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양소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양소공주는 태목황후의 딸로, 당나라를 건국하는 과정에서 군대를 이끌고 활약한 여성이다. 시소에게 시집을 갔으며, 아버지 이연이 거병하자 군사를 모아 지원하고, 낭자군을 이끌며 장안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다. 당나라 건국 후 평양공주에 봉해졌으나, 623년에 사망했다. 고조는 그녀의 장례에 군사적 예우를 갖추도록 했으며, 평양소공주는 중국 역사상 군사 장례를 치른 유일한 여성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23년 사망 - 길장
    길장은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 중국에서 활동한 승려이자 삼론종의 대표적인 학자로, 금릉에서 태어나 구마라집의 중관 논서를 연구하고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그의 사상은 일본 삼론종을 거쳐 한국 불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 623년 사망 - 유흑달
    유흑달은 수나라 말기, 당나라 초기에 활동한 인물로, 농민 반란에 참여하여 이밀 휘하에서 활동하다가 당나라에 대항했으나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중국의 여장군 - 양홍옥
    양홍옥은 송나라 시대의 여성으로, 무술에 능하며 남편 한세충과 함께 항금 전쟁에 참여하여 황천탕 전투에서 북을 치며 군대를 지휘해 승리에 기여했고, 빈국부인으로 추증되었다.
  • 중국의 여장군 - 마운록
    마운록은 삼국 시대 마등의 딸이자 마초의 동생으로, 무예가 뛰어나 아버지의 복수를 다짐하고 조운과 결혼하여 촉한 통일에 기여했으며, 삼국지 시리즈에 등장한다.
평양소공주
기본 정보
당공주(설당연의전전)
당공주(설당연의전전)
이름평양공주
봉호평양소공주 (平陽昭公主)
시호소 (昭)
생애
출생583년 ~ 598년 사이
사망623년 3월
부모당 고조 (태목황후)
배우자재소
자녀재철위, 교국공 (柴哲威)
재령무, 상양국공 (柴令武)
가계
아버지당 고조
어머니태목두황후
기타 정보
관련 항목낭자군 (娘子軍)

2. 생애

평양소공주는 태목황후의 외동딸로, 시소와 결혼했다. 617년 아버지 이연이 태원에서 거병하자, 남편과 함께 장안에 있다가 호현으로 이동하여 군사를 모아 아버지를 도왔다. 여러 지역을 경략하고 군대를 이끌며 당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 이 군대는 '''낭자군'''(娘子軍)으로 불리었다. 618년 평양공주에 봉해졌으나, 623년 사망했다. 고조는 그녀의 장례에 우보(羽葆), 고취(鼓吹), 대로(大路), 휘당(麾幢), 호분(虎賁), 갑졸(甲卒), 반검(班劍)의 예를 추가하며 특별한 예를 갖추도록 명했다. 슬하에 시철위와 시령무 두 아들을 두었다.[2]

2. 1. 당나라 건국 이전

태목황후의 외동딸로 태어났으며, 성인이 된 후 시소에게 시집갔다.

617년(대업 13년) 아버지 이연이 태원에서 거병했을 때 남편과 함께 장안에 있었다. 남편 시소는 샛길을 통해 태원으로 가고, 평양소공주는 호현(鄠縣)으로 이동했다. 이후 사재를 털어 병사 수백 명을 모아 아버지를 도왔다. 하반인(何潘仁)이 사죽원(司竹園)에서 총관을 칭하자 가노(家奴) 마삼보를 파견해 무찌르고 호현을 공격했다. 이후 무공(武功)·주질(盩厔)·시평(始平)을 경략한 뒤 이중문(李仲文)·상선지(向善誌)·구사리(丘師利) 등을 연이어 격파했다. 부중에서 법을 준수할 것을 맹세하게 하고 약탈을 금하자 관중 인근에서 공주를 따르는 자가 줄을 이었고 병사는 7만에 달했다고 한다.

이연이 이끄는 군대가 황하를 건너자 평양소공주도 위북에서 이세민의 군대와 합류했다. 시소도 합류하여 공주는 시소와 함께 막부를 설치해 장안을 평정했다. 이때 공주가 이끄는 부대를 낭자군(娘子軍)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2. 2. 당나라 건국 이후

태목황후의 유일한 딸로 태어났으며, 성인이 된 후 시소에게 시집갔다.[2]

617년(대업 13년) 아버지 이연이 태원에서 거병했을 때 남편과 함께 장안에 있었다. 공주는 남편은 샛길을 통해 태원에 가게 하고 자신은 호현(鄠縣)으로 이동했다. 이후 재산을 털어 병사 수백 명을 모아 아버지를 도왔다. 하반인(何潘仁)이 사죽원(司竹園)에서 총관을 칭하자, 가노 마삼보를 파견해 무찌르고 호현을 공격했다. 이후 무공현(武功), 주질현(盩厔), 시평현(始平)을 경략한 뒤 이중문(李仲文), 향선지(向善誌), 구사리(丘師利) 등을 연이어 격파했다. 부하들에게 법을 준수할 것을 맹세하게 하고 약탈을 금지하자 관중 인근에서 공주를 따르는 자가 많아 병사가 7만에 달했다고 한다.[2] 이연이 이끄는 군대가 황하를 건너자 공주도 위북에서 이세민의 군대와 합류했다. 시소도 합류하여 공주는 시소와 함께 막부를 설치해 장안을 평정했다. 이때 공주가 이끄는 부대를 '''낭자군(娘子軍)'''이라고 불렀다고 한다.[2] 618년(의녕 2년) 이연이 수 공제의 양위를 받아 당나라를 세우자, 황제가 된 아버지에 의해 평양공주에 봉해졌다.[2]

