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코닥틸루스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코닥틸루스과는 2개의 아과와 15개의 속을 포함하는 게과의 일종이다. 딜로카르키누스아과는 1978년 Pretzmann에 의해 분류되었으며, 보티엘라속, 딜로카르키누스속 등 12개의 속을 포함한다. 트리코닥틸루스아과는 H. 밀른-에드워즈가 1853년에 명명했으며, Avotrichodactylus, Rodriguezia, Trichodactylus의 3개 속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리 밀네두아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판다속
판다속은 곰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자이언트판다와 멸종된 근연종을 포함하며, 크고 넓은 어금니와 발달된 턱 근육을 가진 것이 특징이고, 곰과 내에서 판다아과 또는 곰아과 내의 자이언트판다족으로 분류된다. - 앙리 밀네두아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아시아두더지류
아시아두더지류는 땃쥐와 비슷한 외형의 두더지과 포유류 분류군으로, 일부 종은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며, 과거 분류 체계와 현재 명칭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게 - 바위게
바위게는 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하며 육상에서 활동하는 포식성 게로,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 게 - 참게
참게는 집게발에 강모 뭉치가 있고 민물에서 살다가 번식을 위해 바다로 이동하는 역이동 생물이며,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개체 수 감소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트리코닥틸루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트리코닥틸루스과 | |
![]() | |
분류학적 정보 | |
화석 범위 | 마이오세 - 현세 |
상위 분류군 | 에우브라키우라 |
학명 | Trichodactylidae |
명명자 | H. Milne-Edwards, 1835 |
하위 분류 | |
아과 | 딜로카르키누스아과 (Dilocarcininae) 프레토포텔파우사아과 (Pretzmanniinae) 트리코닥틸루스아과 (Trichodactylinae) |
2. 하위 분류
트리코닥틸루스과는 2개 아과, 15개 속으로 이루어져 있다.[10]
하위 아과 및 속은 다음과 같다.
- 딜로카르키누스아과 (Dilocarcininae)
- 트리코닥틸루스아과 (Trichodactylinae)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조.)
2. 1. 딜로카르키누스아과 (Dilocarcininae)
딜로카르키누스아과(Dilocarcininae)는 1978년 프레츠만(Pretzmann)에 의해 분류되었으며[10], 다음 속을 포함한다.속(Genus) | 학명(Binomial name) |
---|---|
Bottiella | Magalhães & Türkay, 1996 |
Dilocarcinus | H. Milne-Edwards, 1853 |
Forsteria | Bott, 1969 |
Fredilocarcinus | Pretzmann, 1978 |
Goyazana | Bott, 1969 |
Melocarcinus | Magalhães & Türkay, 1996 |
Moreirocarcinus | Magalhães & Türkay, 1996 |
Poppiana | Bott, 1969 |
Rotundovaldivia | Pretzmann, 1968 |
Sylviocarcinus | H. Milne-Edwards, 1853 |
Valdivia | White, 1847 |
Zilchiopsis | Bott, 1969 |
2. 2. 트리코닥틸루스아과 (Trichodactylinae)
트리코닥틸루스아과(Trichodactylinae)는 H. Milne-Edwards가 1853년에 명명했으며,[10] 아래 3개 속을 포함한다.- 아보트리코닥틸루스속 (''Avotrichodactylus'') Pretzmann, 1968
- 로드리게지아속 (''Rodriguezia'') Bott, 1969
- 트리코닥틸루스속 (''Trichodactylus'') Latreille, 1829
참조
[1]
ITIS
2010-10-06
[2]
학술지
Behavioral repertory of ''Trichodactylus panoplus'' (Crustacea: Trichodactylida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http://www.scielo.br[...]
[3]
학술지
Taxonomic and distributional results of a freshwater crab fauna survey (Family Trichodactylidae) on São Sebastião Island (Ilhabela), South Atlantic, Brazil
http://www.sblimno.o[...]
[4]
학술지
A new freshwater crab (Decapoda: Brachyura: Potamonautidae) from the Paleogene of Tanzania, Africa
http://www.oucom.ohi[...]
[5]
학술지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http://rmbr.nus.edu.[...]
[6]
ITIS
2010-10-06
[7]
저널
Behavioral repertory of ''Trichodactylus panoplus'' (Crustacea: Trichodactylida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http://www.scielo.br[...]
[8]
저널
Taxonomic and distributional results of a freshwater crab fauna survey (Family Trichodactylidae) on São Sebastião Island (Ilhabela), South Atlantic, Brazil
http://www.sblimno.o[...]
2012-10-04
[9]
저널
A new freshwater crab (Decapoda: Brachyura: Potamonautidae) from the Paleogene of Tanzania, Africa
http://www.oucom.ohi[...]
2012-10-04
[10]
저널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http://rmbr.nus.edu.[...]
2012-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