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세 40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세 406은 멕시코시티의 한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다양한 배경과 고민을 가진 학생들과 교사들의 이야기를 다룬 텔레노벨라이다. 학교 중퇴, 십 대 임신, 갱, 가정 폭력, 마약 등 청소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와 사랑, 우정, 성장을 주제로 한다. 프란시스코 교사가 부임하여 학생들을 돕고, 여러 등장인물들의 사랑 이야기가 전개된다. 2003년 TVyNovelas상에서 라파엘 인클란, 크리스티안 차베스가 수상했으며, 2개의 사운드트랙 앨범이 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시티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 마냐나 에스 파라 시엠프레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방영된 멕시코 텔레노벨라 《마냐나 에스 파라 시엠프레》는 실비아 나바로, 페르난도 콜룽가, 루세로, 세르히오 센델 등이 출연하여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TVyNovelas Awards, 라틴 ACE 어워드 등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 멕시코시티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 마리솔 (텔레노벨라)
마리솔은 얼굴에 흉터가 있는 가난한 여성이 부유한 가문의 손자와 사랑에 빠지면서 겪는 갈등을 그린 텔레노벨라이다. - 2000년대 멕시코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마냐나 에스 파라 시엠프레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방영된 멕시코 텔레노벨라 《마냐나 에스 파라 시엠프레》는 실비아 나바로, 페르난도 콜룽가, 루세로, 세르히오 센델 등이 출연하여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TVyNovelas Awards, 라틴 ACE 어워드 등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 2000년대 멕시코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아스타 케 엘 디네로 노스 세파레
《아스타 케 엘 디네로 노스 세파레》는 교통사고로 시작되어 주인공들이 사랑에 빠지지만, 방해를 받다가 결국 결혼에 성공하는 텔레노벨라이다. - 2002년 드라마 - 야인시대
《야인시대》는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김좌진의 아들 김두한이 거지에서 종로패 두목, 국회의원이 되는 일대기를 그린 SBS 드라마이며, 청년 김두한 액션 장면과 심영의 "내가 고자라니" 대사로 큰 인기를 얻었다. - 2002년 드라마 - 명랑소녀 성공기
명랑소녀 성공기는 2002년에 방영된 장나라, 장혁 주연의 대한민국 드라마로, IMF 외환 위기 이후 희망을 잃지 않는 차양순의 이야기를 통해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며, 장나라의 성공적인 연기로 큰 인기를 얻었다.
클라세 406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장르 | 텔레노벨라 |
원작 | Diego Vivanco, Sandra Rita Paba, Ana María Parra의 "프란시스코 엘 마테마티코" |
방송 국가 | 멕시코 |
언어 | 스페인어 |
방송 채널 | 카날 데 라스 에스트레야스 |
첫 방송 | 2002년 7월 1일 |
마지막 방송 | 2003년 10월 31일 |
방송 횟수 | 349 |
방송 시즌 | 4 |
방송 시간 | 41–44분 |
제작사 | 텔레비사 |
촬영 장소 | 멕시코 시티, 멕시코 텔레비사 산 앙헬 |
오프닝 테마 | "¿Donde irán?" - La Quinta Estación |
제작진 | |
책임 프로듀서 | 페드로 다미안 |
프로듀서 | 루이스 루이시요 미겔 |
감독 | 루이스 파르도 후안 카를로스 무뇨스 |
각본 | 마리아 세르반테스 발모리 페드로 아르만도 로드리게스 알마 솔리스 마리아 루이사 솔리스 알레한드라 로메로 메사 이반 쿠에바스 마리마르 올리베르 |
촬영 감독 | 비비안 산체스 로스 베르나르도 나헤라 |
카메라 | 멀티 카메라 |
출연진 | |
주연 | 호르헤 포사 이란 카스티요 셰를린 둘세 마리아 사라 말도나도 크리스티안 차베스 알폰소 에레라 아론 디아스 |
2. 줄거리
《클라세 406》은 멕시코시티의 한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다양한 배경과 고민을 가진 학생들과 교사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프란시스코 로메로는 멕시코 시티의 제10고등학교 "로사리오 카스테야노스"에 부임한 교사로, 학교 중퇴, 십 대 임신, 가정 폭력 등 현실적인 문제들을 마주한다.[1]
이 드라마는 프란시스코와 학교 상담 교사인 아드리아나의 사랑 이야기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직원들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보여준다. 아드리아나는 프란시스코와 사랑에 빠지지만, 아들과의 관계 때문에 갈등을 겪는다. 프란시스코는 이후 영어 교사 아나 마리아와 새로운 사랑을 하지만, 결국 학교 식당을 관리하는 앙헬라와 진정한 사랑을 찾게 된다.[3]
학교는 이야기의 중심 무대로, 주요 갈등이 벌어지고 해결되는 장소이다. 프란시스코는 학생들에게 학습의 즐거움과 더불어 권위, 우정, 동지애, 사랑의 중요성을 가르치려 노력한다.
