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루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루어군은 라이베리아 해안에서 코트디부아르의 반다마 강까지 분포하는 언어 집단으로, 언어학적으로 나이저콩고어족과의 관계가 불분명하여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된다. 크루어는 동부크루어군과 서부크루어군으로 나뉘며, 디다어, 그레보어, 바사어 등 다양한 언어를 포함한다. 크루어는 복잡한 음조 체계를 가지며,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SVO)가 주로 사용된다. 마르케세(1989)는 크루어를 세부적으로 분류했으며, 어휘 비교를 통해 언어 간 차이를 분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루어군 - 크루멘어
    크루멘어는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며 테포, 프예, 플라포의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뉘고, 플라포 방언은 사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코트디부아르 실용 철자법을 따른다.
  • 크루어군 - 그레보어
    그레보어는 라이베리아와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집합으로, 구강 및 비모음 체계를 갖추고 혀의 위치와 높이에 따라 세분화된 모음 구조를 가지며, 버클리빌, 중부, Gboloo, 북부, 남부 그레보어의 다섯 하위 언어와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 대서양콩고어파 - 세누포어군
    세누포어군은 지리적 요인에 따라 북부, 중부, 남부로 분류되며, SIL International에 의해 6개 그룹으로 세분화되고, 1980년대부터 음운론, 문법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 대서양콩고어파 - 반토이드어군
    반토이드어군은 반투어군과 가장 가까운 친척 그룹으로, 북반토이드어군과 남반토이드어군으로 나뉘지만, 일부 학자들은 반토이드어군이 계통적으로 성립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크루어군
언어 정보
이름크루어군
다른 이름Kru
사용 지역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부르키나파소
어족니제르콩고어족?
어파대서양콩고어파?
조어Proto-Kru (가칭)
ISO 639-2kro
ISO 639-5kro
Glottologkrua1234 (Kru)
siam1242 (Siamou)
크루어군
크루어군 분포도
하위 언어
분류아이지어 (5개 언어)
동부 크루어군 (4개 언어)
쿠와어 (2개 언어)
시아무어 (1개 언어)
서부 크루어군 (3개 언어)

2. 명칭과 어원

'크루'라는 명칭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1952년 베스터만(Westermann)의 연구에 따르면, 유럽인들이 서로 연관된 방언을 사용하는 여러 부족들을 통칭하면서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1] 1989년 마르케제(Marchese)는 이들 부족 중 상당수가 유럽 선박의 "선원(crew)"으로 고용되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크루(Kru)"와 "선원(crew)"의 발음 유사성이 유럽인들 사이에서 크루 부족과 선원을 혼동하는 원인 중 하나였다고 설명했다.[1]

3. 역사

앤드루 달비는 아프리카와 유럽의 상호작용의 교차로에 위치한 크루어의 역사적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크루어와 관련 언어는 당시 페퍼 코스트로 알려진 곳에서 유럽 탐험가들이 처음으로 접한 언어 중 하나였는데, 이곳은 말라게타 고추와 기니아 고추의 생산과 수출의 중심지이자 한때 아프리카 해상 무역의 주요 품목이었다."라고 적었다.[2] 크루어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복잡한 음조 체계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아마도 오모틱어족에 필적할 만하다.

4. 사용 현황

크루족 사회는 현재 라이베리아 몬로비아 해안에서 코트디부아르 반다마 강까지 분포한다.[3] 마을들은 공통 조상으로부터 내려온 것으로 추정되는 혈연관계를 유지하며, 의례적인 교환과 선물을 통해 이를 강화한다.[1] 크루족과 그들의 언어는 이제 많은 사람들이 제2언어로 영어(라이베리아) 또는 프랑스어(코트디부아르)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숲 지역이 해안 석호에 이르는 남서부 지역에서 우세하다고 알려져 있다.[1] 크루족은 농업에 숲에 의존하며, 사냥으로 생계를 보충한다.

5. 분류

크루어는 여러 하위 그룹과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굴데만(2018)은 크루어가 나이저콩고어족과의 관계를 입증할 충분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보았다. 글롯톨로그는 크루어를 독립적인 어족으로 간주한다.

