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거 6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루거 60은 두 개의 별로 이루어진 항성계로, A와 B로 명명된 두 개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성 A는 태양 질량의 약 27%, 반지름의 35%를 가지며, 반성 B는 태양 질량의 약 18%, 반지름의 24%를 가진 섬광성이자 변광성이다. 두 별은 타원 궤도로 공전하며 평균 9.5 천문 단위 떨어져 있고, 우리 은하를 공전하며 약 88,600년 후에는 태양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궤도 기울기 때문에 시선 속도를 통해 외계 행성을 탐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성간 혜성 2I/보리소프의 기원지로 한때 제안되었으나, 추가 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은 배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페우스자리 - 세페우스자리 델타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5.36627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지구로부터 약 800~890광년 떨어져 있고 분광 동반성을 가진 연성계이다. - 세페우스자리 - 세페우스자리 감마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66.8년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로, 오렌지색 준거성 감마 A(Errai)와 적색 왜성 감마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성 감마 A는 미래의 북극성 후보이자 외계 행성 타드모르(감마 Cephei Ab)를 거느리고 있고, 이 행성은 외계 행성 최초 발견 사례 중 하나로 '타드모르'라는 고유 명칭을 얻었다. - 섬광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 섬광성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국부 거품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국부 거품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크루거 60 | |
---|---|
개요 | |
![]() | |
별자리 | 케페우스자리 |
겉보기 등급 (Krüger 60 A) | 9.59 |
겉보기 등급 (Krüger 60 B) | 11.40 |
분광형 | M3V/M4V |
B-V 색 지수 | 1.65/1.8 |
U-B 색 지수 | 1.27/1.3 |
변광성 | 없음/플레어 별 |
위치 정보 | |
운동 정보 (Krüger 60 A) | |
시선 속도 | –33.1 km/s |
고유 운동 (적경) | -725.227 ± 0.537 밀리초각/년 |
고유 운동 (적위) | -223.461 ± 0.348 밀리초각/년 |
연주 시차 | 249.3926 ± 0.1653 밀리초각 |
절대 등급 | 11.76 |
운동 정보 (Krüger 60 B) | |
시선 속도 | –31.9 km/s |
고유 운동 (적경) | -934.098 ± 1.319 밀리초각/년 |
고유 운동 (적위) | -686.244 ± 1.410 밀리초각/년 |
연주 시차 | 249.9668 ± 0.7414 밀리초각 |
절대 등급 | 13.46 |
물리적 특징 (Krüger 60 A) | |
질량 | 0.271 태양질량 |
반지름 | 0.35 태양반지름 |
광도 | 0.010 태양광도 |
표면 온도 | 3,180 K |
금속 함량 | -0.04 |
물리적 특징 (Krüger 60 B) | |
질량 | 0.176 태양질량 |
반지름 | 0.24 태양반지름 |
광도 | 0.0034 태양광도 |
표면 온도 | 2,890 K |
궤도 요소 (Krüger 60 B, Krüger 60 A 기준) | |
주기 | 44.67 년 |
긴반지름 | 2.383 초각 (9.5 천문단위) |
궤도 이심률 | 0.410 |
궤도 경사 | 167.2 도 |
승교점 경도 | 154.5 도 |
근점 통과 시기 | 1970.22 |
근일점 인수 | 211.0 도 |
식별 정보 | |
기타 명칭 | DO 케페우스자리 Gl 232-075 GJ 860 A/B BD+56° 2783 HD 239960 LHS 3814/3815 GCTP 5438.00 ADS 15972 Vys 207 A/B HIP 110893 |
2. 항성계 구성
주 구성원은 크루거 60 A, 부 구성원은 크루거 60 B로 지정된다. 주성 A는 태양 질량의 약 27%와 태양 반지름의 35%를 가지고 있다. 부성 B는 태양 질량의 약 18%와 태양 반지름의 24%를 가지고 있다. 부성 B는 섬광성이며 변광성으로 "DO 세페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2] 이는 일반적으로 밝기가 두 배로 증가했다가 8분 만에 정상으로 돌아오는 불규칙한 섬광이다.