이 텔레노벨라에서는 우정, 십 대의 알코올 남용, 성적 책임, 가정 폭력, 매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특히 가브리엘라와 마르셀라의 우정은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굳건히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2. 1. 주요 등장인물
프란시스코 로메로는 멕시코시티의 제10고등학교 "로사리오 카스테야노스"에 부임한 젊은 교사이다. 그는 학생들의 학교 중퇴, 십 대 임신, 가정 폭력 등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상담사, 심리학자, 의사, 탐정 역할까지 마다하지 않는다.[1] 그는 학생들에게 학습의 즐거움뿐만 아니라 권위 존중, 우정, 동지애, 사랑의 가치를 가르치려 노력한다.아드리아나는 학교 상담 교사로, 프란시스코와 협력하여 학생들을 돕는다. 프란시스코와 사랑에 빠지지만, 아들 문제로 인해 갈등을 겪는다.[3]
산티아고 카다비드는 프란시스코의 후임 교사이다. 과거 여학생과의 문제로 인해 강간 혐의를 받는 등 상처를 안고 있지만, 학생들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한다.
학생들은 각자 다양한 문제와 고민을 안고 성장해 나간다. 가브리엘라와 마르셀라는 우정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막달레나는 가정 폭력에 직면하며, 우고는 갱과 연루되어 사망한다. 카를로스는 마약 중독, 키케는 알코올 중독, 프레디는 동성애 문제, 다니엘라는 모델의 꿈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타티아나는 가난 때문에 갱단에 맞서 싸우고 마약에 빠지기도 한다. 제시카는 아버지의 무관심과 죽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으로 문제를 일으킨다.
2. 2. 주요 갈등
클라세 406의 주요 갈등은 학교폭력, 십 대 임신, 마약, 가정폭력 등 청소년 문제와 교사들의 학생 지도 및 개인적인 어려움, 그리고 등장인물 간의 사랑과 우정, 갈등이다.[1]이 드라마는 학교 중퇴, 십 대 임신, 거리 갱, 의붓딸을 학대하는 남성,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강제로 일하는 십 대, 자녀를 같은 길로 이끄는 알코올 중독 부모 등 전 세계 고등학생들이 겪는 매우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룬다.[1]
프란시스코는 학생들과 변화를 만들기 위해 상담사, 심리학자, 의사, 심지어 탐정의 역할까지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1]