크루어에는 쿠와어, 그레보어, 바사어 등이 포함된다. Breitbonde는 문화적 독특성, 역사적 또는 민족적 정체성, 사회 정치적 자치권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의 범주화가 "많은 수의 별개의 크루 방언을 만들어냈을 수 있다. 비록 원주민들이 여러 면에서 유형과 부족이 비슷했지만, 모든 마을은 독립적인 국가였다. 또한 상호 소통이 거의 없었다."라고 지적한다.[4] Fisiak은 크루어와 관련 언어에 대한 문서가 매우 부족하다고 지적한다.[5]

5. 1. 하위 분류 (한국어)

크루어는 크게 동부크루어군과 서부크루어군으로 나뉜다.

  • 동부크루어군
  • * 디다어
  • * 바퀘어
  • * 베테어
  • * 코디아어
  • 서부크루어군
  • * 그레보어
  • * 그비어
  • * 글리오우비어
  • * 데워인어
  • * 바사어
  • ** 자보어
  • * 웨어군
  • ** 글라로트와보어
  • ** 니아브와어
  • ** 다호두어
  • ** 사포어
  • ** 워베어
  • ** 웨어
  • ** 코노보어
  • ** 크란어
  • * 크루멘어
  • * 클라오어
  • * 타주아손어
  • 시아무어
  • 아이지어
  • 쿠와어

5. 2. 하위 분류 (영어, Marchese (1989))

Marchese영어 (1989)는 크루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6]

계통언어
시아무어세메어 (Siamou)
아이지어군아이지어
쿠와어쿠와어
동부 크루어
바크웨어바크웨어, 와네어
베테어군쿠야어, 고디에어, 네요어, 디다어, 크와디아어 (코디아어)
서부 크루어
바사어바사어, 데우오인어, 그비이어
그레보어군그레보어 (자보어), 크루멘어, 글리오우비어
클라오어클라오어
타주아존어타주아존어
웨어
구에레어다호두어, 글라로트와보어, 사포어, 구에레어 (웨어), 서부 크라한어
냐브와어냐브와어
코노보어코노보어
워베어워베어



'''Ethnologue'''는 디다어나 고디에어와 가장 가까울 수 있는 네요어를 추가한다.

6. 음운론

크루어는 복잡한 성조 체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어순은 주로 주어-동사-목적어(SVO)이지만,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도 자주 사용된다.[6]

6. 1. 어휘 비교

리네트 마르케즈(Lynette Marchese)의 1983년 저서 ''Atlas linguistique krou: essai de typologie''(IAL, ACCT)에 따른 크루어군 어휘 비교는 다음과 같다.[7]

=== 12개 크루어 기본 어휘표 샘플(마르케세, 1983) ===

언어나무먹다이름
테포어(Tepo)jíênω̂âmɪ̂jã́ɲɛ́mɛ̂wũ̂tdâblώklátûgbɛ̀nîjẽ́
주르웨어(Jrwe)ɟrónω̃̂ã̂mɪ̃̂ã̂ɲɛ̃́mɛ̃̂wṹklώω̂klátúwɛ̀nĩ́ẽ́dîdɛ̂ɲɔ̃́
구에레어(Guere)ɟrííēdōṹmlâɲnɪ̃̂ɛ̄̃mē̃õ̀ŋɔ̄̃ɲmɔ̄̃kpâdîɛ̄ɲnɪ̃̂
워베어(Wobé)ɟríɛ́dōṹmlã̂ɲnə̃̂mɛ̄̃õ̀ŋʷɔ̄̃nmɔ̄kpânĩ́ɲnẽ̂
냐브와어(Niaboua)ɟîrîlòkûmánáɲéɲéméɛ̃̀ŋʷɔ̄̃ɲēmōkpáɲéɲé


