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라 랩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라 랩스는 에반 윌리엄스와 메그 후리한이 1999년에 공동 설립한 회사이다. 이 회사는 프로젝트 관리, 연락처 관리, 할 일 목록 기능을 갖춘 웹 애플리케이션 "Pyra"를 개발했다. 파이라의 사내 도구로 시작된 블로거는 1999년 8월에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2003년 2월 구글에 인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설립된 소프트웨어 기업 - 냅스터
냅스터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운영된 P2P 파일 공유 서비스로, MP3 파일 공유를 용이하게 하여 음악 산업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나 현재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운영되고 있다. - 1999년 설립된 소프트웨어 기업 - NHN
NHN은 1999년 한게임 커뮤니케이션으로 시작하여 네이버와의 합병 및 분할, 사명 변경을 거쳐 게임, 클라우드, 커머스, 페이먼트, 디지털 광고, 콘텐츠 등 다양한 IT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한게임, 페이코, NHN클라우드 등의 주요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외 시장에 진출한 대한민국의 IT 기업이다. - 구글 인수 기업 - 유튜브
유튜브는 2005년 설립되어 다양한 비디오 콘텐츠를 공유하는 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성장, 구글에 인수된 후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하고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으나, 저작권 문제, 극단주의 콘텐츠 확산, 개인정보보호 논란 등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광고 차단 프로그램 단속 강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 구글 인수 기업 - 구글 딥마인드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스타크래프트 II 인공지능 알파스타는 프로게이머를 상대로 뛰어난 실력을 입증했으며, 딥마인드는 이를 인공 일반 지능 개발을 위한 시도로 간주한다.
파이라 랩스 | |
---|---|
기본 정보 | |
소유주 | 구글 |
회사 종류 | 자회사 |
설립일 | 1999년 1월 1일 |
소재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제품 | 블로거 |
웹사이트 | pyra.com |
서비스 시작일 | 알 수 없음 |
현재 상태 | 오프라인 (2003년 2월 17일) |
2. 역사
파이라 랩스는 에반 윌리엄스와 메그 후리한이 1999년에 공동으로 설립한 회사이다. 초기에는 프로젝트 관리, 연락처 관리, 할 일 목록 기능을 합친 웹 애플리케이션 'Pyra'를 개발했다. 1999년, 이 'Pyra'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내부 도구를 발전시켜 블로거 서비스를 만들었고, 같은 해 8월에 일반 사용자들에게 공개했다.[8][1][5]
처음에는 수익 모델 없이 무료로 운영되었으나, 2001년 자금난에 부딪혔다.[2] 에반 윌리엄스는 트렐릭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광고 기반의 블로그스팟과 유료 서비스인 '블로거 프로'를 출시하며 사업을 이어갔다.
2002년에는 블로거 시스템을 다른 회사에 라이선스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재개발했으며, 브라질의 글로보.com과 첫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 이후 2003년 2월 17일, 파이라 랩스는 구글에 인수되었다. 인수 금액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다.[9][3][6]
2. 1. 설립과 초기 제품
파이라 랩스는 1999년 에반 윌리엄스와 메그 후리한이 공동으로 설립했다. 회사의 첫 번째 제품은 'Pyra'로, 프로젝트 관리, 연락처 관리, 할 일 목록 기능을 결합한 웹 애플리케이션이었다. 개발자 잭 도시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 웹 로그에 콘텐츠를 쉽게 업로드할 수 있도록 FTP 프로그램을 웹 페이지 환경에 맞게 수정했다.[5] 1999년, 아직 베타 버전이었던 Pyra의 기본 기능은 사내 도구로 용도가 변경되어 '블로거(Blogger)'의 기반이 되었다. 이 서비스는 1999년 8월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주요 코딩 작업은 폴 바우쉬(Paul Bausch)와 매튜 호히가 담당했다.[8][1][5] 초기에 블로거는 별도의 수익 모델 없이 완전 무료로 제공되었다.[2]2. 2. 블로거의 탄생과 발전
파이라 랩스는 에반 윌리엄스와 메그 호리한이 공동으로 설립한 회사이다. 회사의 첫 번째 제품은 프로젝트 관리자, 연락처 관리자, 할 일 목록 기능을 통합한 "Pyra"라는 이름의 웹 애플리케이션이었다. 개발 초기, 잭 도르시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웹 로그에 직접 콘텐츠를 올릴 수 있도록 FTP 프로그램을 웹 환경에 맞게 수정했다.[5] 1999년, 아직 베타 단계에 있던 "Pyra"의 핵심 기능은 사내 도구로 용도가 변경되어 블로거 서비스의 기반이 되었다. 이 서비스는 1999년 8월에 일반 사용자들에게 공개되었으며, 주요 코딩 작업은 폴 바우쉬(Paul Bausch)와 매튜 호이가 담당했다.[1][5]처음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블로거는 완전히 무료로 제공되었고 별도의 수익 모델이 없었다. 2001년 1월, 파이라 랩스는 운영 자금 부족으로 블로거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서버 구매를 위한 기부를 요청하기에 이르렀다.[2] 비슷한 시기에 초기 투자금(종잣돈)마저 소진되면서, 직원들은 몇 주에서 길게는 몇 달간 급여를 받지 못하고 일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은 지속되기 어려웠고, 결국 공동 창업자인 메그 호리한을 포함한 대부분의 직원이 회사를 떠나게 되었다. 에반 윌리엄스는 거의 혼자서 회사를 운영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으나, 댄 브릭린이 파이라 랩스의 어려운 사정을 알게 된 후 트렐릭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바탕으로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는 블로그스팟(Blogspot)과 유료 서비스인 '블로거 프로(Blogger Pro)'를 출시하며 재정적 안정을 찾기 시작했다.