십 대의 알코올 남용, 성적 책임, 가정 폭력 및 매춘도 이 작품에서 다루는 주제이다. 등장인물 중 막달레나는 가정 폭력에 직면하고, 우고는 갱과 연루되어 사망한다. 카를로스는 친구의 죽음 이후 마약 거래와 중독에 빠지고, 키케는 실연에 시달려 알코올 중독자가 된다. 프레디는 게이로 살아가는 문제에 직면하며, 모델이 되려는 다니엘라의 꿈은 그녀의 삶을 거의 끝낼 뻔한다.[1]
타티아나는 가족이 가난해져서 갱 406에 맞서 적응해야 하는 부유한 아이로서 자신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느낀다. 그녀는 결국 마약으로 이어진다. 가장 힘든 갈등은 프란시스코 교수가 그들과 고난을 함께 겪었지만 새 아내와 함께 떠나야 할 때이다.[1]
3. 등장인물
'클라세 406'은 다양한 등장인물들이 출연하여 극을 이끌어갔다. 주요 등장인물과 그 배역을 맡은 배우는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
---|---|
프란시스코 로메로 ("엘 마테마티코") 교수 | 호르헤 포사 |
산티아고 카다비드 / 루이스 펠리페 비야사나 | 프란시스코 가토르노 |
아드리아나 피네다 수아레스 / 앙헬라 피네다 수아레스 | 알레한드라 바로스 |
나디아 카스티요 보르케스 ("라 프로페 데 김나시아") | 미셸 비에트 |
막달레나 "마그디스" 리베라 ("라 레벨데") | 이란 카스티요 |
제시카 리켈메 드레흐 ("라 로카") | 아나이 |
가브리엘라 "가비" 차베스 레이 ("라 비르헨") | 셸린 |
마르셀라 "마르세" 메히아 ("라 오트라 비르헨") | 둘세 마리아 |
타티아나 델 모랄 ("라 리키야 포브레") | 사라 말도나도 |
페르난도 "페르초" 루세나 ("엘 치노") | 크리스티안 차베스 |
카를로스 무뇨스 ("엘 카바요") | 프란시스코 루비오 |
엔리케 "키케" 곤잘레스 ("엘 구아포") | 아론 디아스 |
다니엘라 "대니" 히메네스 로블레스 ("엘 쿠에르포 데 라 클라세") | 그레텔 발데스 |
후안 다비드 "후안초" 로드리게스 피네다 ("엘 리가도르") | 알폰소 에레라 |
알프레도 "프레디" 오르도네스 ("엘 콘센티도") | 프란츠 코시오 |
우고 살세도 ("엘 차보 반다") | 파블로 마갈라네스 |
산드라 파올라 로드리게스 피네다 ("라 에르마나") | 카를라 코시오 |
마리오 페르난데스 ("엘 가토") | 루이스 페르난도 페냐 |
이 외에도 세바스티안 룰리, 토니 달튼 등 많은 배우들이 조연 및 기타 배역으로 출연하여 드라마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3. 1. 주요 배역
- 호르헤 포사 - 프란시스코 로메로 "엘 마테마티코" 교수 역
- 프란시스코 가토르노 - 산티아고 카다비드 / 루이스 펠리페 비야사나 역
- 알레한드라 바로스 - 아드리아나 피네다 수아레스 / 앙헬라 피네다 수아레스 역
- 미셸 비에트 - 나디아 카스티요 보르케스 "라 프로페 데 김나시아" 역
- 이란 카스티요 - 막달레나 "마그디스" 리베라 "라 레벨데" 역
- 아나이 - 제시카 리켈메 드레흐 "라 로카" 역
- 셸린 - 가브리엘라 "가비" 차베스 레이 "라 비르헨" 역
- 둘세 마리아 - 마르셀라 "마르세" 메히아 "라 오트라 비르헨" 역