평균적으로 두 별은 9.5 천문 단위만큼 떨어져 있는데, 이는 태양에서 토성까지의 평균 거리와 거의 같다. 그러나 이들의 궤도는 타원 궤도이므로 근성점에서 5.5 AU에서 원성점에서 13.5 AU까지 거리가 변화한다.
이 항성계는 우리 은하를 공전하며 중심으로부터 7–9 kpc의 거리를 두고 있으며, 궤도 이심률은 0.126–0.130이다.[3] 이 항성계는 약 88,600년 후에 태양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것이며, 이때 거리는 1.95 파섹 이내가 될 것이다.[4]
크루거 60의 구성원 궤도를 고려할 때, 외계 행성을 시선 속도를 통해 탐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는데, 궤도가 우리 관점에서 13도 기울어져 있으며, 태양계 관점에서 가장자리에서 공전하는 외계 행성보다 1/5만큼 강한 시선 속도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2. 1. 주성 A
크루거 60 항성계의 주성 A는 태양 질량의 약 27%, 태양 반지름의 35%를 가지고 있다. 크루거 60 항성계는 우리 은하를 공전하며, 은하 중심으로부터 7–9 kpc의 거리를 두고 궤도 이심률은 0.126–0.130이다.[3] 약 88,600년 후에는 태양에 1.95 파섹 이내로 가장 가깝게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4] 크루거 60의 구성원 궤도를 고려할 때, 궤도가 우리 관점에서 13도 기울어져 있어 시선 속도를 통해 외계 행성을 탐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2. 2. 반성 B
크루거 60 항성계의 반성 B는 태양 질량의 약 18%, 태양 반지름의 약 24% 정도의 질량과 반지름을 갖는다. 반성 B는 섬광성이며, 변광성 명칭은 "DO 세페이"이다.[2] 이 별은 불규칙한 섬광을 보이며, 대개 밝기가 두 배로 증가했다가 8분 만에 정상으로 돌아온다.두 별은 평균 9.5 AU만큼 떨어져 있는데, 이는 토성과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와 거의 같다. 그러나 이들의 궤도는 타원 궤도이기 때문에, 근성점에서는 5.5 AU, 원성점에서는 13.5 AU까지 거리가 변한다.
3. 궤도
크루거 60 항성계의 주 구성원은 A, 부 구성원은 B로 지정된다. 주성 A는 태양 질량의 약 27%와 태양 반지름의 35%를 가지고 있다. 부성 B는 태양 질량의 약 18%와 태양 반지름의 24%를 가지고 있다. 부성 B는 섬광성이며 변광성으로 "DO 세페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2]
평균적으로 두 별은 9.5 천문 단위만큼 떨어져 있는데, 이는 토성에서 태양까지의 평균 거리와 거의 같다. 그러나 이들의 궤도는 타원 궤도이므로 근성점에서 5.5 AU에서 원성점에서 13.5 AU까지 거리가 변화한다.