2002년에는 블로거 서비스를 다른 회사에 라이선스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재개발했다. 첫 번째 라이선스 계약은 브라질의 글로보.com과 체결되었다.
이후 2003년 2월 17일, 파이라 랩스는 구글에 인수되었으며, 인수 금액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다.[3][6]
2. 3. 구글 인수와 이후
2003년 2월 17일, 파이라 랩스는 비공개 금액으로 구글에 인수되었다.[9][3][6] 인수 약 1년 후인 2004년, 공동 창립자 에반 윌리엄스는 구글을 퇴사했다.[7]3. 주요 관계자
파이라 랩스의 설립과 블로거 서비스 개발에는 여러 인물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에반 윌리엄스와 메그 호리한이 회사를 공동으로 설립했으며[1], 초기 블로거 개발에는 폴 바우쉬와 매튜 호이가 핵심적인 코딩 작업을 담당했다.[1][8] 잭 도시 역시 초기 개발 과정에 참여했다.[5] 회사가 재정적 어려움을 겪던 시기에는 댄 브릭린의 소개로 트렐릭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하여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파이라 랩스는 2003년 구글에 인수되었다.[9][3]
3. 1. 에반 윌리엄스
에반 윌리엄스는 메그 후리한과 함께 파이라 랩스를 공동 설립한 인물이다. 파이라 랩스의 첫 제품은 프로젝트 관리, 연락처 관리, 할 일 목록 기능을 합친 웹 애플리케이션 "Pyra"였다. 이후 잭 도시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서 직접 블로그 게시물을 올릴 수 있도록 FTP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데 기여했다. 1999년, Pyra의 기본 기능은 사내 도구로 용도가 변경되어 오늘날 알려진 '블로거' 서비스의 기초가 되었으며, 같은 해 8월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블로거의 초기 개발에는 폴 바우쉬와 매튜 호이가 크게 기여했다.[8][1][5]초기에 블로거는 별도의 수익 모델 없이 무료로 운영되었다. 2001년 1월에는 운영 자금 마련을 위해 사용자들에게 서버 비용 기부를 요청하기도 했다.[2] 자금난이 심화되면서 직원들은 몇 주에서 몇 달간 급여를 받지 못하고 일했으나, 결국 공동 창업자 메그 후리한을 포함한 대부분의 직원이 회사를 떠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후 에반 윌리엄스는 거의 혼자서 회사를 운영해야 했다. 그는 댄 브릭린의 도움으로 트렐릭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고, 이를 바탕으로 광고 기반의 블로그스팟과 유료 서비스인 블로거 프로를 출시하며 회사를 정상화시켰다.
파이라 랩스는 2003년 2월 17일, 비공개 금액으로 구글에 인수되었다.[9][3][6] 에반 윌리엄스는 구글에 합류했으나, 약 1년 뒤인 2004년경 구글을 떠났다.[7]
3. 2. 메그 후리한
메그 호리한은 에반 윌리엄스와 함께 파이라 랩스를 공동 설립했다.[1] 2001년 초, 파이라 랩스는 자금난을 겪으며 종잣돈이 고갈되었고, 직원들은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급여를 받지 못하고 일해야 했다.[2]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기 어렵게 되자, 호리한은 다른 직원들과 함께 회사를 떠났다.[2]3. 3. 잭 도시
잭 도시는 파이라 랩스 초기 개발 과정에 참여했다. 그는 웹 페이지에서 작동하도록 FTP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 블로그에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5]3. 4. 폴 바우쉬와 매튜 호히
폴 바우쉬는 FTP 프로그램을 웹 페이지에서 작동하도록 수정하여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의 웹로그에 콘텐츠를 쉽게 업로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1] 그와 매튜 호이는 파이라 랩스의 초기 서비스, 특히 블로거 개발 과정에서 핵심적인 코딩 작업을 담당했다.[1][5][8] 블로거 서비스가 1999년 8월 일반에 공개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이들의 기술적 기여가 중요하게 작용했다.[1][5]참조
[1]
서적
Say Everything: How Blogging Began, What It's Becoming, and Why It Matters
Crown
2009-07-07
[2]
간행물
Dot-Com Begs for Bucks
https://www.wired.co[...]
2012-04-12
[3]
웹사이트
Google buys Blogger web service
https://www.theguard[...]
2018-01-25
[4]
웹사이트
PYRA2.0
http://pyra.com/
2023-05-28
[5]
서적
Say Everything: How Blogging Began, What It's Becoming, and Why It Matters
https://archive.org/[...]
Crown
2009-07-07
[6]
웹사이트
Googleが“Blog”作成ツール開発元のPyra Labsを買収
https://internet.wat[...]
インプレス
2023-05-27
[7]
웹사이트
Bloggerサービスの創設者E・ウィリアムズがグーグル退社へ
https://japan.cnet.c[...]
朝日インタラクティブ
2023-05-27
[8]
서적
Say Everything: How Blogging Began, What It's Becoming, and Why It Matters
Crown
2009-07-07
[9]
웹인용
Google buys Blogger web service
https://www.theguard[...]
2018-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