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리목 분류 체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목은 모기류와 파리류, 즉 등에류로 나뉘며, 등에류와 파리류를 포함하는 분류군은 등에아목이다. 등에아목 상위에는 신파리아목이 존재하며, 모기류는 측계통군으로 모기아목으로 묶인다. 등에아목은 환봉하목과 직봉하목으로 구분되며, 환봉하목은 원열이마류와 분열이마류로 나뉜다. 원열이마류는 유판아류와 무판아류로 세분된다. 한국의 파리목 분류는 한국곤충명집(2021)을 기준으로 하며, 단계통군과 측계통군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류 체계 - 수지 식별 코드
    수지 식별 코드는 플라스틱 재질을 구분하고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국 플라스틱 산업 협회에서 도입한 코드 시스템으로, 플라스틱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가 제품에 표시되어 재활용 과정에서 재질 식별을 돕지만, 재활용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ASTM 인터내셔널이 표준을 개정하고 지속 가능한 포장 연합이 소비자의 이해를 돕는 라벨을 사용하고 있다.
  • 분류 체계 - 콜론 분류법
    콜론 분류법은 시얄리 라마므리타 랑가나단이 개발한 도서 분류 체계이며, PMEST 범주를 활용하고 콜론(:)을 사용하여 주제의 다양한 측면을 연결하는 특징을 가진다.
  • 파리목 - 체체파리
    체체파리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혈액을 매개로 트리파노소마 원생생물을 전파하여 인간과 가축에게 각각 수면병과 나가나병을 일으키는 흡혈 곤충으로, 길고 얇은 주둥이와 독특한 날개 형태로 다른 파리들과 구별되며 서식 환경과 숙주 선호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뉜다.
  • 파리목 - 모기아목
    등에아목은 짧은 더듬이와 구더기 형태의 유충, 9쌍의 기문을 가진 파리목의 한 아목으로, 파리매하목, 집파리하목, 동애등에하목, 등에하목, 베르밀레오하목, 밑들이파리매하목 등을 포함하며 분류가 복잡하다.
파리목 분류 체계
서론
제목파리목의 분기 방산
저널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
108
14
페이지5690-5.
Brian M Wiegmann 등.
날짜2011

2. 파리목의 계통 분류

파리목은 일반적으로 모기류와 파리류, 즉 등에류로 나뉜다. 등에류와 파리류를 포함하는 분류군은 단계통군이고, 이들을 등에아목(Brachycera)이라고 한다.

등에아목 상위에 신파리아목(Neodiptera)도 주목할 만하다. 이 단계통군은 등에아목과 함께 모기와 파리의 중간쯤 되어 보이는 털파리하목(Bibionomorpha)을 자매군으로 포함한다. 신파라아목은 앞가슴-목 부위(pronoto-cervical region)의 골격-근육 변화(skeleto-muscular modifications)에서 볼 수 있는 4가지 특징적 공유파생형질에 의해 지지되는 단계통군이다.

모기류는 단계통군이 아닌 측계통군이며, 보통 이들을 한데 묶어 모기아목(Nematocera)이라고 한다.

2. 1. 모기아목과 등에아목

파리목은 일반적으로 모기류와 파리류, 즉 등에류로 나뉜다. 등에류와 파리류를 포함하는 분류군은 단계통군이고, 이들을 등에아목(Brachycera)이라고 한다.

등에아목 상위에 신파리아목(Neodiptera)도 주목할 만하다. 이 단계통군은 등에아목과 함께 모기와 파리의 중간쯤 되어 보이는 털파리하목(Bibionomorpha)을 자매군으로 포함한다. 신파라아목은 앞가슴-목 부위(pronoto-cervical region)의 골격-근육 변화(skeleto-muscular modifications)에서 볼 수 있는 4가지 특징적 공유파생형질에 의해 지지되는 단계통군이다.

모기류는 단계통군이 아닌 측계통군이며, 보통 이들을 한데 묶어 모기아목(Nematocera)이라고 한다.

2. 2. 등에아목 내의 하위 분류

등에아목은 크게 환봉하목과 직봉하목으로 구분되곤 했다.

직봉하목(Orthorrhapha)은 우화 시 갈라지는 선이 직선 또는 T자를 이루는데, 단계통군이지만 직봉하목 내 계통관계는 모기아목처럼 복잡하다.