- 사라 말도나도 - 타티아나 델 모랄 "라 리키야 포브레" 역
- 크리스티안 차베스 - 페르난도 "페르초" 루세나 "엘 치노" 역
- 프란시스코 루비오 - 카를로스 무뇨스 "엘 카바요" 역
- 아론 디아스 - 엔리케 "키케" 곤잘레스 "엘 구아포" 역
- 그레텔 발데스 - 다니엘라 "대니" 히메네스 로블레스 "엘 쿠에르포 데 라 클라세" 역
- 알폰소 에레라 - 후안 다비드 "후안초" 로드리게스 피네다 "엘 리가도르" 역
- 프란츠 코시오 - 알프레도 "프레디" 오르도네스 "엘 콘센티도" 역
- 파블로 마갈라네스 - 우고 살세도 "엘 차보 반다" 역
- 카를라 코시오 - 산드라 파올라 로드리게스 피네다 "라 에르마나" 역
- 루이스 페르난도 페냐 - 마리오 페르난데스 "엘 가토" 역
3. 2. 조연
- 세바스티안 룰리 - 후안 에스테반 산 페드로 "엘 시콜로고" 역
- 알렉사 다미안 - 아나 마리아 론도뇨 "라 티처" 역
- 아라프 베트케 - 안토니오 "차초" 멘도사 쿠에르보 역
- 토니 달튼 - 다고베르토 "다고" 가르시아 "엘 비올라돌" 역
- 훌리오 카메호 - 더글러스 시푸엔테스 역
- 파비안 로블레스 - 지오반니 페레르 에스쿠데로 역
- 미겔 로다르테 - 레오나르도 "레오" 나바 역
- 프란체스카 기옌 - 삼사라/팔로마 역
- 라파엘 인클란 - 돈 에세키엘 쿠에르보 도밍게스 "엘 디렉토르" 역
- 베아트리즈 모레노 - 블랑카 이네스 "블란키타" 베테타 "라 세크레타리아" 역
3. 3. 기타 배역
- 마리아 페르난다 가르시아 - 마를렌 리베라 역
- 펠리페 나헤라 - 디오니시오 니노 인판테 역
- 호세 엘리아스 모레노 - 마누엘 델 모랄 역
- 루세로 란데르 - 도라 델 모랄 역
- 다비드 갈린도 - 호세 마누엘 델 모랄 역
- 아라셀리 말리 - 클라라 베탄코트 역
- 아르만도 에르난데스 - 시프리아노 고이티솔로 "엘 알레브리헤" 역
- 마누엘 란데타 - 곤잘로 아세로 역
- 이마놀 란데타 - 알레한드로 "알렉스" 아세로 피네다 "엘 뇬요" 역
- 루이스 페르난도 세바요스 - 발렌티노 역
- 카렌 후안토레나 - 바네사 역
- 알란 구티에레스 - 파블로 역
- 펠리페 산체스 - 슐리 나바 역
- 가브리엘라 플라타스 - 엘리사 카르마고스 역
- 리우바 데 라세 - 신디 "라 DJ" 역
- 엘레아사르 고메스 - 브라이언 리오스 역
- 웬디 곤잘레스 - 블랑카 우리베 소토 역
- 호세 루이스 레센데스 - 길베르토 베르날 선생님 역
- 후안 카를로스 콜롬보 - 돈 호르헤 리켈메 역
- 알레한드라 후라도 - 마틸데 로드리게스 역
- 수잔 본 - 실비아 역
- 지오반 단젤로 - 페데리코 "페데" 바르베라 역
- 캐서린 파필 - 안드레아 역
- 콘라도 오소리오 - 에드가르 역
- 카롤리나 린콘 - 수시 역
- 카를라 루엥가스 - 필라 "필리" 레이나 역
- 로베르토 아사드 - 딜런 "엘 DJ" 역
- 바비 라리오스 - 세사르 역
- 예시카 살라사르 - 브렌다 역
- 로데스 카날레 - 도냐 기예르미나 "기예" 무뇨스 역
- 엑토르 고메스 - 나르바에스 박사 역
- 후안 펠라에스 - 옥타비오 발렌수엘라 역
- 알마 세로 - 비앙카 역
- 케타 라바트 - 쿠키타 역