=== 21개 크루어 추가 기본 어휘표 샘플 (마르케세, 1983) ===

언어먹다이름
아이지어(Aïzi)zrelωkɔmωvɔɲɪmrɔmuɲrekranrɪli
바타어(Vata)ɲêflúmênêglàmeɔ̄nɪ̄dūlūɲú
디다어(Dida)ɲúkwlímnéglāmɪ̄ɔ̄nɪ̄dòlūkwíjèɲúŋlɪ́
코요어(Koyo)jíjēɲúkwlíŋʉ́nʉ́glàmɪ̄ɔ̄nə́dòlúféjēɲúlɨ̄ŋɨ́nɨ́
고디에어(Godié)ɲūkúlúmə́ňə́gə̀lèmɪ̄ɔ̄nə̄dřùféèɲúɗɨ̄ŋʉ́nʉ́
네요어(Néyo)jɪ́ɲúkwlímléglèmɪ̄ɔ̄dòlūféēɲújlɪ́


=== 개별 언어의 숫자 비교 ===

분류언어12345678910
쿠와어쿠와어 (벨레)deesɔ̃rtãã̀ɲìjɛ̀hɛwàyɔ̀ɔwɔ̀rfɔlɛ̀ (5 + 1)kɔrlɔrɔ̃r (5 + 2)kwatãã̀ (5 + 3)kɔ̃yĩ̀yɛ̀hɛ (5 + 4)kowaa
세메어세메어 (시아무) (1)byẽ́ẽnĩ́ĩ̄tyáāryūrkwɛ̃̄lkpã̄âkĩ̄îkprɛ̄n̂kɛ̄l
세메어세메어 (시아무) (2)dyuɔ̃15nĩ15tyɛr15yur3kwɛ̃l3k͡pa4a34kyi4ĩ34k͡prɛ4ɛ̃34kal3fu1
동부 바크웨어바크웨어ɗôːsɔ̂ːtʌ̄ːmɾɔ̄ːɡ͡bə̀ə̄ŋǔːɗō (5 + 1)ŋǔːsɔ̄ (5 + 2)ŋǔːtʌ̄ (5 + 3)ŋǔːmɾɔ̄ (5 + 4)pʊ̀
동부 바크웨어와네어do³ / ɗo³sɔ²ta³ⁱhɪɛ̃⁴ŋʷũ⁴²ŋʷũ⁴² kloː²⁴(5 + 1)ŋʷũ⁴² sɔ² (5 + 2)ŋʷũ⁴² ta³ (5 + 3)ŋʷũ⁴² ⁱhɪɛ̃⁴ (5 + 4)ŋʷũ⁴² bu⁴ or bu⁴
동부 베테어달로아 베테어ɓlʊ̄sɔ̋mʊ̄wanaŋ́ɡ͡bɨ́ŋ́ɡ͡bʊplʊ (5 + 1)ŋ́ɡ͡bisɔ́ (5 + 2)ɡ͡bʊ̀wata (5 + 3)ŋ́ɡ͡bimʊwana (5 + 4)kʊ́ɡ͡ba
동부 베테어귀베루아 베테어ɓlʊ̄sɔ̋mʊ̄wanaŋ́ɡ͡bɨ́ŋ́ɡ͡bʊplʊ (5 + 1)ŋ́ɡ͡bisɔ́ (5 + 2)ɡ͡bʊ̀wata (5 + 3)ŋ́ɡ͡bimʊwana (5 + 4)kʊ́ɡ͡ba
동부 베테어고디에어ɓlōōsɔ́ɔ́tāāŋ̀mɔ̀ɔ̀nāŋ̀ɡ͡bɨ́ŋ̀ɡ͡bóplóo (5 + 1)ŋ̀ɡ͡bɔ̀ɔ́sɔ́ (5 + 2)ŋ̀ɡ͡bàátā (5 + 3)ŋ̀vɔ̀ɔ̀nākʊ́ɡ͡bá