환봉하목(Cyclorrhapha)은 우화 시 갈라지는 선이 머리쪽 원형 솔기(circular seam)를 따라 열리며, 단계통군이다. 우화 시 성충은 대부분 머리에 이마주머니(ptilinum)가 있어서 여기서 풍선 같은 주머니가 부풀면서 원형 솔기를 밀어 따고 이를 통해 우화한다. 원형 솔기는 원형 개구(circular opening)를 위한 것인데, 환봉아목에 속하는 파리류의 대부분은 이 개구를 따고 우화하기 위해 특별히 풍선처럼 부풀릴 수 있는 구조물이 튀어나오는 이마주머니(ptilinum)가 있다. 이 이마주머니는 환봉하목 내 원열이마류(Schizophora)에서 발견된다.

축소중맥하목(Eremoneura)은 단계통군으로, 유충이 3령이며, 환봉아목과 춤파리상과(Empidoidea)를 환봉하목의 자매군으로 포함한다. 춤파리상과(Empidoidea)는 환봉하목의 자매군으로, 직봉하목 파리처럼 환상의 개구(circular opening)가 없고 우화 시 등은 접힌 선이나 약한 부위를 따라 거의 종으로 갈라진다. 그러나 환봉하목 파리처럼 시맥에서 중맥 M4의 소실 또는 M3와의 융합 특성을 가지며, 이는 축소중맥하목의 공유파생형질로 인지된다.

2. 3. 환봉하목 내의 하위 분류

환봉하목은 단계통군인 원열이마류와 측계통군인 분열이마류로 나뉜다.

원열이마류(Schizophora)는 복잡한 계통 관계를 보이지만 잘 구성된 단계통군이다. 환봉아목은 위용(coarctated pupa)의 특징을 갖는데, 원열이마류는 그 중에서도 성충이 이마주머니(ptilinum)를 가지고 있어 유각(puparium)을 탈출할 때 이용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마주머니는 이후 더듬이 주변으로 역U자 형태의 흔적(이마주머니 선, ptilinal suture)을 남긴다.

분열이마류(Aschiza)는 환봉하목에서 원열이마류를 제외한 나머지를 모두 포함하는 그룹으로, 꽃등에과를 포함하고 있으며, 단계통군이 아니다. 이들도 용화 시 유각을 이용하지만 성충에게 이마주머니가 없어 유각 탈출 시 근육 등 다른 수단을 이용한다.

집파리하목(Muscomorpha)은 과거 환봉하목에 파리매상과(Asiloidea)를 포함하는 분류군이었으나, 이후 파리매상과가 직봉하목에 포함되면서 사실상 환봉하목과 동일시되고 있다.

2. 4. 원열이마류 내의 하위 분류

원열이마류는 단계통의 유판아류와 그 나머지의 무판아류로 나뉜다.

무판아류(Acalyptratae)는 원열이마류 중 날개 기부엽(calypter)이 없는 것들을 모아 일컫는 명칭이다.

유판아류(Calyptratae)는 날개 기부엽(calypter)이 존재하는 분류군이다. 날개 기부엽(pl. calypteres or calypters)은 squama (pl. squamae)라고도 하는데, 날개의 alula와 가까운, 기부에서 더 멀고 더 위쪽에 위치한 것을 upper calypter(날개 상기부엽), 가슴에 가까운, 기부에 더 가깝고 더 아래쪽에 위치한 것을 lower calypter(날개 하기부엽)라고 한다. 날개를 접듯이 하면 상기부엽이 뒤집듯 접히면서 하기부엽 위로 오며, 하기부엽은 평균곤(halter(e))의 위쪽에서 보호덮개의 역할을 한다.

Alula는 곤충학용어집(2013)에 날개기편 또는 날개 기부엽으로 번역되지만, 날개 기부엽은 calypter가 이미 그렇게 번역되고 있으므로 날개기편으로 쓰는 것이 그나마 낫겠다. 날개기편은 날개 상기부엽에 가까운, 그러나 calypter와는 다른, 날개의 일부이다.

3. 한국의 파리목 분류 현황

섬네일


한국곤충명집(2021)을 기준으로 국내 분류군을 배치하면 위 그림과 같다.

Wiegmann et al. (2011)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단계통으로 확인된 것은 밑줄로, 단계통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이탤릭체로 표기하였다.

한국곤충명집(2021)에 분류군 명칭이 없는 경우는 괄호 안에 적어 주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