- 호세 루이스 코데로 "포촐로" - 루세나 씨 역
- 돌로레스 살로몬 "보도키토" - 바바라 데 루세나 역
- 아드리아나 라판 - 테레사 살세도 역
- 아구스틴 아라나 - 라미로 역
- 아드리아나 바라사 - 메이블 역
- 아르투로 가르시아 테노리오 - 로돌포 역
- 알리시아 파르 - 돌로레스 역
- 르네 카사도스 - 마놀로 역
- 아이토르 이투리오스 - 막스 브루어 역
- 호르헤 데 실바 - 루이지 페레르 역
- 폴리 - 에밀리아나 아스케나지 역
- 가브리엘라 베르무데스 - 미리암 역
- 소치틀 비힐 - 콘수엘로 역
- 파인 세후도 - 올가 리몬키 역
- 파올라 플로레스 - 도냐 클레오틸데 역
- 아이다 디아스 - 메르세데스 역
- 에스테르 디에스 - 세실리아 역
- 아드리안 마스 - 마르코 역
- 파블로 푸미안 - 로센도 역
- 아리아드네 펠리세르 - 에스테르 페냘로사 역
- 후안 안토니오 에드워즈 - 헤로니모 역
- 프란시스코 아벤다뇨 - 돈 움베르토 역
- 마리에스 로드리게스 - 발레리아 비야사나 역
- 가브리엘라 카노 - 아우로라 역
- 베로니카 이브라 - 안젤리카 역
- 사만타 로페스 - 알레한드라 바르보사 역
- 라켈 모렐 - 욜란다 보호르케스 역
- 움베르토 두페이론 - 루벤 역
- 훌리오 베가 - 후에르타 박사 역
- 에두아르도 데 라 페냐 - 구마로 역
- 후안 카를로스 나바 - 페드로 살세도 역
- 벤하민 이슬라스 - 라울 히메네스 역
- 안드레스 몬티엘 - 엘레아사르 에스피노사 역
- 알베르토 살라베리 - 에릭 역
- 미겔 프리에도 - 호르헤 히메네스 역
- 미겔 로요 - 마우리시오 페레이라 역
- 알레한드로 치앙게로티 - 이스라엘 안투네스 변호사 역
- 알리자이르 고메스 - 마리오 산페드로 역
- 아술 구아이타 - 후아니타 역
- 클라우디오 로호 - 파블로 베네데티 역
- 도브리나 크리스테바 - 나탈리아 역
- 자클린 볼테르 - 파비안 선생님 역
- 리자 윌러트 - 카탈리나 로드리게스 역
- 마리아냐 프라츠 - 실비아 역
- 마리솔 델 올모 - 에우헤니아 모레티 역
- 마르타 훌리아 - 안젤라 역
- 로상헬라 발보 - 베르타 역
- 록사나 사우세도 - 마리아나 역
- 텔마 도란테스 - 카르멜라 역
- 야타나 - 지나 데 프랑코 역
4. 주제
클라세 406es은 학교를 배경으로 청소년 문제, 사랑, 우정, 성장, 교육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1]
프란시스코 로메로는 멕시코 시티의 "로사리오 카스테야노스" 제10고등학교 교사로 부임하면서,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그들을 돕는다. 그는 학교 중퇴, 십 대 임신, 거리 갱, 가정 폭력 등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루며, 학생들에게 권위, 우정, 동지애, 사랑의 중요성을 가르친다.
이 이야기는 학교 안팎에서 벌어지는 교사와 학생들의 사랑 이야기도 다룬다. 프란시스코는 학교 상담사 아드리아나, 영어 교사 아나 마리아를 거쳐 학교 식당을 관리하는 앙헬라와 진정한 사랑을 찾는다.