동부 베테어, 동부가그노아 베테어ɓɵ̯̀ɺōsɔ̋tɑ̄mɔ̀ɔ̀nɔ̄ŋ͡m̩̄.ɡ͡búɡ͡bé.pó̯ɺó (5 + 1)ɡ͡bɔ́ɔ́.sɔ̋ (5 + 2)ɡ͡bɔ̋ɔ́.tā (5 + 3)fɛ̀ɛ̀.nɔ̄kō.ɡ͡bɔ́
동부 베테어, 동부게비에 베테어ɡ͡bɔlɔ².³so⁴ta³¹mɔna¹.³¹mŋɡ͡be²mŋɡ͡beɡ͡bɔlɔ².².³ (5 + 1)mŋɡ͡boso³.⁴ (5 + 2)mŋɡ͡bata³.³¹ (5 + 3)mŋɡ͡bɔfɛna³.¹.³¹ (5 + 4)kɔɡ͡ba².³
동부 베테어, 동부쿠야어ɓlòsɔ́mnʊ̀àɡ͡buɡ͡beliɓlò (5 + 1)ɡ͡besɔ́ (5 + 2)ɡ͡betā (5 + 3)ɡ͡bomnʊ̀à (5 + 4)kuɡ͡bua
동부 디다어요코부에 디다어bólómwɔsɔ́mwɔtámwɔnáɛŋɡ͡bɪ́ɛŋɡ͡bʊ́frɔ (5 + 1)ɛmɓɔ́sɔ́ (5 + 2)ɛmɓáta (5 + 3)ɛmvwanákóɡ͡ba
동부 디다어네요어ɓɔ̄lósɔ́tāāmɔ̀nāɡ͡bɪ́ɡ͡bɪ́flɔ́ (5 + 1)ɡ͡básɔ́ (5 + 2)ɡ͡bátā (5 + 3)fɛ̄nā (5 + 4)kʊ́ɡ͡bá
동부 크와디아어코디아어ɡ͡bɤlɤ³² / ɓɤlɤ³²sɔː²taː²mɔna⁴³ⁿɡ͡bɤ³ⁿɡ͡bɤwlɤ³³³ (5 + 1)ⁿɡ͡bɔː⁴³sɔ³ (5 + 2)ⁿɡ͡baː⁴³ta³ (5 + 3)ⁿɡ͡bɤmɔna³⁴³ (5 + 4)kʊɡ͡ba³³
서부 바사어바사어ɖò, dyúáɖòsɔ̃́hĩinyɛhm̀m̌mɛ̀nɛ̌ìn-ɖò (5 + 1)mɛ̀nɛ̌ìn-sɔ̃́ (5 + 2)mɛ̀nɛ̌ìn-tã (5 + 3)mɛ̀nɛ̌ìn-hĩinyɛ (5 + 4)ɓaɖa-bùè
서부 바사어데워인어 (데워이)ɡ͡bǒsɔ̃́tahĩinyɛhm̀m̌meɖe-ɡ͡bǒ (5 + 1)meɖe-sɔ̃́ (5 + 2)meɖe-ta (5 + 3)meɖe-hĩinyɛ (5 + 4)
서부 바사어가세이어 (그비) (1)dɔ̀ː / ɗɔ̀káⁱsɔ̃́ɲ̀yɛ̃m̀ḿm̀mɽědɔ̀ (5 + 1)m̀mɽěsɔ̃́ (5 + 2)m̀mɽětã́ (5 + 3)m̀mɽěɲ̀yɛ̃ (5 + 4)báɽápʰùwe
서부 바사어그비어 (그비-도울루) (2)dòò, dyúáɖòsɔ̃́hĩ̀nyɛhm̀m̀mɛ̀nɛ̀ɛ̄n-ɖò (5 + 1)mɛ̀nɛ̀ɛ̄n-sɔ̃́ (5 + 2)mɛ̀nɛ̀ɛ̄n-tə̃ (5 + 3)mɛ̀nɛ̀ɛ̄n-hĩ̀nyɛ (5 + 4)ɓaɖabùè
서부 그레보어, 글리오-우비어글리오-우비어hwə̃tã́hə̃ɡ͡bə̀hṹdò (5 + 1)hũ̀sɔ́ (5 + 2)mɛra (5 + 3)mɛ́ɲɛ̀ (5 + 4)pue
