1 0–2 | UANL | 라푸엔테es |
1990–91 | CU 과달라하라 | 1–0 0–0 | 클럽 아메리카 | 게라es |
1991–92 | 몬테레이 | 4–2 | 시우다드 후아레스 | 발론es |
1994-95 | 네칵사 | 2–0 | 베라크루스 | 라푸엔테es |
1995–96 | UANL | 1–1 1–0 | 아틀라스 | 부세티치es |
1996–97 | 크루스 아술 | 2–0 | 토로스 네사 | 부세티치es |
:'''1''': 1971-72 시즌과 1974-75 시즌은 4개 클럽에 의한 리그전으로 진행되었다.
:'''2''': 원정 다득점 규칙에 의함.
연도 | 우승 | 스코어 | 준우승 | 우승 감독 |
---|---|---|---|---|
아페르투라 2012 | 도라도스 | (5–4)1 | 콜레카미노스 | 라미레스es |
클라우수라 2013 | 크루스 아술 | (4–2)1 | 아틀란테 | 바스케스es |
아페르투라 2013 | 모렐리아 | (3–1)1 | 아틀라스 | 부스토스es |
클라우수라 2014 | UANL | 알레브리헤스 | 페레티pt | |
아페르투라 2014 | 산토스 라구나 | (4–2)1 | 푸에블라 | 페드로 카이시냐pt |
클라우수라 2015 | 푸에블라 | CD 과달라하라 | 호세 과달루페 크루스es | |
아페르투라 2015 | CD 과달라하라 | 클럽 레온 | 알메이다es | |
클라우수라 2016 | 베라크루스 | 클루브 네칵사 | 카를로스 레이노소es | |
아페르투라 2016 | 케레타로 FC | (3–2)1 | CD 과달라하라 | 부세티치es |
클라우수라 2017 | CD 과달라하라 | (3–1)1 | 모나르카스 모렐리아 | 알메이다es |
아페르투라 2017 | CF 몬테레이 | CF 파추카 | 안토니오 모하메드es | |
클라우수라 2018 | 클루브 네칵사 | 톨루카 FC | 이그나시오 암브리즈es | |
아페르투라 2018 | 크루스 아술 | CF 몬테레이 | 페드로 카이시냐pt | |
클라우수라 2019 | 클럽 아메리카 | FC 후아레스 | 미겔 에레라es | |
2019-20 | CF 몬테레이 | 클럽 티후아나 | 안토니오 모하메드es |
:'''1''': 승부차기.
클럽 | 우승 | 준우승 |
---|---|---|
클루브 아메리카 | 6 | 3 |
클루브 레온 | 5 | 4 |
푸에블라 | 5 | 3 |
치바스 과달라하라 | 4 | 8 |
크루스 아술 | 4 | 2 |
클루브 네칵사 | 4 | 1 |
CF 아틀라스 | 4 | 1 |
CF 몬테레이 | 3 | 2 |
UANL 티그레스 | 3 | 1 |
CF 아틀란테 | 2 | 4 |
티브로네스 로호스 데 베라크루스 | 2 | 3 |
CD 사카테펙 | 2 | 2 |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 2 | 2 |
하이보스 탐피코 마데로 | 1 | 2 |
CU 과달라하라 | 1 | 2 |
모나르카스 모렐리아 | 1 | 2 |
케레타로 FC | 1 | 0 |
산토스 라구나 | 1 | 0 |
레알 클루브 에스파냐 | 1 | 0 |
모크테수마 데 오리사바 | 1 | 0 |
UNAM | 1 | 0 |
도라도스 데 시날로아 | 1 | 0 |
CD 오로 | 0 | 1 |
이라푸아토 FC | 0 | 1 |
CF 토레온 | 0 | 1 |
코브라스 데 시우다드 후아레스 | 0 | 1 |
토로스 네사 | 0 | 1 |
코레카미노스 UAT | 0 | 1 |
알레브리헤스 데 오아하카 | 0 | 1 |
CF 파추카 | 0 | 1 |
FC 후아레스 | 0 | 1 |
4. 클럽별 우승 횟수
참조
[1]
문서
Claro Sports
[2]
문서
ESPN 2
[3]
문서
Fox Sports 2
[4]
문서
Imagen Televisión and Excélsior TV
[5]
문서
Canal 5, Gala TV, Las Estrellas, Sky México, TDN and Univisión TDN
[6]
문서
Azteca 7 and Azteca Uno
[7]
문서
TVC Deportes 2
[8]
웹사이트
COPA MX - Página Oficial de la Liga Mexicana del Fútbol Profesional
http://www.lacopamx.[...]
[9]
웹사이트
La Copa MX inicia la prueba de fuego tras 15 años de ausencia
http://mexico.cnn.co[...]
2012-07-24
[10]
웹사이트
México - List of Cup Winners
https://www.rsssf.or[...]
[11]
문서
前身のコパ・タワー(Copa Tower)として
[12]
문서
1956-57シーズン、1963-64シーズン、1994-95シーズン、1995-96シーズンはプリメーラ・ディビシオンのクラブのみ参加。
[13]
문서
実際は開催されてローヴァーズFCが優勝したとする情報元もある
http://www.garaje.ya[...]
[14]
문서
1919年には開催されてヘルマニアが優勝したとする情報元もある
http://www.garaje.y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