4. 1. 청소년 문제
Rosario Castellanoses 고등학교의 학생들은 학교폭력, 십 대 임신, 마약, 가정폭력, 갱단 연루 등 다양한 청소년 문제에 직면한다.[1] 이는 전 세계 고등학생들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들이다.[1]막달레나는 가정 폭력에 직면하고, 우고는 갱단에 연루되어 사망한다.[1] 카를로스는 친구의 죽음 이후 마약 거래와 중독에 빠지며, 키케는 실연으로 알코올 중독자가 된다.[1] 프레디는 게이로서의 삶에 어려움을 겪고, 다니엘라는 모델이 되려는 꿈에 좌절한다.[1] 타티아나는 가난해진 가족 때문에 갱단 406에 맞서 싸우다 마약에 빠진다.[1]
4. 2. 사랑과 우정
프란시스코 로메로는 멕시코 시티의 제10고등학교 "로사리오 카스테야노스"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하면서 학생들과의 관계, 그리고 동료 교사와의 사랑을 경험한다. 학교 상담사인 아드리아나와 사랑에 빠지지만, 아드리아나는 아들과 프란시스코 사이에서 갈등하며 결국 아들을 선택한다.프란시스코는 새로운 영어 교사 아나 마리아와 두 번째 사랑의 기회를 얻지만, 결국 학교 식당을 관리하는 앙헬라와 진정한 사랑을 찾는다. 앙헬라는 십 대 자녀 후안 다비드와 산드라를 둔 워킹맘으로, 가정과 직장, 사랑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며 살아간다.
이 드라마는 또한 학생들 간의 우정을 다룬다. 가브리엘라와 마르셀라는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우정을 지켜나가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의 우정은 다른 사람의 조언보다는 스스로의 결정과 책임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을 통해 더욱 깊어진다.
4. 3. 성장
클라세 406의 등장인물들은 청소년기에 겪는 다양한 갈등과 성장을 경험한다. 이러한 갈등에는 학교 중퇴, 십 대 임신, 거리 갱, 가정 폭력, 마약, 알코올 중독 등이 있으며, 이는 전 세계 고등학생들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반영한다.[1]프란시스코 로메로 선생과 그의 학생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함께 겪으며 성장해 나간다.[1] 특히, 가브리엘라와 마르셀라의 우정 이야기는 고난 속에서도 우정을 지켜나가는 십 대들의 모습을 보여준다.[1]
막달레나는 가정 폭력, 우고는 갱 연루로 인한 사망, 카를로스는 마약 중독, 키케는 실연으로 인한 알코올 중독, 프레디는 동성애자로서의 어려움, 다니엘라는 모델 지망 중 위험 등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1] 타티아나는 가난해진 가정 형편으로 인해 갱 406에 맞서 싸우며 마약에 빠지기도 한다.[1] 이처럼,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1]
4. 4. 교육
프란시스코 로메로는 멕시코 시티의 "로사리오 카스테야노스" 제10고등학교 교사로, 학생들의 상담사, 심리학자, 의사, 탐정 역할까지 해야 함을 깨닫는다. 그는 학교 중퇴, 십 대 임신, 가정 폭력 등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루며 학생들에게 권위 존중, 우정, 사랑의 가치를 가르친다.이 드라마는 학교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들의 사랑 이야기도 다룬다. 프란시스코는 학교 상담사 아드리아나, 영어 교사 아나 마리아를 거쳐 식당 관리인 앙헬라와 진정한 사랑을 찾는다. 또한, 학생들의 우정, 십 대의 알코올 남용, 성적 책임, 가정 폭력, 마약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새로운 교수 산티아고는 학생들과의 관계 및 과거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다. 제시카는 아버지의 무관심과 어머니의 부재로 인해 문제를 일으키는 부잣집 딸로 등장한다.