서부 그레보어, 아이보리안피에 크루멘어hʋɛ̃́hɛ̃̀hũ̌hũ̀jārō [hũ̀jāɾō] (5 + 1)hũ̀jāhʋɛ̃́ (5 + 2)hũ̀jātā (5 + 3)hũ̀jāhɛ̃̀ (5 + 4)
서부 그레보어, 아이보리안테포 크루멘어 (1)hɔ̃́hɛ̃̀hũ̌huõ̀nɔ̀ (5 + 1)nɪ́pātā (3이 아니다)nɪ́pāhɔ̃́, yèhɛ̃̀yèhɛ̃̀ (2 x 4)sēlédò (하나 남았다)
서부 그레보어, 아이보리안테포 크루멘어 (2)ɔ̄ɛ́nhɛ̀nùmùmnɔ̄dô (5 + 1)ùmnɔ̄ɔ̄ɛ́n (5 + 2)blɛ̄nbìɛ̀nùmīyándō
서부 그레보어, 라이베리안중앙 그레보어 (바로보)dòoɔ̌ntaanhɛ̃ɛnwùunwùnɔ̀dǒ (5 + 1)jetan (4 + 3) ?jiinhɛ̀n (4 + 4) ?sǒndò (10 전에 하나 남았다)
서부 그레보어, 라이베리안북부 그레보어dosɔ̃̌hɛ̃̀m̀mmmɔ̀do (5 + 1)nyiɛtã (4 + 3)nnyɛɛ (4 + 4)siědo (10 전에 하나 남았다)
서부 클라오어클라오어sɔ́ntannyìɛ̀mùnéɛ́do (5 + 1)mùnéɛ́sɔ́n (5 + 2)mùnéɛtan (5 + 3)sopádo (10 - 1)puè
서부 클라오어타주아손어doesunn nn = ?tanhinhoomḿhon doe (5 + 1)ḿhon sunn (5 + 2)hinin (4 + 4)siɛrdoe (하나 남았다)punn
서부 위어, 구에레-크라한어서부 크라한어tòòsɔɔ̌nta̓a̓nnyìɛ̓m̀m̌mɛ̀o̓ (5 + 1)mɛ̀sɔɔ̌n (5 + 2)mɛta̓a̓ǹ (5 + 3)mɛ̀nyìɛ̓ (5 + 4)pùèè
서부 위어, 구에레-크라한어사포어duě / tòòsɔntannyìɛm̀m̌mɛ̀lǒ (5 + 1)mɛ̀sɔn (5 + 2)mɛ̌tan (5 + 3)mɛ̌nyiɛ (5 + 4)pùè
서부 위어, 냐브와어냐브와어 (냐보아)do4sɔ̃2tã3ɲiɛ33mu4u1mɛ4ɛ1lo4 (5 + 1)mɛ4ɛ1sɔ̃2 (5 + 2)mɛ4ɛ1tã3 (5 + 4)mɛ4ɛ1ɲiɛ33 (5 + 5)bue44
서부 위어, 워베어북부 위어 (워베)too3 / due1sɔɔn2 / sɔn2taan3nyiɛ43mm41mɛ41o3 (5 + 1)mɛ41sɔn2 (5 + 2)mɛ41na3 (5 + 3)mɛ41nyiɛ3 (5 + 4)puue3