623년(무덕 6년) 사망했다. 공주의 장례식을 치를 때 고조는 우보(羽葆), 고취(鼓吹), 대로(大路), 휘당(麾幢), 호분(虎賁), 갑졸(甲卒), 반검(班劍)의 예를 추가하도록 했다. 공주의 장례를 담당하는 태상은 "예부터 부인의 장례에 고취의 예를 갖춘 적이 없었습니다"라며 반대했지만, 고조는 "고취는 군악이다. 공주의 몸으로 꽹과리와 북을 쥐고 군명에 참배한 이가 있었는가. 고취의 예를 취하는 것이 가히 적합하다"라며 듣지 않았다.[2]

슬하에 시철위(柴哲威)와 시령무(柴令武) 두 아들을 두었다.[2]

3. 가족 관계


  • 아버지: 당 고조
  • 어머니: 태목황후
  • 남편: 시소
  • 아들
  • 시철위
  • 시령무

4. 평가

平陽公主|평양공주중국어당 고조의 통치 기간 동안 세운 공헌과 그에 따른 평가를 통해 그녀의 특별한 지위와 당나라 건국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平陽公主|평양공주중국어태목황후의 유일한 딸로, 시소에게 시집갔다. 617년 아버지 이연태원에서 거병했을 때, 남편과 함께 장안에 있었다. 남편은 샛길을 통해 태원으로 가고, 공주는 호현으로 이동하여 사재를 털어 병사 수백 명을 모아 아버지를 도왔다.[2] 하반인을 무찌르고 호현을 공격했으며, 무공, 주질, 시평을 경략하고 이중문, 상선지, 구사리 등을 격파했다. 부하들에게 법을 준수할 것을 맹세하게 하고 약탈을 금지하여 관중 인근에서 따르는 자가 많아져 병사가 7만에 달했다고 한다.[2]

이연이 이끄는 군대가 황하를 건너자, 平陽公主|평양공주중국어이세민의 군대와 합류했다. 시소도 합류하여 함께 막부를 설치하고 장안을 평정했는데, 이때 공주가 이끄는 부대를 '''낭자군'''(娘子軍)이라고 불렀다.[2] 618년 당나라 건국 후 고조에 의해 평양공주에 봉해졌다.[2]

623년(무덕 6년) 平陽公主|평양공주중국어가 서거하자, 당 고조는 장례식에 우보(羽葆)·고취(鼓吹)·대로(大路)·휘당(麾幢)·호분(虎賁)·갑졸(甲卒)·반검(班劍)의 예를 추가하도록 했다. 이는 고위 장군에게나 허락되는 예였다.[2] 담당 관리가 "예부터 부인의 장례에 고취의 예를 갖춘 적이 없었습니다"라며 반대했지만, 당 고조는 "고취는 군악이다. 공주의 몸으로 꽹과리와 북을 쥐고 군명에 참배한 이가 있었는가. 고취의 예를 취하는 것이 가히 적합하다"라며 듣지 않았다.[2]

이러한 사실은 平陽公主|평양공주중국어가 단순한 황족이 아니라, 군사적 능력을 갖춘 지도자로서 당나라 건국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그녀의 군사적 업적과 당 고조의 특별 대우는 그녀가 당대 사회에서 중요한 인물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5. 기타

태목황후의 유일한 딸로, 성인이 된 후 시소에게 시집갔다.[2] 슬하에 시철위와 시령무 두 아들을 두었다.

617년(대업 13년) 아버지 이연태원에서 군사를 일으켰을 때 남편과 함께 장안에 있었다. 남편 시소는 샛길을 통해 태원으로 가고, 공주는 호현(鄠縣)으로 이동하여 재산을 털어 병사 수백 명을 모아 아버지를 도왔다. 하반인(何潘仁)이 사죽원(司竹園)에서 총관을 칭하자 가노(家奴) 마삼보를 파견해 무찌르고 호현을 공격했다. 이후 무공(武功)·주질(盩厔)·시평(始平)을 경략하고 이중문(李仲文)·상선지(向善誌)·구사리(丘師利) 등을 연이어 격파했다. 군사들에게 법을 준수할 것을 맹세하게 하고 약탈을 금지하자 관중 인근에서 공주를 따르는 자가 줄을 이었고 병사는 7만에 달했다고 한다.[2]

이세민의 군대와 합류한 후, 시소와 함께 막부를 설치해 장안을 평정했다. 이때 공주가 이끄는 부대를 낭자군(娘子軍)이라고 불렀다고 한다.[2] 618년(의녕 2년) 당나라 건국 후 평양공주에 봉해졌다.[2]

623년(무덕 6년) 사망하여, 고조는 장례식에 우보(羽葆)·고취(鼓吹)·대로(大路)·휘당(麾幢)·호분(虎賁)·갑졸(甲卒)·반검(班劍)의 예를 추가하도록 했다. 담당 관리가 "예부터 부인의 장례에 고취의 예를 갖춘 적이 없었습니다"라며 반대했지만 고조는 "고취는 군악이다. 공주의 몸으로 꽹과리와 북을 쥐고 군명에 참배한 이가 있었는가."라며 듣지 않았다.[2]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서적 Zizhi Tongjian
[3] 문서 Princess Pingyang of Tang Dynasty
[4] 서적 Zizhi Tongj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