이 시스템은 우리 은하를 공전하며 중심으로부터 7–9 kpc의 거리를 두고 있으며, 궤도 이심률은 0.126–0.130이다.[3] 이 시스템이 1.95 파섹 이내로 접근하는 약 88,600년 후에 태양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것이다.[4]
크루거 60의 구성원 궤도를 고려할 때, 궤도가 우리 관점에서 13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계 관점에서 가장자리에서 공전하는 외계 행성보다 1/5만큼 강한 시선 속도 신호를 생성하여 시선 속도를 통해 외계 행성을 탐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3. 1. 은하 공전
3. 2. 태양과의 최근접
4. 외계 행성 탐사의 어려움
5. 2I/보리소프 기원 가설
Dybczyński, Królikowska, Wysoczańska는 arXiv에 제출한 프리프린트에서 성간 혜성 2I/보리소프(이전 명칭: C/2019 Q4 (보리소프))의 기원으로 크루거 60을 제안했다. 이들 저자는 다른 연구를 통해 오르트 구름 혜성의 잠재적인 교란 역할을 할 수 있는 별과 별 시스템 목록을 가지고 있었으며, 2I/보리소프가 과거에 매우 작은 상대 속도로 근접했는지 조사했다. 2I/보리소프의 궤도, 특히 혜성의 가스 방출로 인한 비중력 가속도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들은 처음에 100만 년 전 2I/보리소프가 1.74 파섹의 작은 거리에서 크루거 60을 3.43km/s의 매우 작은 상대 속도로 통과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2I/보리소프의 입사 궤도에 대한 교란은 상대 속도의 비교적 작은 변화로 교차 거리를 변경했다. 그러나 프리프린트의 수정된 버전에서 동일한 저자가 제시한 추가 연구는 대신 크루거 60이 2I/보리소프의 고향 시스템일 가능성을 배제했다.
5. 1. 초기 연구
Dybczyński, Królikowska, Wysoczańska는 arXiv에 제출한 프리프린트에서 성간 혜성 2I/보리소프(이전 명칭: C/2019 Q4 (보리소프))의 기원으로 크루거 60을 제안했다. 이들은 오르트 구름 혜성의 잠재적인 교란 역할을 할 수 있는 별과 별 시스템 목록을 가지고 2I/보리소프가 과거에 매우 작은 상대 속도로 근접했는지 조사했다. 2I/보리소프 궤도의 불확실성, 특히 혜성의 가스 방출로 인한 비중력 가속도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처음에는 100만 년 전 2I/보리소프가 1.74 파섹의 거리에서 크루거 60을 3.43km/s의 매우 작은 상대 속도로 통과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2I/보리소프의 입사 궤도에 대한 교란은 상대 속도의 비교적 작은 변화로 교차 거리를 변경했다. 그러나 동일한 저자가 제시한 프리프린트의 수정된 버전에서는 크루거 60이 2I/보리소프의 고향 시스템일 가능성을 배제했다.5. 2. 추가 연구 및 반박
Dybczyński, Królikowska, Wysoczańska는 arXiv에 제출한 프리프린트에서 크루거 60을 성간 혜성 2I/보리소프(이전 명칭: C/2019 Q4 (보리소프))의 기원으로 제안했다. 이들은 오르트 구름 혜성의 잠재적 교란 요인이 될 수 있는 항성 목록을 조사하여 2I/보리소프가 과거에 매우 낮은 상대 속도로 근접했는지 확인했다. 2I/보리소프 궤도의 불확실성, 특히 가스 방출로 인한 비중력 가속도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초기 연구에서는 2I/보리소프가 약 100만 년 전 1.74 파섹 거리에서 3.43km/s의 매우 낮은 상대 속도로 크루거 60을 통과했다고 결론지었다. 2I/보리소프의 입사 궤도 교란은 상대 속도의 작은 변화로 교차 거리를 변경했다. 그러나 동일한 저자들이 프리프린트의 수정본에 제시한 추가 연구에서는 크루거 60이 2I/보리소프의 기원 항성계일 가능성을 배제했다.참조
[1]
논문
Metallicity of M dwarfs. I. A photometric calibration and the impact on the mass-luminosity relation at the bottom of the main sequence
http://cdsads.u-stra[...]
[2]
논문
A VLA survey of nearby flare stars
1989-12
[3]
논문
The galactic orbits of nearby UV Ceti stars
1998
[4]
논문
Stellar encounters with the solar system
2001-11
[5]
논문
The galactic orbits of nearby UV Ceti stars
1998
[6]
논문
Stellar encounters with the solar system
20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