=== 크루어 숫자 비교 (마르케세, 1983) ===

분류언어하나다섯여섯일곱여덟아홉스물
시아무어세메어nḭtʸaryirokʷḛkpaakʸiiprɛkalfukarkarkʷḛ
아이지어아이지어mṵmɔ̰; yreiʃɪitayeɓiyugbofriʃipatɛfigujuyugbo
쿠와어쿠와어deesɔ̰ɔ̰ta̰à̰ɲìyɛ̀wààyòfolɛ̀kɔ̰lo̰kʷata̰à̰ko̰yḭ̀yɛ̰̀kuwakuma sɔ̰᷄kɔ̀lɛwúlú
동부 바크웨어바크웨어 (수브레)
동부 디다어디다어 (로주아)mblòmɔ̀sɔ́mɔ̀tāmɔ̀ɔ̀nāǹgbīǹgbʊfɾʊǹgbɔ̀ɔ́sɔ́ǹgbàátāǹvɔ̀ɔ̀nākʊ́gbāgrʊ̄gwlīǹgbī
동부 디다어바타어ɓlɔ̀sɔ̍mɔ̀ɔ̀nāgbe̍gbòɔ́sɔ́gbɔ̍fɔ́tākógba̍golō
동부 베테어베테어 (달로아)ɓʊ̀lʊ̀sɔ̍mʊ̀nàńgbɨ́ńgbʊ́pʊ́lʊ́ńgbísɔ̍ńgbɔ̍táńgbɨ́mʊ̀nàkúgbɨ́ágʊ́lʊ́gʊ́lúgbɨ́
동부 베테어베테어 (귀베루아)ɓʊ̀lʊ̀sɔ́mʊ̀ʌ̀nān̄gbɨ́n̄gbʊ̍pʊ̍lʊ̍n̄gbi̍sógbʊ̀ʌ́tān̄gbɨ̍mʊ̀ʌ̀nākʊ̄gbʌ̍gʊ̍lʊ̍gʷʉ̍lɪ̍n̄gbɨ̍
동부 베테어고디에어ɓʉ̄lʉ̄sɔ́mʊ̀ʊ̀nʌ̄ʌ̰̀gbʉ̄ʌ̰̀gbʉ̄pʉ̄lʉ̄ʌ̰̀gbɔ̀ɔ̄sɔ́ʌ̰̀gbàāɨʌ̄pɛɛ̀nʌ̄kʊ́gbʌ̍gɔ̀lɔ̀gʷʌ̀lɪ̀gbʉ̄
동부 베테어코요어ɓɔ̄lɔ̄sɔ̄mɔ̀nāŋ̀gbɨ́ŋ̀gbóplóŋ̀gbɔ́sɔ́ŋ̀gbátāǹvɔ̀nākʊ́gbágʊ̄lʊ̄gʊ̀lɪ̀ɲ́gbɨ́
동부 베테어네요어ɓʊ̄lʊ́sɔ́tāāmɔ̀nāgbɪ́gbɪ́flɔ́gbásɔ́gbátāfɛ̄nākʊ́gbáglʊ́gʷlɪ̀gbɪ́
서부 클라오어클라오어dòòsʊ̰́tā̰ā̰ɲḭɛ̀mùùŋmìɛ̀dòŋmìɛ̀sɔ̰́ŋmìɛ̀tā̰sɛpáádōpūɪ̄wlʊ̄wlʊ̄mù
서부 바사어바사어dɔ̀òsɔ̄ta̰hḭiɲɛhm̀m̀hɔ̰́dɔ̀
서부 바사어데워인어gbòsɔ̰tà̰ɲìɛ̄m̀m̄mɛ̀legbōmɛ̀lēslɔ̰́mɛ̀lēá̰mɛ̀le̍ɲìɛèvù
서부 그레보어테포어do̍hɔ̰́ta̍hɛ̰̀hwɔ̰̀nɔ̀nɪ́pa̍hɔ̰̍nɪ́pa̍ta̍se̍rédópu̍a̍ wlʊ̀wlɪ̄ m̄
서부 그레보어그레보어sɔ̰́tá̰hɛ̰᷄hm̀úbéhɛ̰᷄sīe̍dōpūnɔ́dōwōdóhúbū
서부 그레보어우비어hʷə̰tá̰hə̰gbə̀hṵ́dòhṵ̀sɔ́mɛramɛ́ɲɛ̀puegōrōgòléhm̄
서부 그레보어저위어do̍òhʊ̰́ɛ̰́ta̍a̍hɛ̰̍ɛ̰̀hm̀m̍hm̀m̍jɛ̍rʊ̍hm̀m̍jɛ̍hʊ̰́ɛ̰́hm̀m̍ja̍ta̍hm̀m̍ja̍hɛ̰̀pu̍wlʊ̍wɛ̀srɛ̍wɛ̍
서부 위어구에레어dòòsɔ̰̍ɔ̰̍tā̰ā̰ɲḭ̀ɛ̰̄ ~ ɲīɛ̄; ɲīɛ̄ ~ ɲḭ̀ɛ̰̄m̄ḿmɛ̰̄ɛ̰́ō̰mɛ̰̄sɔ̰̍mɛ̄á̰mɛ̰᷄ɲɛ̰̍bùùèkwlāsɔ̰̍km̄ɛ̰̍dūe̍
서부 위어냐브와어dʊ̀sɔ̰́tā̰ɲìɛ̄mùu̍mɛ̄ɛ̍lʊ̀mɛ̄ɛ̍sɔ̰̄mɛ̄ɛ̍tā̰mɛ̍ɲīēbùèglòlùéglàmùu̍
서부 위어워베어tòòsɔ̰̍ɔ̰̍tā̰ā̰ɲìɛ̄m̄ḿmɛ̄ɛ́ōmɛ̰̍́sɔ̰̍mɛ᷄na̍mɛ᷄ɲɛ̍pùùèkwlāsɔ̰̍km̄ɛ̍du̍e̍
서부 위어코노보어buwɛla̰a̰ɲiɛmmmɛɛɔ̰mɛlabuwɛkʷalaso̰kɛ̰ɛ̰