5. 음악
이 드라마에는 두 개의 사운드트랙 앨범이 발매되었다. 첫 번째 사운드트랙 ''클라세 406''은 2003년 2월 18일에 발매되었고, 두 번째이자 마지막 사운드트랙인 ''Clase 406 El Siguiente Paso... !''는 2003년 8월 30일에 발매되었다.[2]
5. 1. 사운드트랙
'''클라세 406'''은 텔레노벨라의 데뷔 사운드트랙으로 2003년 2월 18일에 발매되었다.제목 | 아티스트 | 길이 |
---|---|---|
Me Urge | 클라세 406 출연진 | 0:27 |
Clase 406 | Caos | 3:08 |
Dónde Irán | La 5ª Estación | 3:17 |
Yo Soy Así | Ritmo Llamador | 3:41 |
¿Y Tú Ya? | 클라세 406 출연진 | 0:32 |
Prohibida | 라울 | 3:43 |
It's Ok | 로헬리오 마르티네스 | 3:03 |
Soun Tha Mi Primer Amor | Kinky | 3:10 |
Luna Lunera | Estopa | 3:46 |
¿Te Vas A Casar? | 클라세 406 출연진 | 0:44 |
En El 2000 | 나탈리아 라푸르카드 | 3:34 |
La Jarra | 클라세 406 출연진 | 0:16 |
La Cerveza Y El Dolor | Los Estrambóticos | 3:02 |
Niña | 니초 히노호사 | 3:45 |
Si Tú No Estás | Lik | 3:54 |
Agua Y Sal | 로사리오 | 3:11 |
Mori | Tranzas | 3:33 |
El Karma | 클라세 406 출연진 | 1:27 |
Karma Escolar | 클라세 406 출연진 | 3:15 |
Enamorada | 둘세 마리아 | 3:07 |
Baila | 셰를린과 아론 디아스 | 3:06 |
Una Historia De Amor | Atómica | 3:44 |
Y Todo Para Qué | Intocable | 3:09 |
'''''Clase 406 El Siguiente Paso... !'''''는 텔레노벨라의 두 번째이자 마지막 사운드트랙으로, 2003년 8월 30일에 발매되었다.[2]
제목 | 아티스트 | 길이 |
---|---|---|
De Dónde Vienes… A Dónde Vas…? | 아론 디아스, 크리스티안 차베스, 알폰소 에레라, 프란시스코 루비오, 그레텔 발데스, 둘세 마리아, 셰를린 | 2:35 |
Esta Noche | 크리스티안 차베스 | 3:21 |
Corazón de Ángel | 아론 디아즈, 크리스티안 차베스, 알폰소 에레라, 프란시스코 루비오 | 3:17 |
Vete | 둘세 마리아 | 3:21 |
Por Ti | 아론 디아즈, 크리스티안 차베스, 알폰소 에레라, 프란시스코 루비오 | 3:21 |
Dos Enamorados | 크리스티안 차베스 및 둘세 마리아 | 3:59 |
Shala La La | 아론 디아즈, 크리스티안 차베스, 알폰소 에레라, 프란시스코 루비오, 그레텔 발데스, 둘세 마리아, 셰를린 | 3:24 |
Grita | 아론 디아즈, 크리스티안 차베스, 알폰소 에레라, 프란시스코 루비오, 그레텔 발데스, 둘세 마리아, 셰를린 | 3:26 |
Pélame | 셰를린 | 3:21 |
Solo un Poquito | 프란시스코 루비오 및 셰를린 | 3:25 |
Jamas | 아론 디아즈 | 3:22 |
Mirame a los Ojos | 그레텔 발데스, 아론 디아즈, 둘세 마리아, 셰를린 | 3:24 |
6. 수상
연도 | 상 | 부문 | 후보 | 결과 |
---|---|---|---|---|
2003 | 제21회 TVyNovelas상[3] | 최우수 조연상 | 라파엘 인클란 | 수상 |
최우수 여자 신인상 | 세를린 | 후보 | ||
최우수 남자 신인상 | 크리스티안 차베스 | 수상 | ||
Palmas de Oro Awards[4] | 최우수 신인 여우주연상 | 사라 말도나도 | 후보 |
참조
[1]
웹사이트
Clase 406
http://www.alma-lati[...]
alma-latina.net
2016-05-22
[2]
웹사이트
Planean tener 'clase' semanal
https://www.elsiglod[...]
2022-03-10
[3]
웹사이트
La noche de 'La Otra'
http://www.esmas.com[...]
2023-05-08
[4]
웹사이트
Reconocen periodistas talentos de la pantalla chica
https://archivo.elun[...]
2023-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