=== 두부 부위 어휘 비교 (마르케세, 1983) ===

{| class="wikitable"

|-

! 분류 !! 언어 !! 머리 !! 머리카락 !! 눈 !! 귀 !! 코 !! 이빨 !! 혀 !! 입

|-

| 시아무어 || 세메어 || gmel || fleɲi || ɲa || tasyḛ || mar || ɲen || dɛ || ko̰

|-

| 아이지어 || 아이지어 || drʊ || lɪfɪ || zre || lʊkɔ || mʊvɔ || ɲɪ || mrɔ || mu

|-

| 쿠와어 || 쿠와어 || wúlú || dùi || sḭ̌ || nɔi || ɲṵ || || mɛ̀wḛ || wɔ̰̀

|-

| 동부 바크웨어 || 바크웨어 (수브레) || wlí || ɲwee || ɲʉ́ || ɲákúlú || ml̰ó̰ || glɛ̀ || mɛ̄ || mʌ́

|-

| 동부 디다어 || 디다어 (로주아) || wlú || ɲɪ̄ || cí || ɲūklwí || mné || glā || mɪ̄ɔ̄ || nɪ̄

|-

| 동부 디다어 ||

7. 프로토크루어 재구

Marchese Zogbo (2012)에 따르면, 프로토크루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9]


  • 음운론적 비음화 모음
  • 4단계 성조
  • *CVCV-(C)V 및 아마도 *CVV 음절 구조. *CCV 음절과 어쩌면 *CVV 음절도 *CVCV 어근에서 파생되었다.
  • SVO 어순, 하지만 많은 OV 어순 유형 존재
  • 접사 형태론
  • 완료상과 미완료상


프로토크루어 자음 (Marchese Zogbo 2012):

ptkkp
bdggb
ɓ
mnŋ (?)
s
lw



파생 자음:


  • /ɟ/는 유음화(*g > ɟ)를 통해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예: *gie > ɟie.
  • *c, *ɲ, *kʷ, *gʷ, *ŋʷ는 고모음 뒤에 오는 치경음이나 연구개음에서 파생되었다.
  • /ɗ/는 *l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프로토크루어 모음 (Marchese Zogbo 2012):

ɪʊ
eo
ɛɔ
a



음운론적 및 어휘적 차이에 따라 서크루어와 동크루어로 명확하게 이분된다. 서크루어와 동크루어 사이의 일부 등어선은 다음과 같다.

의미프로토서크루어프로토동크루어
나무*tu|투kro*su|수kro
*gbe|그베kro*gwɪ|귀kro
*nɛ|네kro*kosu|코수kro
이빨*ɲnɪ|니kro*gle|글레kro


참조

[1] 논문 City, Countryside, and Kru Ethnicity
[2]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Columbia UP
[3] 서적 Encyclopaedia of Muslim World https://books.google[...] Ammol Publications
[4] 논문 Understanding Ethnic Realities among the Grebo and Kru People of West Africa
[5] 서적 Historical Syntax Mouton
[6] 간행물 Kru University Press of America
[7] 서적 Atlas linguistique Kru: nouvelle edition Agence de Coopération Culturelle et Technique (ACCT)
[8] 웹사이트 The Niger-Congo Language Phylum https://lingweb.eva.[...]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019
[9] 간행물 Kru revisited, Kru revealed http://llacan.vjf.c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